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암<SUP>順菴</SUP> 안정복<SUP>安鼎福</SUP> 한시<SUP>漢詩</SUP>의 수록 양상 검토 - 『순암집<SUB>順菴集</SUB>』과 순암<SUB>順菴</SUB> 『부부고<SUB>覆瓿稿</SUB>』 소재 한시를 중심으로

        윤재환(尹載煥)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순암 안정복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 중 한 사람이지만, 그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런 현상은 순암의 학문적 지향과 성취에 의해 이루어진 그에 대한 관념적 인식과 아직까지 미진한 그의 시문학 작품의 수집과 정리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순암집』과 『부부고』에 나오는 순암의 시문학 작품들을 정리 비교하여, 앞으로 진행될 본격적인 순암 시문학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순암집』에는 143제 234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1수가 성호의 시여서 순암의 시는 모두 142제 233수이다. 이 시들은 그의 문집 1권에 140제 223수, 19권에 1제 8수, 「연보」에 1제 2수로 나누어져 있다. 문집의 시에는 근체시가 많고, 근체시 중에서는 7언시와 절구가 많다. 이런 점은 7언고시가 없다는 점과 함께 『순암집』에 수록된 시의 특징적인 면이다. 『부부고』에는 모두 349제 569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중복되거나 다른 사람의 시를 제외하면 순암의 시는 모두 296제 474수이다. 그러나 1편의 시가 제목만 있기 때문에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순암의 시는 295제 474수이다. 『부부고』에는 수록된 시의 대체적인 양상은 문집과 비슷하다. 『순암집』에 수록된 시 중 6제 6수가 _부부고_에서 확인할 수 없는 시인데, _순암집_과 『부부고』의 시를 비교해 보면 『순암집』에는 성호의 시 1수를 제외하고는 원운이나 차‧화운시가 모두 누락되었다. 또 연작시 중에는 일부만 수록된 시가 많은데, 이는 편집 과정에서 순암의 행적이나 의식과 어긋난다고 생각한 시들을 삭제한 결과라 보인다. 마지막으로 _순암집_에서는 『부부고』의 편집 오류를 바로잡고 시어詩語를 수정한 시를 볼 수 있는데, 시어의 수정은 시의 의미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집과 수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순암집』에 수록된 시보다 많은 154제 241수의 시를 산삭해버림으로써 『순암집』에 수록된 시 만으로는 순암의 시세계를 온전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Although Sunam AnJungbok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his poetry.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due to a fixed idea of him by the academic intention and achievement of Sunam, and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his poetry works that are still incomplete.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basis for the full-scale research on the Sunam’s poetry compared to the Sunam’s poetry in Sunamjipp and Bubugo. Sunamjipp contains a poem of 143title 234pieces. However, since 1piece is the poem of Seongho, Sunam’s poetry is all 142title 233pieces. These poems are divided into 140title 223pieces in 1st volume of his collection of works, 1title 8pieces in 19<SUP>th</SUP> volume of his collection of works, and 1title 2pieces in annual report of his collection of works. There are many modern poem in the poetry of a collection of works, and many 7word poetry and Chinese quattrain among the modern poetry.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oem in Sunamjipp, with the fact that there is no 7word old poem. Bubugo all contains 349title 569 Pieces, which are 296title 474 Pieces except for duplicate or other people’s poems. However, since there is one poem has only title, the current poem of Sunam is 295title 474 Pieces. The general aspect of poetry recorded in Buubugo is similar to that of his collection of works. 6title 6pieces in the poem of Sunamjipp are Invisible in Bubugogo. but compared to poem of Sunamjipp and Bubugo, except of Seongho’s 1piece, removed all original and imitate poem in his collection of works. There are also deleting many Serial Poems that I thought were against Sunam’s actions or consciousness during the editing process. Finally, in Sunamjipp, you can see a poem that corrects Bubugo’s editing error and corrects the Poetic word,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made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meaning of poetry in detail and clearly.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editing and modification, it seems that the poem in Sunamjipp has created a new limit that is difficult to fully grasp Sunam’s poetry world by deleting 154title 241 Pieces more than the poems recorded in Sunamjipp.

      • KCI등재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한시漢詩의 수록 양상 검토—『순암집順菴集』과 순암順菴 『부부고覆瓿稿』소재 한시를 중심으로

