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해랑,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Total of 62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yunggi, Kangwon, North Chungcheong, North Jeolla, and North Kyungsang Province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the level of their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Traumatized self-system, Internalized sham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emotional abuse was positively related to traumatized self-system, internalized sham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ignificantly. Second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nalized sham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respectively. Thir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nalized shame showed dual-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emotional abuse among child abuse types affects traumatized self-system, internalized sham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emotional abuse causes damage to the self-system, and those who have suffered from emotional abuse are more likely to express dysfunctionally when they feel anger emot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학대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 충북, 전북 그리고 경북에 재학중인 대학생 624명을 대상으로 정서적학대, 자기체계손상, 내면화된 수치심,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학대, 자기체계손상, 내면화된 수치심, 역기능적 분노표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정서적학대와 역기능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각각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각각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학대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아동학대 유형 중 정서적학대만으로도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그리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정서적학대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간의 관계에서 정서적학대는 자기체계(self-system)에 손상을 초래하고, 자기체계가 손상된 학대경험자는 수치심이 내면화되어 분노정서를 느낄 때 역기능적으로 표현할 가능성이 높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간의 관계: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

        신지수 한국심리유형학회 2020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1 No.2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 과거 부정적 시간관, 성인기 우울 증상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한 뒤, SPSS 22.0와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멍하고 검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과거 부정적 시간관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거 부정적 시간관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는 성인기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학대 경험을 탐색하고, 정서적 학대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과거에 대한 부정적 시간관이 심리적 기제로서 지니는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우울을 감소시키는 임상적 개입에 있어 과거 부정적 시간관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의 매개효과

        박정은,홍혜영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4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기타 지역의 4년제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역기능적 분노표현,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분노 억제, 분노 표출,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했을 때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이 각각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은 각각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만으로도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학대는 분노 억제를 초래하고, 분노가 억제된 학대경험자는 분노 표출로 대인관계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을 밝혔다.

      • KCI등재

        아동기 정서학대를 겪은 유아교사의 담임 역할에 관한 내러티브연구

        최영재,이명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를 겪은 유아교사들의 삶이 시간적 상황적으로 어떻게 경험되며 그 경험이 유아교사 담임역할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를 겪은 경험을 유아교사들은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아동기 정서적 학대를 겪은 유아교사들은 담임경험을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아동기 정서적 학대를 겪은 유아교사의 담임경험은 그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이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가장 잘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사경력 5년 이상 담임경험이 있는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약 6개월 간 심층 인터뷰와 자료수집 기간을 가졌고, 그들의 심층면담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의 정서적 학대 경험으로는 [참혹한 어둠의 공포], [명령과 복종 혹은 반항] 을 드러내었고, 정서적 학대를 겪은 유아교사들의 담임경험으로 [뛰지 않는 심장], [아이들과 천국, 교사들과 반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유아교사의 담임경험에 대한 삶의 의미를 [아픔의 연장선], [감사와 회복과 성장]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를 겪은 경험이 긍정적으로 극복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긍정적 조건이 형성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긍정적 조건들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 및 기능에 미치는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인증의 이중매개 효과

        여소희,강지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Involving Internalized Shameand Depersonalization in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Abuseand the Severity and Func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Sohee Yeo & Jihyeon Kang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verifying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deperson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everity and function of non-suicidal self-harm.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or adults aged 19 or older and 38 or younger, and a total of 183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abuse, internalized shame, depersonalization, and the severity/function of NSSI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everity of NSSI, internalized shame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and a complet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also confirmed. Third, the completely doubl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depersonaliza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Intrapersonal positive reinforcement of NSSI.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intrapersonal positive reinforcement of NSSI when considering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SSI, suggesting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on mediator variable. Key Words: Childhood, Emotional Abuse, Non-suicidal Self-injury (NSSI), Internalized Shame, Depersonalization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 및 기능에 미치는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인증의 이중매개 효과여 소 희**ㆍ강 지 현*** 요약: 본 연구는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 및 기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인증의 이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만 38세 이하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내면화된 수치심, 이인증,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 및 기능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인증은 각각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완전 이중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개인내적 정적강화 기능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인증의 완전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 및 개입을 고려할 때 개인내적 정적강화 기능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매개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아동기, 정서적 학대, 비자살적 자해, 내면화된 수치심, 이인증 □ 접수일: 2022년 5월 10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2년 석사학위청구논문을 일부 발췌, 수정한 것임. ** 주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Dongduk Women’s Univ., Email: hce96dropbox@gmail.com)*** 교신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duk Women’s Univ., Email: counsel4u@dongduk.ac.kr)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이성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조절의 매개역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지은,손은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Kenny, 1996) was appli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151 couples(N=302) in South Korea whose ages were between 18 and 35. They responded to questions regarding their childhood emotional abuse, emotional clarity, emotion regul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analyze dat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s childhood emotional abuse had a direct effect on hi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male’s childhood emotional abuse had an indirect effects on hi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his emotion regulation. Third, female’s childhood emotional abuse had an indirect effects on he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her emotional cla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arly adul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practice for couples with childhood emotional abuse.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커플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조절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커플의 상호역동을 중심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만 18세에서 35세의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 커플 151쌍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조절을 자기보고식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의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의 경우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의 경우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은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자의 경우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은 정서인식 명확성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은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커플들에 대한 추후 연구와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성인기 정신병리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의 차별적 경로를 중심으로

