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論文) : 王夫之 『송론(宋論)』의 王安石 개혁에 대한 평가

        이근명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91 No.-

        王夫之對王安在嚴格的分析之後, 將王安石定性爲“小人·奸人”, 他認爲王安石的識見與性情是淺陋, 因爲王安石玩弄權術, 故而遭受了被手下背叛和晩年喪子的業報· 王安石這樣的人物之所以能橫行나個年代, 就是因爲無人有能力支持神宗雄大的抱負, 世無英雄, 遂使竪子成名· 王夫之認爲司馬光·韓琦·富弼等的當時名臣都有各自問題· 接著對王安石所實施的諸新法詳細的分析· 他認爲新法當中靑苗法·均輸法·市易法等有爲害較大, 而後代采擇保馬法·免役法·科擧制改革·保甲法等·新法有上面的害, 可是後代人采用新法, 所以這兩點是有爭論的問題· 明代沿襲保馬法, 其對民間危害也不小; 保甲法徒有形式, 而無實際效果, 幷加重了百姓的負擔; 免役法比差役法, 確有改良, 但兩稅法中實際已收免役錢, 再征免役錢實是重複征收; 而科擧制改革比其他新法有實質改良, 但亦被後代所歪曲· 王夫之在對新法有批判中尤其關注對外戰爭· 首先, 王夫之對以王韶爲中心的熙河經略進行了批判, 他認爲, 不是正道的邪術應該失敗· 王夫之對熙河經略斷言: “吹劍首者之一혈而已矣·”最後, 王夫之言及章惇的湖北一帶少數民族征服戰· 這事情明顯的標出王夫之的名分論· 他評價章惇爲, 盡管“章惇之邪, 卓然無待辨者·” 但是他征伐湖北地區蠻夷却是正確的· 王夫之的論述個性鮮明, 充滿氣魄· 但有時却過於的氣魄, 從而使其文章前後出現矛盾, 有時還會在事實認識上出現謬誤· 這些問題反映了他抱 在淸朝統治下的痛苦, 或他自身在湖南裏被關的情況有關· 因爲則不僅他在湖南一帶以外的地方沒名氣而且他的論調包含强烈的氣魄, 故他的著述在淸朝末有强烈的吸引力· 至今在中國大陸·日本·歐美以及韓國國內學界都肯定新法的社會政策的一面, 而對王安石的作用有好意的評價· 『宋論』 「神宗篇」理解再構成王夫之的思想和對王安石的認識與傳統時代評價提供重要的材料·

      • KCI우수등재

        교역에 대한 宋朝의 태도와 高麗海商의 활동

        김영제(Kim Young-Jae) 역사학회 2012 역사학보 Vol.0 No.213

        The Song Dynasty limited trade to countries which represented a military threat to their regime. However, when a country did not impinge upon Song’s safety, then that country was permitted to trade. In the case of Khitan(遼), which the Song regarded as a hostile country, land trade(?場交易) monitored by authorities was permitted, but marine trade(海上交易) was forbidden. After the invasion of Khitan, Goryeo broke off relations with Song, and was forced to align with Khitan. Consequently Song regarded Goryeo as under the control of a hostile country, Khitan. As such, Goryeo could not dispatch its own marine merchants to Song. During the King Renzong’s (仁宗) reign, the Song Dynasty had intentions to align with Goryeo to restore its diplomatic power. As such, Renzong of Song suggested that if Goryeo aligned with Song, it could trade with Song. After Shenzong(神宗) of Song ascended the throne, he suggested this issue to Goryeo again, and following Goryeo eventual acceptance, the alliance was formalized. Since Munjong of Goryeo allied with the Song, the activities of Goryeo merchants had been identified as of particular interest. Due to the participation of Goryeo merchants, sea trade in East Asia was no longer exclusively composed of Song merchants, which triggered increases in multilateral trade. Meanwhile Goryeo merchants continued to come and go to official ports in Southern China except during the outbreak of war in China itself.

