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中論)』의 연기(緣起)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

        박용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The Mūlamadhyamakakārikā(MMK) is Nagarjuna's best known work.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pratītyasamutpāda(dependent origination) of Nāgārjuna's Mūlamadhyamakakārikā. Utilizing the Buddha's theory of pratītyasamutpāda, Nagarjuna demonstrated the futility of pratītyasamutpāda's ontological speculations. So many scholars have studied on the Pratītyasamutpāda of Mādhyamika Philosophy of Nāgārjuna. And they make a study by natural language. But the study of pratītyasamutpāda by symbolic language or artificial language is more precise and accurate. So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The result of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on pratītyasamutpāda is that MMK's pratītyasamutpāda is known to a material equivalence of pratyaya (condition) and phala(result). Moreover, ‘the logical interrelation of dharmas’ which is said as definition of MMK's pratītyasamutpāda by Nakamura Hajime(中村元) can be expressed by biconditional. In conclusion, MMK's pratītyasamutpāda can be expressed by propositional logic and the propositional logical form of MMK's pratītyasamutpāda is p≡q(p is ‘pratyaya[condition] exist’, q is ‘phala[result] exist’). 『중론』의 핵심개념인 연기(緣起, pratītyasamutpāda)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중론』 전체의 내용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도록 하겠다. 기왕(旣往)에 『중론』 연기에 대해서는 국내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있고 그 성과가 축적이 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중론』 연기에 대해 명제논리(Propositional Logic)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자연언어를 통해 이루어놓은 연기에 대한 이해의 성과 위에 논의의 정밀성과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제논리라는 인공언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론』의 연기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의 결과 『중론』 연기는 연(緣)과 과(果)의 존재에 대한 실질적 동치(material equivalence)관계를 가리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또한 中村元이 『중론』 연기를 ‘법과 법의 논리적 상관관계’라고 했을 때 ‘논리적 상관관계’의 의미가 쌍조건(雙條件, biconditional)으로 표현되는 관계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중론』 연기는 논리적 관점에서 해석한 초기불교의 연기를 계승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을 연기공식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중론』 연기는 명제논리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연이 있다’를 p로 놓고, ‘과가 있다’를 q로 놓을 때 p≡q라는 것이다.

      • KCI등재

        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설의 형이상학화 - 설일체유부 문헌을 중심으로 한 인과법칙으로서의 연기

        이은정 ( Lee Eun-jung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이 글은 설일체유부 문헌을 중심으로 연기설이 정신적 조건화의 가르침에서 사물의 인과법칙으로 확대 적용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초기불교에서 연기설은 괴로움의 발생과 소멸을 해명하는 실존적 가르침이다. 필자는 연기설이 형이상학적 체계를 갖추게 된 토대로서 인과의 원리가 적용된 점에 주목한다. 유위법으로서의 연기는 원인과 조건의 관계성 속에서 결과를 발생시키는 법칙으로 설명되며, 연이생법과도 분리된다. 심불상응행법은 공간적인 점유를 하지 않으면서 자신만의 특징과 작용을 지닌 객관적인 원리로 현상 세계에 적용된다. 심불상응행법은 유정과 더불어 비유정에게도 적용가능한 물리적 법칙으로서 무형의 원리가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설일체유부 문헌에는 십이연기에 대해 네 가지 유형의 해석이 있다. 즉 찰나연기, 연박연기, 분위연기, 원속연기 등이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의 십이연기에 대한 해석은 현상의 발생과 소멸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필자는 본 고를 통해 연기법이 유위법으로서 존재 일반에 적용 가능하며, 사물의 발생법칙으로 확대 해석되면서 형이상학적 체계를 갖추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ratītyasamutpāda from the teaching of mental conditioning to the law of causality of things, focusing on the texts of Sarvāstivāda. In early Buddhism, the theory of paṭiccasamuppāda is an existential teaching that explains the occurrence and cessation of suffering. This paper first was considered for the process in which the principle of causality was appli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metaphysical system of the Pratītyasamutpāda theory, centering on the texts of Sarvāstivāda.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itta-viprayukta-saṁskāra-dharma and the four types of Pratītyasamutpāda were studied. Pratītyasamutpāda as Saṃskrta-Dharma is explained as a law that produces a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 and condition, and is also separated from Pratītyasamutpānna Dharma. Citta-viprayukta-saṁskāra-dharma is applied to the present world as an objective principle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and actions without occupying space. Citta-viprayukta-saṁskāra-dharma is a physical law that can be applied to non-living as well as sentient beings. In the texts of Sarvāstivāda,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Pratītyasamutpāda such as kṣaṇika, sāṃbandhika, āvasthika, prākarāṣika. These four types of Pratītyasamutpāda have been broadly applied as principles for the laws of existence and occurrence of things. Through this study, the writer was a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etaphysical system as Pratītyasamutpāda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existence of being as Saṃskrta-Dharma, and interpreted broadly as the law of occurrence of things.