        김은정,김진숙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psychopatholog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test how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which are subtypes of emotional trauma, have different effec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a sample of 557 university students using measures of Childhood Trauma, DER, Simplified Mental Diagnosis-18, Interpersonal Competency Scale. This study attempted to replicate Berzenski’ s study using Structual Equation Model(SEM). The factors of the DER scale were grouped into response-focused DER and antecedent-focused DER. SEM results showed that response-focused DE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psychopathology,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sychopathology. Antecedent-focused DER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성인기 정신병리 및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정서적 외상의 하위유형인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이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5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정서조절곤란 척도,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했다. 그리고 Berzenski(2019)의 연구를 재연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들은 반응 초점 정서조절곤란과 선행사건 초점 정서조절곤란으로 분류됐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반응 초점 정서조절곤란은 정서적 학대와 정신병리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했고, 정서적 방임과 정신병리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했다. 선행사건 초점 정서조절곤란은 정서적 방임과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했다.

      • KCI등재

        아동기 외상 유형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

        박선미(Sun Mee Park),이주영(Joo Young Lee)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 중에서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선정 방법에 있어서 자기보고식 아동학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외상을 측정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실제 외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가에 의한 1:1 면접을 함께 실시하여 외상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 152명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대인관계 철회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적 학대는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철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임은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 철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심리적 경직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인관계 철회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 초기인 대학생의 대인관계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아동기 외상의 하위 유형에 따라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정서적 학대의 경우에만 심리적 경직성이라는 기제를 통해 대인관계 철회가 초래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적 개입의 목표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아동기 외상 경험은 성인기 초기까지 그 영향력이 지속되므로 외상 경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은 물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성인기까지도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s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including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ould cause interperson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rigidity working as a mediating factor. Since selfreported child abuse measurement tools are limited in qualitatively studying trauma, the current study employed one-on-one clinical interviews on 152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withdrawal tends to decline when there are more physical abuse experiences, although the study found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igidity. Emotional abuse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withdrawal mediated by psychological rigidity. However, neglec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withdrawal with no mediating effect. That is, more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crease psychological rigidity, which in turn creates interpersonal withdrawal.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trauma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continue to impa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It also provides an empirical support that different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igidity are found depending on the subtype of childhood trauma. That is, by showing that emotional abuse is the only type of abuse leading to interpersonal withdrawal through psychological rigidity, the current study offers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in establishing goals fo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uch patients.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early discovery of childhood trauma is necessary because negative outcomes of such experiences can continue into early adulthood, in addition to the need for continued systematic support for pati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애란(石愛蘭),김영근(金泳根)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성인기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쟁모형과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영향을 미친다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보이는 문제는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적 학대의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간접적인 경험으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를 야기하는 정서적 학대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내담자 스스로가 정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을 세울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hood and then finding out whether emotional perception clar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hood. To this end, competition model and research model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had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Besides, emotional perception clar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du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results found that interpersonal problems are not only directly affected by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by the experience of perceiving and regulating emotion. This satisfied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which causes interpersonal problems in counseling, motivate clients to be able to control their emotions for themselves and make strategies which can reduce the figures of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외상과 공격성의 관계: 분노와 공감의 매개효과

        박인구,한기백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anger and empath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adolescent aggression. A total of 532 students from 5 different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more emotional neglect and abuse from their parents in childhood are more likely to show chronic anger and physical, interpersonal aggression and be less empathetic in relationship. Second, adolescents with more chronic anger and less interpersonal empathy, which arise from childhood emotional trauma, showed more physical and interpersonal aggression in relationship. Third, chronic anger predicted aggressive behaviors through poor empathic 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ysically and interpersonally aggressive behaviors of high schoolers are related not only to their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childhood but also to feelings of chronic anger and poor empathic understanding of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Major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by several educational and clinical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외상인 학대와 방임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특성분노와 공감의 매개 역할을 조사하였다. 경기도와 서울 지역의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생 총 5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성분노와 공감은 아동기의 정서적 외상과 공격성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아동기에 가족관계에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많이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특성분노와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을 많이 보이는 반면, 인지적·정서적 공감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외상으로 인해 특성 분노가 높고 대인관계에서의 공감능력이 낮을수록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분노는 공격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 대한 낮은 공감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공격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청소년기 교우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공격성과 왕따 행위의 이면에는 아동기에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정서적 학대와 방임과 함께 특성분노와 공감능력의 결핍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의 다양한 교육적, 상담적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들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