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간과된 변수: 투표율에서의 성차(Gender Gap) 분석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1 의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여성의 투표 참여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2017년 이후 치러진 세 개의 다른 선거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투표율 자료를 사용해 투표율에서의 성차에 관해 집합 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 수준에서 볼 때 한국에서도 투표율과 관련해 현대적 성차는 선거의 종류와 상관없이 대다수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둘째, 투표율에서의 성차가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고령층에서 투표율이 감소하는 이른바 ‘과부 효과’에서의 성차, 그리고 새롭게 유권자가 된 집단에서 현대적 성차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20대 후반에서 발생하는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 현상은 모든 선거에서 지역을 불문하고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경제적으로 발전된 곳에서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가 더 뚜렷해지는지 여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연령대별로 현대적 성차 경향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장 근대화한 서울시 자치구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에서 가장 근대적인 강남구와 서초구는 다른 구와 비교할 때 현대적 성차경향이 오히려 약하고, 이른 연령대에서 전통적 성차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인다. 위의 결과는 투표율에서의 현대적 성차는 이제 한국정치에서 보편적인 현상이고, 새롭게 충원된 현대적 성차가 계속될수록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여성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더욱 주목해야 하지만, 이를 더욱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화가 진전될수록 자연스럽게 투표율에서 현대적 성차 경향이 강화될 것이라는 발전론(developmental theory)적 접근을 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for three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held since 2017 at the aggregate level using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ssion’s turnout data,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women’s vot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at the aggregate level are confirmed in most regions regardless of election types. Second, the gender gap in turnout varies with age. The gender difference is verified in the “widowhood effect,” where turnout decreases in the oldest-old. In the new voter group, modern gender gaps appear in most regions. The reversed gender difference in turnout in the late 20s, which reflects the Korean society’s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in all elections. Third, it is unclear whether the reverse gender gap in turnout becomes more pronounced in urbanized districts. As urbanization progressed, modern gender differences in voter turnout across age groups are observed at the population-based size level. Paradoxically, the modern gender gap tends to be weak and turns into the traditional gender gap in younger age groups (in the late thirties) in Gangnam-gu and Seocho-gu, the most modernized districts in Seou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n gender gap in turnout is now a common phenomenon and continues to be strengthened by newly recruited voters in Korea. Thu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female voters’ political behavior and a new approach beyond the developmental theory to understand the causal mechanism to generate the modern gender gap in voter turnout.

      • KCI등재

        성별에 따라서 사전지식과 ICT활용능력이 디지털교과서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변호승,서정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사전지식 및 ICT활용능력이 디지털교과서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기반의 학습환경에서는 성차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학습환경에서도 이러한 성차문제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기반 학습환경에서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컴퓨터활용능력이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수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차와 컴퓨터활용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권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이며, 남학생 297명(51.74%)과 여학생 277명(48.26%)이었다.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형태동일성과 측정동일성 가정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다집단분석을 위한 기본가정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구성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판정에서 대체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학업성취에서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CT활용능력에 따른 효과는 여학생집단과 남학생집단 사이에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여학생집단에서는 ICT활용능력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 고 있지 않았지만, 남학생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성차효과가 존재한다고 볼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ICT활용→사후성적 경로에 대한 여학생집단과 남학생집단의 모수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 적용연구에서는 성차효과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은 노트북효과(laptop effect)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ICT competency and gender have affected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The literature reviews on computer assisted learning consistently show gender gaps in various aspects. These gender gaps was based on some of the following reasons, comfortableness of using computers, computer accessibility, ICT competency, and computer efficacy rather than on biological factors. Additionally,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se gender gap factors may not only come from school factors but also from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these literature reviews, it is worth identifying if there is a gender gap effect on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analysis focused on testing how ICT competency and gender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CT competency level mediating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was also significant for 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perhaps because of the laptop effect of applying digital textbook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se laptops, therefore, may decrease the gender gap.

      • KCI등재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의 과목별 적용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효과에 대한 잠재평균비교

