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개정 국어 교과서의 ‘식사문’ 쓰기 단원에 대한 일고찰

        한정현(Han, Jung-Hy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1

        2007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식사문’이라는 장르의 글쓰기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16종 검정 <국어> 교과서에는 식사문 쓰기와 관련한 내용이 모두 소단원으로 제시되었다. 식사문은 공식ㆍ비공식적인 글을 모두 아우르는 글쓰기의 하나로 사회적 관계 형성에 큰 역할을 하지만,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 과정조차 없이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자취를 감추었다. 여기에서는 식사문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교과서에서 그 구현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폈다. 특히 대단원을 중심으로 식사문 쓰기 관련 소단원이 다른 소단원들과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을 이루고 있는지 탐구하고 통합의 적절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16종 <국어> 교과서의 식사문 관련 학습활동에 나타난 발문들을 쓰기를 전제로 하여 유형별로 나누고, 이에 대한 분석과 제언도 해 보았다. Siksamun(Public nature of writing)', genre of writing, which have not covered before were included i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2007. And all 16 kinds of Government-approved <Korean> textbooks have the 'Siksamun(Public nature of writing)' writing-related units. 'Siksamun(Public nature of writing)' that encompasses both formal and informal writing, plays a large role in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But even without the careful scrutiny review it was removed from the 2011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this paper, on the assumption that 'Siksamun(Public nature of writing)' writing education is needed, whether it is implemented in the textbooks were reviewed.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reviewed whether there is the integration which centered upper unit between 'Siksamun(Public nature of writing)' writing related units and the other units. Furthermore, the relevance of integration was mentioned. Also, questions which appeared in learning activities are categorized by type, and analyzed 'Sksamun' writing-related questions in 16 kinds of textbooks whether they are reasonable to achieve the goal of Korean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 -한국인 · 한족 문화의 영향을 생각하며-

        박선미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traditions and changes of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an be classified into a continuation of Korean tradition and an acceptance and change of Han chinese influence. Kitchen structures, while continuing Korean kitchen culture traditions, are in the form of Hamkyong Province style houses correspond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China and as housing structures changed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ies of China, kitchen structures changed as well. The kitchen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itchens of the Koreans and the Han chinese, which were independent spaces, were practical spaces consisting of an area that combined the living room and kitchen and they could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cooking, eating, heating, and sleeping. Factors for such changes in the kitchen structur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clude the birth control policy of China after reform and opening up and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ith regard to changes in kitchen tools and cooking method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people were accepted but there were some transformations made to suit the kitchen culture characteristic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such as the ‘junbyeong gama(pancake kil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Chinese style junbyeong gama(pancake kiln), stir-fried dishes often appeared in meals, cooking times were shortened, and steam that filled the house was reduced. Also, food storage rooms exist in a form that combines the ‘Um(cellar)’ form of the Han chinese and the buried crock style of the Koreans and this has taken its place as a culture that represents Ethnic Koreans in China. 이 연구는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조선족의 부엌문화는 한국인의 전통을 지속하는 것, 한족의 영향을 받아 수용한 것과 변용한 것 등으로 구분되었다. 부엌의 구조는 한국인의 부엌문화 전통을 지속하면서도 중국의 자연환경에 조응한 함경도식 형태이며, 중국 국가정책에 따라 가옥구조가 변화되면서 부엌구조도 바뀌었다. 한국인과 한족의 전통 부엌은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졌으나 조선족 부엌은 정지와 정지간으로 이루어진 실용적인 공간으로서 취사․식사․난방․취침 등의 다용도로 기능했다. 이러한 조선족 부엌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된 요인으로는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산아정책제한, 주택개량사업 등을 꼽을 수 있다. 조리도구와 조리법의 변화에 있어서는 한족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되 ‘전병가마’와 같이 조선족 부엌문화의 특성에 맞춰 변용한 부분도 포착되었다. 조선족식 전병가마의 도입으로 식단에 볶음채가 자주 등장하는 식생활을 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여러 종류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으며, 집안에 서린 김도 잡아주었다. 또한 조선족식 음식저장소는 한족의 ‘움’ 형식에 한국인이 땅 속에 장독을 묻어 보관하는 형식을 결합한 형태로 존재하며, 오늘날 조선족을 대표하는 문화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