      • 사회생태론적 토대로서 불교의 연기적 관계관에 대하여

        김보경(Bo-kyou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연기적 관계관이 사회생태론의 사상적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19세기 접어들면서 시작된 근대문명의 성찰에 대한 논의 중 한 흐름이 생태문제를 다룬 ‘생태학’이었다. 이 중 자연생태의 문제를 사회생태의 문제와의 상호관련에서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한 학자가 머레이 북친(M. Bookchin)이다. 북친은 자연생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사회생태로부터 기인한 것이며, 특히 사회적 ‘위계구조’와 ‘지배’가 자연생태문제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지배적 관계를 없애는 사회구조의 재구성이 문제의 해결방법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변증법적 이성’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러한 북친의 주장은 자연과 사회의 근본적인 관계를 모두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유는 그의 사회생태론이 서구의 실체론적 존재론과 이원론적 관계관을 토대하고 있는 근대적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문제를 생산한 근원적 토대를 그대로 두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임에도 북친은 이를 간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친의 사회생태론이 지닌 한계점을 넘어설 수 있는 관계론으로 불교의 연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불교의 연기론이 세상 만물 존재들의 상즉상입(相入相卽)적인 관계론으로서 북친이 제시한 사회생태론의 관계론이 지닌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불교의 관계관은 자연과 사회의 관계를 생명과 존재에 대한 실체론적 접근이 아니라 연기적 관계에서 접근하며, 문제 진단을 단선적이고 이원론적인 관계에서 전일적이고 연기적 관계로 파악하게 한다. 이 점은 불교의 연기론이 사회생태의 문제를 전방위적이고 다층적이며, 복합적인 원인을 분석하게 하는 토대가 되므로 북친의 한계점을 넘어선 사회생태론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Buddhist relational view of pratityasamutpada(緣起), which is “interdependent co-arising” as an ideological basis of social ecology. One of the discussions on the reflection of modern civilization that began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was ecology, which dealt with the world’s ecological issues. Among them, the scholar Murray Bookchin argued that the problems of natural ecology should b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social ecology. He suggested that natural ecology stems from social ecology, and in particular, social hierarchy and dominance are the root causes of natural ec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that would do away with the dominationsubjugation relationships is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and for this, he advocated that dialectical reasoning is necessary. Bookchin’s argument has limitations in resolving all the fundamental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society. The reason is that his social ecology was unable to escape from the modern worldview based on the Western pragmatic ontology and dualistic relational view. Although the fundamental basis that produced the problem in the first place cannot be the basis for solving the problem, Bookchin overlooked this point in developing his argument. Therefore, the current study presented the Buddhist pratityasamutpada theory as a relational theory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Bookchin’s social ecology. The Buddhist pratityasamutpada theory in which the essence and action of all phenomena fuse with each other and there are no obstacles can go beyond the limits of the relational theory of social ecology proposed by Bookchin. The relational view of Buddhism allows us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from a relationship of pratityasamutpada rather than a pragmatic approach to life and existence, and to grasp the problem diagnosis from a unilinear and dichotomous relationship to a holistic relationship of pratityasamutpada. This point can be the foundation for a new social ecology that goes beyond Bookchin’s limitation, as the Buddhist pratityasamutpada theory can become the basis for analyzing the omnidirectional, multi-layered, and complex causes of social ecological problems.