      • KCI등재후보

        高麗 文宗시기 麗宋 國交 再開에 관한 연구

        이장욱(Chang Wook Lee)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1

        본 고는 고려 문종 시기의 여송 국교 재개에 관한 연구로 분문의 내용을 5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문 1장은 들어가는 말로 11세기의 동북아 국제정세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여송 국교 재개의 배경을 설명하고, 3장에서는 여송 국교 재개의 원인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여송 국교 재개의 전개로 양국의 견해 차이와 더불어 국교 재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5장은 나오는 말로 국교 재개를 통해 얻은 결론을 기술하였다. The following paper is trying to examine the restoration of th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ng China and Koryo dynasty during the late 11th century. This paper is also try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tly written Chinese and Korean primary sources especially in relating to the 1068-1071 historical incidents.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11th century not only formed a new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but also established a balance of power among the Khitans, Song China and Koryo dynasty, such that there was no single power dominated. Peaceful conditions were thus maintained and led to economic and cultural prosperity in this area. After Koreans accepted Khitan supremacy through the long wars between the two states in 1019, the Koryo dynasty had sought strategically important ally in East Asia, particularly with the Song which eventually restored th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s during the 1068-1071. Since that time, the relations between the Song and Koryo dynasty were so close that they not only exchanged envoys but also many cultural products. For instance, In 1079, when King Munzong of Koryo fell ill, Emperor Shenzong had specially sent medical officials to cure the aged Korean king as an expression of the importance of this state to the Song government.

      • KCI등재

        王安石 新法의 시행과 黨爭의 발생

        이근명(Lee, Geun-m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6 No.-

        1069년 조례사의 설치와 더불어 시작되는 왕안석의 개혁, 즉 신법은 송대 역사의 전개 중대한 분수령이 되었다. 왕안석의 신법은 기존의 제도 거의 모두에 대해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송의 정계는 신법에 대해 찬동하는 관료와 반대하는 세력으로 양분되었다. 왕안석의 개혁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매우 다기롭게 추진되었지만 대체로 부국책과 강병책으로 양분할 수 있다. 부국책으로는 균수법•청묘법•시역법•모역법 등을 들 수 있으며, 강병책으로는 보갑법•보마법•장병법 등을 들 수 있다. 신법의 조항으로는 이 밖에도 農田水利法•淤田法•方田均稅法•免行法•倉法 등이 있었으며, 나아가 신법의 개혁은 軍器監의 설치와 과거제의 개혁 등에까지 미쳤다. 이렇게 단행된 신법은 재정적은 측면에서 보는 한 놀라운 성과를 올렸다. 이미 조례사의 존립 시기부터 신법의 재정 확보 효과는 눈부셨다. 균수법과 청묘법 모두 실행 당시부터 많은 논란을 불러있으키고 있었으나 재정 확보의 효과만은 두드러졌다. 이후에 실시된 신법의 제 조항, 즉 모역법과 시역법•면행법•방전균세법 등으로 말미암은 재정적 효과도 대단히 컸다. 