        류지헌,변호승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의 적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1)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분석과 2) 디지털교과서 적용집단에서의 성차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차 자료에 의한 분석기법을 적용했으며, 2008년도에 수집된 디지털교과성 효과성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2008년도 연구에서 디지털교과서 연구에 참여한 연구학교 중에서 도시지역 초등학교 5학년생 1,151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과목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이었다.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은 574명(49.87%)이었으며, 서책형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은 577명(50.13%)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의 적용효과 분석을 위하여 잠재평균분석 기법을 적용했다. 연구목적①을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 및 서책형교과서 활용집단에 대한 과목별 적용효과를 분석했다. 연구목적②를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에 한정해서 성차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목에서만 디지털교과서의 적용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과목(국어, 수학, 사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성차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국어과목에서 여학생 집단의 성적이 남학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나타났다. 그러나 진단평가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국어와 사회에서 여학생의 성적이 높았던 것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함으로써 사회과에서는 성차효과를 줄이는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적용효과는 과목에 따라서 다르다. 둘째, 디지털교과서는 교과목에 존재하는 성차효과를 줄이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효과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효과의 분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생변수나 학습자변수를 고려한 종단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 the effect of digital textbook and 2) gender differences in use of digital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etting. For the analysis a latent mean comparison technique was applied with the secondary data from a previous study conducted in 2008 for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 study. For the first research goal, the total sample size was 1,151 5th grade students from eleven elementary students. 574 students were the digital textbook group (49.87%), and 577 students (50.13%) were assigned to the ordinary textbook group. For the second research goal, female students were 277 (48.3%) and male students were 297 (51.7%) in the digital textbook group. A latent mean comparison was appl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using digital textbook and gender difference in digital textbook. The result revealed that only sc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The digital textbook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score. The other subject matt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o the gender difference in using digital textbook group, language and English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tha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chievements. However, there had been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diagnostic evaluations for language, social studies, science, English before the research. Science and social studies did not show gender differences after all.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use of digital textbook reduced the gender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tructional model specialized for the digital textbook should be more focused. Usability studies in digital textbook will be nee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digital textbook.

      • KCI등재

        라깡의 성차공식과 예술의 해석

        박서현(Seo-Hyun Park)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라깡의 성차공식을 자세히 분석하여 라깡의 성이론에서 남성적 주체와 여성적 주체는 어떻게 구성되며 이 둘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본다. 팔루스 질서에 사로잡힌 남자와 상징계 질서를 넘어서는 여자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나는 너를 안다’라는 지식의 폭력으로 상대를 포섭하지 않고 관계를 맺어야하는 과제를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가? 나아가 남성적 주체와 여성적 주체가 관계를 통해 예술작품의 해석에 있어 새로운 태도와 윤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기대한다. 예술작품에서 어떤 지식을 이끌어내려 시도한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는 남성적 주체의 입장을 경험하게 된다. 상징계 너머에서 우리에게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는 예술을 여성적 주체라 가정한다면, 우리는 작품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acan’s sexuation theory. It aims to show a thread of connection between the women’s jouissance that feminine subject enjoys in the Lacan’s theory and the interpretation of art. According to lacan, the subject must experience alienation and divisions. As a result of division, the subject cannot fully know about her own desire. A woman is a lack of language and knowledge. There is no place of being women in the social codes. She exists as a mystery like art. A woman means love or art. Through the examinaion of sexuation, this paper try to find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art.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성차(性差) 교육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 -일본어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윤호숙 ( Ho Sook Yo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09 일본어교육연구 Vol.17 No.-

        現代では、女性の社會的地位の向上によって、男女の言語の差が次第になくなりつつあるという指摘が增えてきている。しかし、依然として女性語が發達しており、男女差が大きいという点が、日本語の代表的な特徵として指摘されることが多い。本調査においても、性差(gender)による男女の言語の差が、音韻、語彙、文法、談話等、日本語全般でみられる。從って、日本語敎育現場においても、このような日本語の性差に對する指導が必要とされているが、韓國の日本語敎育現場では男女の言語の差に關する指導が殆んど行われていないのが實狀である。また、日本語の性差を敎育と關連づけて考察した硏究も多くないと言える。よって、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を對象とした初·中級日本語會話の敎材に見られる性差表現の使用實態を言語全般に渡って考察し、先行硏究に基づいて檢討した上で、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日本語敎育とどういった關連があるのかを究明する。考察の結果、初、中級敎材ともに、性差の表現が多用されており、その中で最も多く見られるのが終助詞で、「ね」「よ」「よね」「わ」の順で多かった。次に多く用いられたのは、感動詞で「ああ」「あ」「まあ」「さあ」の順であった。このように初級と中級の敎材には、性差の表現が多く使用されているにも關わらず、これに關する說明は殆んどなかった。今後、實用的なコミュニケ―ションの運用能力の向上と日本人との円滑なコミュニケ―ションの實現のためには、性差に關する指導と敎材作りがなされるべきである。

      • KCI등재

        성차발생요인에 관한 비판적 고찰

        심재호 ( Jae Ho Sh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연구 Vol.0 No.53