      • KCI등재

        ‘paṭiccasamuppāda(緣起)’의 用例와 통찰

        김완정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This paper explored the origin of ‘paticcasamuppāda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language, the use example in Chinese translation and the definition of ‘paticcasamuppāda’ as interpreted in the Buddhist scripture, Abhidharma. By analogically inferring the etymology of ‘paticcasamuppāda’,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formation of ‘paticcasamuppāda’ concept, the insight of I and Object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The first scripture using ‘paticcasamuppāda’ language is known as the Suttanipāta. In Pali scriptures, ‘paticcasamuppāda’ is used along with ‘nidāna (因緣)’, which refers to Indian proper name meaning ‘causality (因果)’. Kumārajiva (鳩摩羅什), who translated Pali scriptures into Chinese scriptures in the early time, translated ‘(因緣)’ to have same meaning with ‘(緣起)’. However, ‘Paticcasamuppāda’ language became common after Monk Xuanzang (玄奘). In Abhidharma, the meaning of ‘paticcasamuppāda’ is forced on the concept and meaning, instead of giving definite acceptation of ‘paticcasamuppāda’. ‘Paticcasamuppāda’ was also understood as the basic principle, which includes all ‘causality’ process. In this sense, ‘paṭiccasamuppāda’, ‘nidāna’ and ‘causality’ mean the same thing. In the early scriptures, ‘paṭiccasamuppāda’ language was chosen to explain the Enlightenment, Deliveration and the Middle Way. It is because by thinking about the basic concept ‘paticcasamuppāda’ the insight of Dharma should be acquired. 이 논문은 ‘paṭiccasamuppāda(緣起)’에 대한 연원과 한역에서의 용례, 그리고 아비달마에서 해석한 ‘paṭiccasamuppāda(緣起)’의 정의에 대한 고찰이다.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語源을 통해서 연기 개념의 형성과 통찰의 과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연기설에 대해 초기 Pāli 경전에서는 ‘paṭiccasamuppāda(緣起)’와 ‘nidāna(因緣)’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는데, 왜냐하면 ‘nidāna(因緣)’는 인과의 법칙을 말할 때 사용하는 인도철학의 고유 명사였기 때문이다. 한편 초기 한역자인 鳩摩羅什은 ‘paṭiccasamuppāda’를 ‘緣起’보다는 ‘因緣’으로 번역하였지만, 신한역자 玄裝은 ‘緣起’라고 번역했다. 이러한 점에서 ‘緣起’, ‘因緣’, ‘因果’는 같은 의미로 쓰였다. 아비달마에는 연기의 개념에 대해서 해석했다. 경전과 논에서는 반드시 중도와 깨달음에 대한 법을 설하기 전에 먼저 연기의 공식으로 알려진 게송을 설했다는 점은 연기의 기본적 사고를 통해서 법을 통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존재에 대한 연기적 통찰을 통해서 인과론적 수행을 완성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중론(中論)』의 연기(緣起)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

        박용주 ( Yong Joo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중론』의 핵심개념인 연기(緣起, prat.tyasamutp.da)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중론』 전체의 내용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도록 하겠다. 기왕(旣往)에 『중론』 연기에 대해서는 국내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있고 그 성과가 축적이 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중론』 연기에 대해 명제논리 (Propositional Logic)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자연언어를 통해 이루어놓은 연기에 대한 이해의 성과 위에 논의의 정밀성과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제논리라는 인공언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론』의 연기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의 결과 『중론』 연기는 연(緣)과 과(果)의 존재에 대한 실질적 동치(material equivalence)관계를 가리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또한 中村元이 『중론』 연기를 ‘법과 법의 논리적 상관관계’라고 했을 때 ‘논리적 상관관계’의 의미가 쌍조건(雙條件, biconditional)으로 표현되는 관계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중론』연기는 논리적 관점에서 해석한 초기불교의 연기를 계승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을 연기공식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중론』 연기는 명제논리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연이 있다’를 p로 놓고, ‘과가 있다’를 q로 놓을 때 p≡q라는 것이다. The M.lamadhyamakak.rik.(MMK) is Nagarjuna`s best known work.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prat.tyasamutp.da(dependent origination) of N.g.rjuna`s M.lamadhyamakak.rik.. Utilizing the Buddha`s theory of prat.tyasamutp.da, Nagarjuna demonstrated the futility of prat.tyasamutp.da`s ontological speculations. So many scholars have studied on the Prat.tyasamutp.da of M.dhyamika Philosophy of N.g.rjuna. And they make a study by natural language. But the study of prat.tyasamutp.da by symbolic language or artificial language is more precise and accurate. So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The result of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on prat.tyasamutp.da is that MMK`s prat.tyasamutp.da is known to a material equivalence of pratyaya (condition) and phala(result). Moreover, 갻the logical interrelation of dharmas갽 which is said as definition of MMK`s prat.tyasamutp.da by Nakamura Hajime(뭷뫚뙰) can be expressed by biconditional. In conclusion, MMK`s prat.tyasamutp.da can be expressed by propositional logic and the propositional logical form of MMK`s prat.tyasamutp.da is p≡q(p is 'pratyaya[condition] exist', q is 'phala[result] exist').