        윤재환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Although Sunam AnJungbok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his poetry.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due to a fixed idea of him by the academic intention and achievement of Sunam, and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his poetry works that are still incomplete.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basis for the full-scale research on the Sunam’s poetry compared to the Sunam’s poetry in Sunamjipp and Bubugo. Sunamjipp contains a poem of 143title 234pieces. However, since 1piece is the poem of Seongho, Sunam’s poetry is all 142title 233pieces. These poems are divided into 140title 223pieces in 1st volume of his collection of works, 1title 8pieces in 19th volume of his collection of works, and 1title 2pieces in annual report of his collection of works. There are many modern poem in the poetry of a collection of works, and many 7word poetry and Chinese quattrain among the modern poetry.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oem in Sunamjipp, with the fact that there is no 7word old poem. Bubugo all contains 349title 569 Pieces, which are 296title 474 Pieces except for duplicate or other people’s poems. However, since there is one poem has only title, the current poem of Sunam is 295title 474 Pieces. The general aspect of poetry recorded in Buubugo is similar to that of his collection of works. 6title 6pieces in the poem of Sunamjipp are Invisible in Bubugogo. but compared to poem of Sunamjipp and Bubugo, except of Seongho’s 1piece, removed all original and imitate poem in his collection of works. There are also deleting many Serial Poems that I thought were against Sunam’s actions or consciousness during the editing process. Finally, in Sunamjipp, you can see a poem that corrects Bubugo’s editing error and corrects the Poetic word,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made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meaning of poetry in detail and clearly.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editing and modification, it seems that the poem in Sunamjipp has created a new limit that is difficult to fully grasp Sunam’s poetry world by deleting 154title 241 Pieces more than the poems recorded in Sunamjipp. 순암 안정복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 중 한 사람이지만, 그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런 현상은 순암의 학문적 지향과 성취에 의해 이루어진 그에 대한 관념적 인식과 아직까지 미진한 그의 시문학 작품의 수집과 정리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순암집』과 『부부고』에 나오는 순암의 시문학 작품들을 정리 비교하여, 앞으로 진행될 본격적인 순암 시문학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순암집』에는 143제 234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1수가성호의 시여서 순암의 시는 모두 142제 233수이다. 이 시들은 그의 문집 1권에140제 223수, 19권에 1제 8수, 연보 에 1제 2수로 나누어져 있다. 문집의시에는 근체시가 많고, 근체시 중에서는 7언시와 절구가 많다. 이런 점은 7언고시가 없다는 점과 함께 ,『순암집』에 수록된 시의 특징적인 면이다. 『부부고』에는 모두 349제 569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중복되거나 다른사람의 시를 제외하면 순암의 시는 모두 296제 474수이다. 그러나 1편의 시가제목만 있기 때문에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순암의 시는 295제 474수이다.『부부고』에는 수록된 시의 대체적인 양상은 문집과 비슷하다. 『순암집』에 수록된 시 중 6제 6수가 『부부고』에서 확인할 수 없는 시인데,『순암집』과 『부부고』의 시를 비교해 보면 ,『순암집』에는 성호의 시 1수를 제외하고는 원운이나 차 화운시가 모두 누락되었다. 또 연작시 중에는 일부만 수록된시가 많은데, 이는 편집 과정에서 순암의 행적이나 의식과 어긋난다고 생각한시들을 삭제한 결과라 보인다. 마지막으로 ,『순암집』에서는 ,『부부고』의 편집 오류를 바로잡고 시어詩語를 수정한 시를 볼 수 있는데, 시어의 수정은 시의 의미를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편집과 수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순암집』에 수록된 시보다 많은 154제 241 수의 시를 산삭해버림으로써 ,『순암집』에 수록된 시 만으로는 순암의 시세계를온전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SUB>崔興遠</SUB>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SUB>曆中日記</SUB>』내 한시<SUB>漢詩</SUB>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鄭煥局)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 『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 『역중일기』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_역중일기_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 KCI등재