하지만 이러한 재정 잉여의 축적은 그 자체 신법의 그늘을 잘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단기간에 이처럼 놀라울 정도의 재정 잉여를 축적했던 것은 그 만큼 신법의 무리하게 추진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구법당 인사들이 일관되게 말해던 것처럼, 신법으로 말미암은 국고의 잉여 축적은 모두 백성들로 부터 징수된 것이었다. 신법 반대론자들은 설령 입법의 취지가 소농민의 보호라는 선의를 지니고 있다 할지라도, 지방 단위에서 시행될 때는 왜곡되는 단면이 많다고 말하였다. 실제로 중앙정부에서 신법의 시행을 독려하며 그 실적과 관료에 대한 평가를 결부시키기 때문에, 지방관은 각 신법 실시를 무리하게 추진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중국 전통시대의 지식인들은 왕안석 및 그가 주도한 신법에 대해 거의 대부분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이미 왕안석이 신법을 실행 할 때부터 자리잡기 시작하여 남송시대가 되면 대세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이후원대와 명, 청으로 이어지면서도 그러한 부정적 평가의 대세는 흔들림이 없었다. 오히려 후대가 될수록 악평은 점점 도를 더하여 가서, 신법은 물론이려니와 그의 인격과 학문까지 송두리째 부정하게 되었다. 왕안석의 신법은 神宗 熙寧 2년(1069) 2월 부재상인 參知政事가 되어 制置三司條例司를 설치하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신법에 대한 반대 역시 이와 거의 동시에 제기되었다. 우리는 신법에 대한 반대 인물이라 하면 무엇보다 먼저 司馬光(1019∼1086)을 떠올리게 된다. 사마광을 두고 구법당의 영수라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마광이 신법 반대파의 상징과 같은 인물로 자리잡는 것은 哲宗 元祐 연간의 일이다. 희녕 연간 신법이 시행될 당시 신법에 대한 반대는 조야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특히 韓琦, 文彦博, 富弼, 歐陽脩, 趙抃, 唐介 등의 노신들은 거의 한 목소리로 신법에 반대하였다. 당시 신법에 대한 반대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젊은 언관들의 활동이다. 이들은 신법의 실시 직후부터 노신들과 보조를 같이하며 거의 예외 없이 반대파의 진영에 섰다. 신법의 제조항이 도입될 때마다 가장 적극적이고 극렬한 어조로 반대하였던 인물들도 대부분 御史臺와 諫院의 관료를 중심으로 한 언관들이었다. 구법당 인사들의 왕안석 및 신법에 대한 비판은 매우 다기롭게 진행되었으나, 그러한 비판과 부정의 밑바탕에 관류하는 정신은, 바로 송조적 전통과 성취를 두고 왕안석이 부정하는 것에 대한 정서적 반감이었다고 여겨진다. 왕안석의 개혁은 송조적 전통에 대한 철저한 부정에서 출발하고 있다. 송조의 정책과 체제를 송두리째 개변시켜 古制로 복귀하는 것, 그것이 바로 왕안석의 지향이었다. 신법은 당시의 사대부들이 지니고 있던 송대적 발전에 대한 자각과 자부심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것이었다. 구법당 인사들의 왕안석 비판의 기저에는 바로 이러한 정서와 인식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라 판단된다. Wnag An-Shi's New Policy was confronted with criticism from many corners. Almost all the intellectuals since Nan-Sung were against Wang and his New Policy. Such an opinion persisted down to the end of the pre-modern period. One can say that the criticism against Wang had its root cause on the widespread antipathy against his policy and philosophy. Wang's policies and philosophy definitely distance themselves from those of the mainstream moralcracy of the Confucianism. Wang emphasized the role of the state power, and emphasized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islation. Wang's view as such was indeed differed considerably from that of traditional Confucianists. One can find in his new policy many aspects similar to the view of Guan Zi. Some aspects of Legalism are also observed. These disparities in political philosophy were the root causes of the antipathy of Chinese intellectuals against Wang in the traditional period.