      • KCI등재

        <九雲夢>과 <金剛經>의 상관성 연구

        유병환(Byoung hwan You)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금강경> 제3 '大乘正宗分'의 '六祖解義' 일부를 자료로 하여 <구운몽>과 <금강경>의 대응양상을 논의해 보았다. <금강경>은 <구운몽>의 핵심소재이다. <구운몽>은 주인공 성진의 成道 과정을 그리고 있는 바, <금강경>을 所依經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의의 근거와 이유이다. '六祖解義'는 대승법의 宗旨를 '種種方便 化導衆生 名爲菩薩'이라 설명한다. '여러 방편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진리로 인도하는 존재가 보살'이라는 뜻이다. 육관이 성진을 진리로 인도하기 위해 시설하는 방편도와 대응된다. 먼저,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불교의 진리는 한 마디로 緣起法이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가 연기법이기 때문이다. 因緣生起法의 줄임말이다. 모든 경론의 교설과 논설의 뿌리와 바탕이 연기법이라 할 만큼 연기법은 불교논리와 사상체계의 기본과 궁극, 그리고 핵심을 차지한다. 불교 창시자인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이기 때문이다. 연기법은 하나이다. 따라서 진리도 하나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설명방식과 논리전개 방식은 매우 다채롭다. 육조해의의 '종종방편'과 상통한다. 연기법의 진리를 깨우치는 최종과 최상의 방편은 自證과 體證의 방편도이다. 연기법의 진리는 스스로의 체험을 통해서만이 증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능동에 의한 연기체험이 필요하다. 성진은 총명지혜 중중초출하고 삼장경문에 무불통지하다. 그럼에도 아직 진리를 깨우치지 못한다. 육관의 설법과 경문에 의한 피동태이기 때문, 능동에 의한 연기체험이 없는 때문이다. 연기전생의 절대 전제는 '業'이다. 업 또한 능동이어야 한다. <구운몽>은 성진이 능동의 업체험과 연기체험을 할 수 있도록 묘용의 방편도를 시설하여 성진에게 능동의 자율시공을 제공한다. '용궁회사'에 대한 성진의 '自願'과 '물러가 쉬라'는 육관의 한 마디 말이다. 아주 미세한 서사태에 불과하다. 그러나 <구운몽> 전체의 서사구조와 의미구조에 인과율로 작용하여 진리의 자증과 체증이라는 주제에 진실성을 부여한다. 성진은 육관의 방편도와 스스로의 업에 따라 연기전생의 길에 나아가고, <성진→소유>의 流轉緣起와 <소유→성진>의 還滅緣起를 체험한다. 그것을 轉迷開悟에 대한 자증과 체증의 자료로 하여 不生不滅의 眞如를 證悟하고 보살대도를 실행한다. '자원'과 '물러가 쉬라'는 한 마디는 <구운몽>의 온 서사단계와 의미실상을 벼리잡는 묘용의 善巧方便, 방편도의 극치로 평가할 만하다. <성진A>가 지은 두 개의 업, 그리고 <성진→소유→성진>의 연기전생 단계에는 육관의 설법 의도는 작용하지만, 설법으로서의 언설은 작용하지 않는다. 無言說法이다. 성진을 능동태로 전환시켜 진리를 자증케 하려 함이다. 육관이 성진으로 하여금 연기법의 진리를 자체증하도록 시설한 방편. 無言說法의 善巧方便이다. <금강경> 육조해의의 '種種方便 化導衆生'과 대응한다. <금강경>을 <구운몽>의 서사적 원천이자 사상적 배경이라 할 만한 근거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rrelational aspect between <Guunmong> and <Vajira-prajna-paramita-Sutra> based on theunderstanding of parts of the text of the third "大乘正宗分". <Guunmong> describes continuous steps through which Seongjin, the main character, realizes the ultimate truth of the Buddhism, and its basic storyline is based on <Vajira-prajna-paramita-Sutra>. Thus, <Vajira-prajna-paramita-Sutra> is the core material of <Guunmong>. It is why this paper analyzes the correlation with Pratiyasamutpada and Upayaparamita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the text, <Vajira-prajna-paramita-Sutra>. It explains the essence of Mahayana as 'the being who edifies ordinary people to lead them to the ultimate truth with various expedients is bodhisattva.' It correlates with Upayaparamita with which Yukgwan leads Seongjin to the ultimate truth of Pratiyasamutpada. Among his disciples, Yukgwan favored the youngest, Seongjin, who was smarter than any other student. Because Seongjin couldn't possibly refuse the Dragon king's offer and drank the wine and was fascinated by the eight fairies. Yukgwan was angry and expelled the fragile, fallen disciple to Hell. At the same time, the eight fairies were also sent to Hell. He king of the Hell didn't really think the young Buddhist monk, Seongjin, and the eight fairies deserved such a severe punishment. So the king decided to send the nint creatures to the human world. Seongjin was born into a good family and had a new name Soyu. He grew up well and passed the state civil service exam to become a government official. Though he faced some difficulties, he survived them all. Even the ordeals seemed to be an essential part of his life and highlighted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the hero. One day, it suddenly came to him that even the emperor, who had enjoyed worldly glory and pleasure, died in vain after all. That was the moment when he felt the futility of life. HE realized that life was but an empty dream. Yukgwan, the old teacher in the previous life, thought it was time to bring back his beloved student. After a while, the man woke up to find himself in a temple deep in the mountains. Now, he was again Seongjin, the Buddhist disciple. The title of the novel <Guunmong> meaning "the cloud dream of the nine" apparently referring to the Seongjin and the eight fairies. As the mast Yukgwan allowed the eight fairies to jon the Hall of the Buddha, Seongjin and the fairies were devoted to Buddhism and they all fount enlightenment at last. Unrealistic world of Seongjin's life and a happy ending are well mixed in the intriguing tale, reflecting the elements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A master, Yukgwan's teaching is the excellent and propound expedient through the lesson without words. It corresponds to the right and best understanding of Mahayana explained in <Vajira-prajna-paramita-Sutra>. The correlation revealed in this paper shows that <Vajira-prajna-paramita-Sutra> is the source of narrative structure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Guunmong>. The literary values in <Guunmong> can be linked to the work of comparing the classics of center and periphery, and showing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them. The text structure of <Guunmong> gains power through abolishing the division of center and periphery and instead adopting the universality of text, context, and readers all together. This is what the <Guunmong> with its structure and philosophy of circularity of Buddhism, accomplishes the great and what qualifies it as a classic.

