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스트리덴티스모 산문에 나타난 근대성 기획의 모순과 라디오의 재현

        오민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2 중남미연구 Vol.41 No.1

        Stridentism(Estridentismo), a representative Mexican avant-garde movement in the 1920s, tries to form an aesthetic discourse that can lead Mexico's modernization by representing it's present. Changes brought by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 important indicator of Mexico's modernization, and the artists of Stridentism represent its images in their works. Among these, radio is the technology that ha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ridentism's works in terms of themes and formal innov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Stridentism's modernity project and perspective on radio, in La Señorita Etcétera (1922) and Magnavoz 1926 (1926), which are representative narrative works of this movement.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s on the communication through scientific technology by analyzing the change in the images of radio represented in each work. Second, it shows that the aspect of radio’s representations in these works not only reflects the various historical contexts of this media in Mexican society, but also reveals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modernity projects of the stridentist artists. 1920년대 멕시코의 대표적 아방가르드 운동인 에스트리덴티스모(Estridentismo)는 근대화 과정에 있던 멕시코의 현재를 재현하여 당대의 국가 정체성 기획을 이끌 수 있는 문예 담론을 제시하고자 했다. 과학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는 멕시코가 근대화되고 있는 중요한 지표였고, 에스트리덴티스모 작가들은 이를 혁신적인 형식으로 작품에 재현했다. 이 중 라디오는 에스트리덴티스모 작품의 형식 혁신과 주제 선정에 많은 영향을 끼친 기술 중 하나였다. 본 연구는 에스트리덴티스모의 근대성 기획과 라디오에 대한 관점을 기반으로 이 운동의 대표적 서사 작품인 『아무개 아가씨(La Señorita Etcétera)』(1922)와 『확성기 1926 (Magnavoz 1926)』(1926)에 라디오가 재현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라디오 이미지의 차이를 비교하여 과학 기술과 의사소통의 관계에 관한 에스트리덴티스모의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두 번째로는 이 작품들에 라디오가 재현된 양상이 이 매체에 대한 다양한 역사적 맥락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에스트리덴티스모 작가들의 근대성 기획에 내재한 모순을 드러냄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