      • KCI등재

        왕안석의 집권과 신법의 시행

        이근명(李瑾明)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治平4년(1067) 정월 神宗이 20세의 나이로 즉위했을 때, 북송은 여러가지 모순에 직면해 있었다. 神宗은 즉위 이후 의욕적으로 국정에 임하며 개혁을 지향했다. 그런데 주목할 사실은 이러한 개혁지향의 배후에는, 거란과 서하에 대한 굴욕적인 관계를 청산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신종의 적극적인 개혁의 모색에도 불구하고, 司馬光이나 富弼및 韓維등 당시의 대신들은 그의 개혁의지에 부응하지 못했다. 그들이 제시하는 방책이란 節減을 위주로 하는 소극책 일변도였다. 때로는 신종의 중심된 관심사인 군사문제를 당분간 거론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인물조차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혁을 추진해갈 대안으로 주목한 인물이 王安石이었다. 당시 왕안석은 거의 지방관으로만 일관하며, 중앙의 발탁에 대해 거듭하여 사양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앙정계에서의 경력이 거의 전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무렵 왕안석의 명망은 朝野에 널리 퍼져 있었다. 신종 또한 즉위 이전부터 이러한 왕안석의 명망을 접하고 있었다. 왕안석은 熙寧元年(1068) 4월 입경하여 신종과 대면했다. 그는 신종에게, 요순을 본받아 簡要하고 번잡하지 않은 정책을 펼 것을 제안했다. 그 구체적인 방향은,‘백성의 부담은 늘리지 않으면서도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신종은 왕안석과 담론을 거듭하면서 그의 중용의사를 굳혀갔다. 하지만 왕안석은 신종이 자신의 중용방침을 너무 급속히 추진하자 그것을 만류했다. 자신의 견해를 충분히 이해한 후에 실행에 옮길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신종은 듣지 않고 마침내 그를 만난지 불과 10개월만인 熙寧2년(1069) 2월 參知政事에 임용하였다. 왕안석의 개혁주장을 중심으로 한 정국운영의 의지를 명확히 한 것이다. 制置三司條例司가 설립되는 것은 熙寧2년(1069) 2월 왕안석이 參知政事로 발탁된 직후의 일이었다. 왕안석을 중심으로 한 정권이 구성되면서 곧바로 개혁을 위한 임시기구로 발족한 것이다. 그런데 條例司창설의 직접적인 계기는, 신종이 왕안석에게 서하전쟁에 대한 대비책을 자문했던 일이다. 이에 대해 왕안석은 물자통제력을 국가권력이 장악하여 그 유통과정에서 재정을 확보할 수 있는 기관의 설치를 주장했다. 그 결과 制置三司條例司가 설립되기에 이른다. 條例司는 三司의 전반적인 정책을 점검한다는 의미를 지닌 기관이었으나, 형식상 中書에 배속되어 있었다. 결국 條例司의 설치는 민정기관인 中書에서 재정을 통솔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治平四年(1067)正月, 二十歲的神宗卽位之際, 北宋面臨着各種矛盾和問題. 神宗卽位後, 積極地參與國政、想要推行改革. 但値得注意的是, 這些改革意向的背後, 蘊涵着神宗自己的願望, 卽宋朝對契丹和西夏的屈辱性對外關係之終結. 儘管神宗要積極推行一系列改革措施, 司馬光、富弼、韓維等官僚大臣嘗未適應於這些改革要求. 他們所提出的對策皆以節省爲主的消極性經濟政策一邊倒. 而且甚至有的主張暫時應該不提神宗本人最關心的軍事問題.這種情況下, 王安石作爲推行改革的代行人物, 受到神宗的注視. 當時王安石一直任地方官, 反復推辭中央政府的重用邀請. 雖然王安石沒有當過中央官吏的經歷, 但他的名望在朝野上漸漸高起來了. 神宗也從卽位之前一直聞到他的聲望.熙寧元年(1068)四月, 王安石入對, 向神宗提出: “每事須以堯舜爲法”, 實施“至簡而不煩”的政策. 此政策的具體方向是: 不加重百姓的負擔, 而確保國家財政收入. 神宗與王安石屢次長談後, 下了起用王安石的決心. 對神宗要及時擢用王安石的意向, 王安石再次表示推辭, 因爲他覺得神宗充分理解自己的說法後才能實行改革. 可是神宗不聽王安石的話, 相見才十個月之久的熙寧二年(1069)二月, 遂擢用王安石爲參知政事. 這明確地表示神宗使王安石擔當國政推行改革的意志.熙寧二年(1069)二月, 神宗起用王安石爲參知政事後, 設“制置三司條例司”. 這就說明以王安石爲中心的政府成立, 立刻組織爲推行改革的臨時機構. 但此條例司的設立之背景和動機, 是關於與西夏作戰時的對策, 神宗向王安石徵求意見之時, 王安石主張設立特別機構, 稱爲“條例司”, 其設立之目的就在由國家權力掌握和控制物資及其流通過程,以確保國家財政收入. 條例司主持變法的機關, 籌劃與制定新財政政策, 改變舊法, 頒布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려사절(高麗使節)에 대한 북송정부(北宋政府)의 례우(禮遇) -신종대(神宗代) 고려사절(高麗使節)에 사행려정(使行旅程)과 관련(關聯)하여

        김영제 ( Young Jae Kim )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4 No.-

        Sinc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the Emperor had a reception with Koryo mission in person in his palace who reached from 200 to 300 and were made to come up to capital. Specially the Emperor Shenjong(神宗) treated Koryo mission with more marks of distinction. For example, there were many cordial receptions such as in going and returning from the port to the capital, staying guest house-Tongwenguan(同文館)- in the capital, and receiving return presents(回賜品). Northern Song Dynasty was bothered by Khitan(契丹) from North, Tanggut(黨項) from Northwest, and Vietnam(交趾) from Southwest, antagonizing military. In such circumstance, Northern Song needed to draw Koryo as its ally. Therefore the Emperor Shenjong approached Koryo to enthral and treated Koryo mission with respect. Consequently Khitan made their armaments disposed newly to Koryo for fear both Koryo and Song made a pincer attack. Accordingly Song Dynasty won a diplomatic success dispersing Khitan′s armaments. In case of Ming(明) Dynasty, to warn Notrh Yuan(北元)from north, Vietnam and Japanese pirate from south, Ming Dynasty needed to draw Chosun as its ally. Therefore Ming referred to precedent of Northern Song Dynasty, treated Chosun delegates with respect, also it is judged that Qing Dynasty succeeded the same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