      • KCI등재

        연기의 구성주의 철학적 재구성

        홍성기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3 No.-

        This paper argues that the main doctrine of Buddhism, Pratītyasamutpāda(緣起), also known as ‘interdependent co-arising’ is not reducible to some other philosophical concepts that exist already. In a dialogue between Buddha and his pupil Ananda in the Maha-nidana Sutta(大緣方便經), the doctrine Pratītyasamutpāda only can be interpreted solely from its root of own definition. This Dialogue in the Maha-nidana Sutta is in its contents equivalent with the two key strategic utterances of Nagarjuna’s Madhyamaka-kārikā(中論頌, 4.8, 4.9). In the same context we can criticize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Pratītyasamutpāda with concepts of causal, temporal and logical relations.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we can show that the idea of Pratītyasamutpāda is totally equivalent with the act of partitioning upon the idea of entity or a whole, which is like building a boundary within the whole. It is logically impossible to say that the boundary exists realistically as the junction of these two side parts, which is the result from the act of partitioning.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any two objects in the world and perhaps the concept relies on arbitrary and man-made illusions. Therefore the concept of a boundary is internally contradictory and does not stand in a realistic background. Through the constructiv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welve-fold causal nexus(十二緣起), it becomes clear that the buddhistic view of the world is about understanding how to see it in a holistic perspective. As a result, we can apply this holistic ontology of Buddhism and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Pratītyasamutpāda to many areas of philosophy, religion and sciences. 이 논문은 불교의 핵심 교리인 연기가 다른 기존의 철학적, 상식적 개념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논증한다. 「大緣方便經」에서 아난은 세존에게 ‘자신의 견해에 의하면 십이연기는 눈앞에 있듯 분명하다’라고 주장하지만, 세존은 아난의 견해를 즉각 비판한다. 아난의 오류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에피소드는 용수의 중론송에서 논파전락으로 다시 등장한다.(게송 4.8, 4.9) 우리는 같은 맥락에서 연기를 인과론적, 시간적, 논리적 관계로 보는 해석을 논파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논리적 관점에서 볼 때, 연기가 하나의 전체에 경계를 긋는 행위와 완전히 동일함을 보여줄 수 있다. 즉 사물간의 경계란 내적으로 모순을 갖고 있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 세계의 사물 간의 경계는 실체론적으로 있을 수 없다. 즉 경계란 자의적이며 존재론적이 아니라 인식론적으로만 의미가 있다. 십이연기에 대한 구성주의적, 유식론적 해석을 통하여 불교적 세계관의 전일론적 성격이 분명해진다. 우리는 불교의 전일론적 존재론과 연기의 근본구조를 철학, 종교, 과학의 여러 영역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진화하는 세계에 나타나는 상입의 창발적인 연기 과정과 시공간적 연기 구조