        성차의 원인은 무엇인가? 생물학적 입장에서는 해부학적 차 이와 호르몬의 작용으로 설명한다. 해부학적 차이로는 이형접합(anisogamy) 와 수정란의 여성체내잉태(internal gestation)로 인해 성차가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생물학적 입장에서 가장 강조하는 요인은 남성 과 여성의 두뇌의 차이이다. 대개 남성의 두뇌가 여성의 두뇌보다 더 크지만,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 로겐(estrogen)의 작용으로 성차 메카니즘이 발생된다. 한편 정신분석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과하면서 남성, 혹은 여 성의 위치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 핵심적인 내용이지만, 프로이드의 유 아성욕론에 따르면, 아이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성적 활동을 시작한다. 프로이드는 유일한 리비도인 남성적 리비도에서 어떻게 남성, 여성으로 분화되는지에 대해 명쾌하게 해명할 수 없었다. 그래서 여성성을 미지 의 대륙, 즉 알 수 없는 존재라고 정의했던 것이다. 라캉에 이르러서도 이 문제의식은 그대로 계승된다. 아이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과하면서 남아는 아버지와 동일시하고, 여아는 어머니와 동일시하면서 남 성, 여성으로 분화된다는 프로이드의 이론을 수정하여, 모든 아이는 아 버지와 동일시하고 대상은 항상 어머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라캉의 이론 속에서도 남성성이 유일한 리비도로서 전제되기 때문에, 프로이드 의 남성리비도 일원론을 그대로 계승하는 셈이 된다. 이것은 곧 여성성 은 남성성의 범주를 벗어나는 개념으로 남성성이 포괄하지 못하는 어 떤 범주를 드러내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남근 중심적 성차인식 때 문에 정신분석은 페미니즘의 맹렬한 공격을 받게 된다. 프로이드로부터 시작된 정신분석학은 19세기 후반의 위대한 업적이었 다. 우리 안에 있는 ``타자``인 무의식과 더불어 성 정체성과 성차에 관 한 논의를 발전시키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축적된 성과물 들을 바탕으로 성 정체성과 성차, 나아가서 인간의 정신구조를 탐구하 는데 현대 정신분석과 페미니즘, 그리고 진화심리학이 상호간의 업적을 수용하고 비판하면서 변증법적 발전을 지향해 나갈 때, ``차이속의 평 등``이기도 하고, ``평등속의 차이``이기도 한 성차문제는 인간남녀의 진정 한 모습을 발견할 것이라는 점을 각 입장들의 주장들을 살펴보고 비판 하고자 한다. What is the cause of sexual difference? In the biological position, it is explained by the anatomical difference and the hormone actio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the sexual difference by the anatomical difference is generated by anisogamy and the feminine internal gestation of embryo. But the first point in the biological standpoint is brain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Usually the size of male brain is bigger than that of female brain, but the sexual mechanism is generated by the action of male hormone testosterone and female hormone estrogen respectively. Meanwhile, the important point in psychoanalysis is that while passing the Oedipal phase, the position of male or female is settled, but according to Freud`s infantile sexuality theory, infant starts a sexual activity from the moment of birth. But Freud was not able to explain explicitly how the only male libid.o is split into male or female. And so he defined femininity as an unknown continent. This critical mind passes down to Lacan as it is. He modifies Freud`s theory that while passing the Oedipal phase, male infant identifies himself with his father and female infant identifies herself with her mother, and insists that every infant identifies himself with his father, and the object is always his mother. However, because masculinity is presupposed as the only libid.o also in Lacan`s theory, Freud`s theory of the only male libid.o passes down to Lacan as it is. Therefore, femininity is defined as the concept beyond the category of masculinity or as the concept revealing a category of masculinity not containing. Because of this phallocentric sexual difference cognition, psychoanalysis is attacked by feminism ferociously. Psychoanalysis by Freud was great achieve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It made an innovativ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on the sexual identity problems and sexual difference along with unconscious, the Other in us. When, based upon these accumulated outcomes, we aim for dialectical development, accepting and criticizing the mutual achievements of modern psychoanalysis, feminism and evolutionary psychology, the sexual problem, ``equality in difference and difference in equality alike`` lets us find human male or female true identity. This writer will examine respective viewpoints and criticize them.