        자유주제 : 『巖齋唱酬錄(암재창수록)』에 나타난 19세기 말 지방 인사들의 한시 창수문화

        김윤규 ( Yun-kyu Kim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19세기 말 한국문학사에서 한문 창작물은 가치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전통적인 교육을 받고 민족적 위기를 담당한 애국자들의 한문 문학은 마땅히 문학사의 중심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그런데 19세기 말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 뜻밖에 활발해진 한시 창작열은 어떻게 해명할 수 있는가. 한문 사용 능력이 신분의 표지와 동일시되는 사회에서 오래 살아왔기 때문에 조선 말기 신분이 해체되자 상승된 신분이든 원래의 신분이든 모든 士 계급은 한문학습과 사용에 활발히 참여했다. 그들은 이전에 제한되었던 한문 학습과 한시 창작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1897년을 전후하여 편집된 『巖齋唱酬錄』은 검토해볼 만하다. 이책에는 巖齋 李運基 자신을 제외한 116명의 인사들이 주고받은 시들이 수록되어있다. 이 책은 개인의 문집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암재 자신에 의해 지어진 글은 매우 적으며 타인이 차운해 준 唱酬詩文이 훨씬 많다는 특이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시를 지은 이들은 자신의 감회나 정서를 자발적으로 읊은 것이 아니라 암재에 의해 요청된 시를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들에서 개인적인 감회를 노래한 것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지어진 시들은 암재가 제시한 原韻의 의미망을 벗어나지 못했다. 주어진 운자가 비교적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해도, 지은이 들은 암재에게 주는 축하시라는 효용성에 기반을 두고 시어의 의미를 사용하였다. 고사를 인용하거나 인용된 고사를 활용할 때에도 상투적인 시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창의적 표현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창수시들은 이전 시기에 있었던 문학적 감동의 공유 전통을 이어서 다음 시기에까지 창화시들이 창작되게 한 문학사적 기능과 문학창작자의 범위를 넓혀서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다양화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작품집이 나오게 된 것에 대해 당시의 신분제도 붕괴와 이로 인한 신분상승 욕구를 참고하여 살펴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한문 창작이 신분 표지로 인정되던 시기라면, 새로 신분이 상승한 사람이든 원래 상층 신분의 사람이든 한문 창작에 열의를 보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as underestimated in late 19th century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patriots should indeed be considered as the core of history of literature even if it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Yet, how can unexpected creation fever of Sino-Korean poems from late 19th century to Japanese colonial era be explained? Since the ability to use Chinese character was equivalent to the social rank in Korean society, when the social rank collapsed at the late Chosun dynasty, every scholars of all social background began participating actively in us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ey could also participate in creation of Sino Korean poems, which was banned before.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巖齋唱酬錄』(Amjae antiphone poems), edited at around 1897, is worth examining. In this book of poem are poems exchanged by 116 figures except Amjae Lee Un-ki himself. This book seems to have property close to private collection, but actually works written by Amjae himself are very few and there are much more works given by others called 唱酬詩文(antiphone poems). The authors included here are mostly regional figures who don’t even appear in biographical dictionary. However, these figures agreed to write and give their piece of work enthusiastically, and as a result, this book was published. The poems included in this book do not voluntarily sing personal emotions, but these poems are created in accordance to a particular request and theme. It seems it is possible to relate the publication of such collection book with collapse of social rank and desire of social status rise. If contemporary period was when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presented social status, it must have been inevitable to be enthusiastic to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social background.

      • KCI등재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의 한시(漢詩)작품 수록 양상 연구

        장예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n attempt to present a quantitative analysis framework of a previous study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China, based on a database. The database, called ‘Databas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China’(DKLHPC), was established by the author of this paper. The introduction of Sino-Korean Poetry in the database has been analyzed here and is the focus of this study. Basic data can be presented as part of this analysis understand the achievements and trends of Chinese researchers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studying Sino-Korean Poetry. To realize the above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erms of period classification, writer composition, frequency of mentions, title notation, citation and content explanation of poems written in China. Subsequently, the results were compiled to be easy to grasp, in the form of tables and pic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works of poetry from the Joseon and Koryo periods are inclu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the number of works represented from the Three Kingdoms and the Pre-Three Kingdoms period is not small.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ancient poems. Looking at the number of works, the works of 20 artists, including Lee Kyu-bo, Lee Je-hyun and Choi Chi-won, account for more than half. The title marking method of other works show a trend that has changed from Korean translation to its original language (Chinese characters) or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titles in type of long-sentence are often written in Korean translation. The quotation and technical method of the original poem are similar. In books similar to the nature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1980s,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described in modern history, and in later books,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the main technology method. The proportion of quotations in poetry in books focusing on classical scholarship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literary history described in a syntactic style. This study will be continued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other literary genres and authors in the future. Basing on these results,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analyzing method and conclusion in research of literary history between Korean and Chinese scholars shall be comprehensively assessed in details. 본고는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 전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바탕으로, 중국 내 한국문학사 기술(記述)과 연구의 정량적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은 시도의 결과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에 등장하는 한국 한시 작품들의 양상 분석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중국의 한국문학사 연구자들이 한국 한시를 연구하고 있는 성과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상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쓴 한국문학사에 수록된 한시들의 시대 구분, 작가 구성, 언급 빈도, 제목 표기, 원문 인용과 내용 설명 등 면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와 그림 등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간략히 설명하면, 조선과 고려 시대의 한시 작품들이 문학사에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삼국과 그 이전 시대 작품에 대한 내용 분량이 적지 않다. 이는 고대의 한시 작품 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작품의 수량을 보면 이규보, 이제현과 최치원 등 20명 작가들의 작품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그 외 작품의 제목표기방법을 보면 현대역(現代譯, 현대 한국어로 번역된 글)으로 된 것으로부터 한자 또는 한자음으로 변화된 추세가 보인다. 그렇지만 글자가 많고 문장체 제목은 계속 현대역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집필한 한국문학 연구자들이 바라보는 한국문학에 대한 주요 관심 포인트 혹은 그들이 생각하는 한국문학사만의 독특한 특징이 무엇인지를 정량적으로 확인 가능한 지표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 내 한국문학사 연구자들은 어쩔 수 없이 자국문학사(중국문학사)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국문학사를 이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향후 다른 문학 작품과 작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중 학자들이 문학사 서술의 방법과 관점에 나타난 이동(異同)을 종합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볼 계획이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崔興遠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曆中日記 』내 한시漢詩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 – 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曆中日記 』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역중일기曆中日記 』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역중일기曆中日記 』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