        양형진(Yang, Hyu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7

        우주의 모든 존재자가 진화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은 현대과학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이기도 하고 자연에 대한 우리의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바꾸게 한 것이기도 하다. 생명과 지구와 우주의 모든 것이 진화한다는 것은 그 모두가 무상하다는 것이다. 무상과 무아의 존재자가 펼치는 상호 의존과 연관의 연기를 살펴보고, 이 연기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 투영과 침투의 상입에 의해 새로운 속성이 발현된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 상입의 창발적인 연기 과정이 생명과 물질의 전체 세계에서 진행되므로, 세계의 다양성과 시공간적인 연기의 구조가 나타난다는 것을 살펴본다. Recognizing that every existence in our universe evolves is a prominent progress in modern science, which has deeply altered our view of world. That everything evolves, from life on earth to heavenly bodies, signifies that nothing is eternal. We investigate that the existence of non-eternity and non-reality builds the pratityasamutpada of mutual dependence and mutual connection. We then discuss that emerging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by the mutual penetration in the process of pratityasamutpada. We show that the diversity of the world and the structure of spatial and temporal pratityasamutpada are possible because the processes of emerging pratityasamutpada take place in our whole world of life and matter.

      • KCI등재

        5세기 초 중국불교의 格義 克復과 修行論의 發展 ‒ 僧肇를 中心으로 ‒

        이호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0

        This study is to examine Seng-zhao’s 4 treatises in Zhaolun in order to verify his efforts confuting various philosophical misunderstandings on Mādhyamaka(中觀)’s non-duality between pratītyasamutpāda (interdependent co-arising 緣起) and śūnyatā(emptiness 空). The misunderstandings on the non-duality between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in the contemporary time of Seng-zhao were represented by seven ‘Geyi(格義) Buddhist schools’ from traditional perspective. Yet, this study widens the scope toward Geyi not only the seven Geyi Buddhist schools but also other Chinese philosophical attempts to explain Mādhyamaka’s concepts of śūnyatā, pratītyasamutpāda, prajñā, nirvāṇa, and so on, such as Confucian perspective, and Neo-Daoist Wei-Jin Xuanxue(魏晉玄學) perspective at the time. Through the reputation against those ‘Geyi’ attempts within the widened meaning of ‘Geyi’, Seng-zhao clarified the non-duality between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and built up his prajñāpāramitā(perfection of wisdom 般若波羅蜜) cultivation theory based on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Seng-zhao‘s prajñāpāramitā cultivation theory based on the non-duality between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influenced a lot on the development of cultivational theories in later Chinese Buddhism such as Chan school(禪宗). 이 연구는 僧肇의 肇論 에 수록된 4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僧肇가 中觀哲學의 緣起卽空 不二思想에 대한오해들을 論破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緣起卽空 不二思想에 대한 僧肇와 동시대의 오해들은 전통적으로 格義佛 敎 7分派로 대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格義佛敎 7分派 뿐만 아니라 儒學的 관점, 魏晉玄學 관점 등 空, 緣起, 般若, 涅槃 등 中觀哲學의 개념들을 설명하려는 당시 다른 중국 철학적 시도들에 대해서도 ‘格義’의 범위를 확장한다. 이러한 확장된 의미의 ‘格義’에 대한 論破를 통해 僧肇는 緣起卽空을 不二會通하고, ‘認識의 轉化’ 에 기반한 般若波羅蜜 修行論을 세웠다. 緣起卽空에 기반한 僧肇의 般若波羅蜜 修行論은 禪宗 등 후대 중국불교에 있어 수행론의 이론적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후보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

