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선형 파괴역학에 근거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보정계수식 제안

        김희성,진치섭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9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6 No.-

        이전의 연구에서, 표준형 및 비표준형 원주형 공시체의 크기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시한 바 있지만, 콘크리트 공시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도수준의 변화에 따른 파괴메카니즘의 차이를 함께 고려할 수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시체의 직경과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 및 콘크리트의 강도수준을 고려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및 통계적 해석을 수행하였고, 새로운 크기효과식에 사용되는 실험상수를 기존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큰크리트의 강도수준에 대한 함수로 정식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크기효과 모델식에 의해 구해진 강도보정계수는 다양한 크기 및 강도수준에 대하여 기존의 실험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준다. In previous paper, model equations that is to predict the size effect of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and non-standard cylindrical specimen was proposed. However, theses equations did not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fracturing mechanism which depends on bot geometry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 In this paper, a model to predict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with respect to diameters, the height-to-diameter ratios of specimen, and the strength levels of concrete, is proposed. For this purpoe, theoretical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xperimental constants used in the model of new size effect are formulated in terms of strength levels of concrete based on existing experimental data. The strength correction factors of concrete cylinder obtained from newly developed model of size effect proposed in this paper is in a good agreement with existing test data for various size of specimens and strength level of concrete.

      • KCI등재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와 이형철근의 부착특성

        최연왕(Choi Yun Wang),정재권(Jung Jea Gwone),김경환(Kim Kyung Hwan),안태호(An Tae Ho)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5A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철근의 위치를 수평하부철근(Horizontal reinforcement at Bottom position, HB), 수평상부철근(Horizontal reinforcement at Top position, HT), 및 수직철근(Vertical reinforcement type, V)으로 변화시킨 시험체를 제작하여 3수준의 콘크리트 강도 변화(30, 50 및 70 ㎫)에 따른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HSCC) 및 일반콘크리트(Conventional Concrete, CC)와 이형철근의 부착 특성을 비교ㆍ분석 하였다. HSCC 및 CC의 상부근 철근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HB/HT 철근의 부착강도비를 측정한 결과 50 및 70 ㎫의 경우 HB/HT의 부착강도비는 1.3이하로 나타났으며, 30 ㎫의 경우 HSCC 및 CC에서 각각 1.2 및 2.1로 나타났다. 따라서 HSCC 30, 50 및 70 ㎫의 경우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 정착길이 설계시 상부근 계수에 제시되는 수평상부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보정계수를 CC의 1.3보다는 감소시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adhesion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HSCC), Conventional Concrete (CC) and deformed bar based on concrete strength 3 (30, 50 and 70 ㎫),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concrete and rebar, after fabricating the specimen by modifying the rebar position at Horizontal reinforcement at bottom position (HB), horizontal reinforcement at top position (HT) and vertical reinforcement type (V). As a result of measuring bond strength of HB/HT rebar to evaluate the factor of the rebar at top position, the bond strength of HB/HT rebar at 50 and 70 ㎫ was 1.3 or less and at 30 ㎫, HSCC and CC appeared to be 1.2 and 2,1, respectively. Thus, when designing the anchorage length according to the concrete structure design standard (2007) at HSCC 30, 50 and 70 ㎫, it would be desirable to reduce the correction factor of anchorage length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at top position, which is suggested for the reinforcement at top position, to less than 1.3 of 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