        강기선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을 연구목적으로, 1차 자료인 불교의 한역원전을 주 텍스트로 , 2차 자료인 효 관련의 선행연구서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본 연구는 제Ⅱ장에서 孝의 定義와 佛敎에서 바라본 孝 倫理를 첫째, 孝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살펴보고 둘째, 佛敎經典에 보이는 孝의 倫理에 대하여 살폈다. 제Ⅲ장에서는 佛敎孝倫理의 교육적 특성에 대하여 첫째 慈愛와 恭敬과 진정한 大悲心의 發露에서 행해지는 효 윤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순일한 緣起的孝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는 평등심에 입각한 報恩思想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넷째는 父母報恩孝行의 방법에 대하여 분석해보았다. 이들을 살펴보았을 때, 불교경전에서 제시하는 효도의 핵심역할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불교의 효 기능은 출가자와 재가자가 행해야 될 역할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와 자식 양자가 개별적 인격체로서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야 하며, 사무량심의 첫 번째 덕목인 자애〔자무량심〕를 중심으로 평등한 보시의 마음으로 부모님을 공경하고 효순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우리 인간은 각각이 독립된 존재가 아닌 순환하는 緣起的관계이기 때문에, 각자는 緣起의 순일한 수행의 효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종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연기적 효행관이다. 넷째, 불교의 효는 신분적인 상하의 윤리와 지배복종의 관계가 아닌, 자식과 부모 양쪽모두가 평등한 인간적인 입장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수평적 윤리도덕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효 윤리는 평등한 관점과 대비심의 發露로서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의 자애와 공경을 순일한 연기적 관계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러한 특징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더 중요한 것은 불교적 관점의 진정한 효도란 부모로 하여금 삼보를 믿게 하고, 成佛하도록 도와주고, 인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부모를 六度輪廻의 괴로움에서 해탈시켜, 영원히 생사에서 자유자재한 안락한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자식으로서, 부모에 대한 참된 효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오늘날 봉착하고 있는 인간성의 상실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기본사회인 가정질서의 확립에 불교의 효 윤리를 적용․실천할 필요성이 있다. This essay is written in purpose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Buddhism regarding the Hyo(孝) ethics, referencing various korean-translated buddhist texts as primary materials and existing Hyo-related research papers as secondary materials. Chapter II of this essay explores the definition of Hyo and its ethics portrayed through Buddhism's viewpoint, examin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Hyo followed by how its ethics are described within various buddhist scripts. Chapter III examines its educational aspects, focusing firstly on Hyo ethics origins from benevolence, respect, and great compassion, then secondly on the deeds of Hyo as part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Thirdly, the act of returning the kindness(報恩思想) based on the equality is examined. Lastly, ways of practicing Hyo for returning one's parents kindness(父母報恩孝行) is analyzed. As the result, The core function of Hyo presented within the scripts can be summarized into 5 parts. First, the application of Hyo ethics differs between monks and regular believers. Second, both parents and children should do their best as independent person, as well as respecting each other with the spirit of benevolence - which is the first virtue of Samuryangsim(四無量心). Third, the script points that human beings are not isolated entities, but rather beings that are intimately connected throughout the cycle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Such viewpoint is unique to the buddhism, as it is hardly seen in any other reigion. Fourth, the idea of Hyo within buddhism is completely horizontal virtue, where parents and children interact as equal human beings rather than forming dominance-obedience relationship. Therefore, the most distinctive trait of Hyo explained within buddhism is that it takes equal viewpoint, relating the expression of mercy and humanism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irculation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However, despite the nuance implied within such characteristics, the real practice of Hyo is that to let one's parents believe in Three Treasures(三寶), help them achieve Zen, and guide them towards it. This is because, the true goal of Hyo is that to Liberate one's parents from the torment of cyclling through six worlds(六道輪廻), and lead them towards the eternal freedom if enlightme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dimming humanity that the modern era societies are facing,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nd practice the Hyo ethics of Buddhism within the fundamental domest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