      • KCI등재

        부양에서 돌봄으로 : 경북지역 대학생의 부모부양인식 차이에 대한 세대모형과 성차모형 분석

        박길환,장성익,서정욱 대한지방자치학회 201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부양세대인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부모부양에 대한 인식의 남녀 간 차이에 대한 핵심적인 2가지 모형(부모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모부양 – 세대모형, 배우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모부양 – 성차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다. 제시된 두 모형 내에서, 개인(인식)요인, 사회적 요인, 가족요인이 대학생들의 부모부양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고찰을 시도한다. 연구대상은 경산 및 경주지역 대학생(233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서열형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세대모형에서는 개인(인식)요인으로서 도덕적·윤리적 측면으로서의 부모부양 의무가 대학생들의 부모부양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경제적·금전적 요인(부양관련 유산상속)은 오히려 부양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모형에서는 세대모형과는 달리 남녀 간의 인식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거와는 달리 여성이 부모부양에 상당히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부모부양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는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층의 부모부양 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가 되는 동시에, 대학생들의 부모부양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부모(노인)부양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s the young generation for caregiving for the aging parents. This study present generation model and gender model to explore caregving percept for the aging parents in the young generation. The main research target is college students(N = 235) in Gyeongsan city and Gyeongju city. We conduct the ordered logit analysis by using SPSS and Stata. In generation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nse of duty of college student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giving perception for the aging parents. In gender model, this study finds out the considerable difference in caregiving perception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study provides us with basic data to grasp caregiving perception for the old aging parents of college students. The empirical analysis of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caregiving can use the important policy grounds for establishing caregiving support policy for the aging.

      • KCI등재

        한일 이성 간 첫 대면 대화의 화제에 관한 연구 -화제제시방법 및 화제도입의 사회적요소를 중심으로-

        이선옥 ( Lee Seon-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8

        본고는 한일 이성 간 모어화자 끼리의 첫 대면 대화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항목은 `화제제시방법`과 `화제 도입과 사회적요소와의 관련성`이다. 우선 `화제제시방법`은 크게 `질문`과 `자기개시(자기노출)`로 나누어 분석했다. `질문`은 구체적으로 `직접형, 말끝흐림(중도종료형), 서술형, 동의요구형, 명사종료형`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자기개시(자기노출)`는 구체적으로 `의견, 경험, 능력, 상황설명, 개인정보` 등 10개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분석의 결과, 일본인남녀는 한국인남녀보다 `질문`으로 화제를 제시하는 비율이 많았으며, `자기개시`방식의 화제 제시는 한국인 남녀가 많았다. 한일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에서는 한국인은 자기개시로, 일본인은 질문으로 화제를 도입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질문`의 구체적 분류에서 `저~, 출신은 어디....?`와 같은 말끝흐림(중도종료형) 질문이 일본인 대화에서 한국인대화의 2배정도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자기개시`의 구체적 분류에서 `의견(생각)`으로 화제를 제시하는 방법은 한국인 대화에서 많이 관찰되었으며, `경험`을 말하며 화제를 제시하는 경우는 일본인 대화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이성간의 첫 대면대화에서 남성이 화제를 도입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에 화제도입에 성차 이외의 요소가 작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에서는 연령과 같은 사회적 요소는 화제도입에 관여하지 않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화제를 많이 도입한다는 성차요소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만의 특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 native speakers from Korea and Japan. The analysis items were `the way of introducing a topic` and `the relevance to introduction of topic and social elements`. First, `the way of introducing a topic` was largely divided into `question` and `self-presentation (self-disclosure)`. `Question` was classified into `direct type`, `terminal blur` (mid-end type), narrative type, consent type, and noun-end type. `Self-presentation (self-disclosure) was classified into `opinion, experience, capability, situation explanation, personal information, feeling (emotion), preference, personality, memory, di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atio of the Japanese males and females who started dialogue with `ques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males and females, while the ratio of the Korean males and females who presented a topic with `self-presentation` were higher. Initial conversation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opposite gend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Koreans usually presented a topic with a self-presentation, while the Japanese usually presented a topic with a ques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question`,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s of terminal blur (mid-end type) from the dialogues of Japanese speakers. For instance, questions like “Uhmm… Where are you from…?” were twice as many as those from the dialogues of Korean speakers. Moreover, among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self-presentation`, the way of presenting a topic with `opinion (idea)`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alogues of Korean speakers. The case of presenting a topic with `experience`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alogues of Japanese speakers. Second, because males tended to introduce a topic in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ctors other than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presenting a topic. In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s, social factors such as age were not involved in the presentation of topics, and only gender factors such as males usually initiating topics in conversations than females were significant. This tendency seems to be the exclusive characteristic of the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the opposite genders.

      • KCI등재

        한일 이성 간 첫 대면 대화의 화제에 관한 연구 -한일 문화요소 및 성차요인을 중심으로-

        이선옥 ( Lee Seon-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6

        본고는 한일 이성 간의 첫 대면 대화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20~30대 연령의 한국어 모어화자 이성 간의 첫 대면대화(10건)와 일본어 모어화자 이성 간의 첫 대면 대화(10건) 각 30분간을 자료로 화제의 한일 문화요소 및 성차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大화제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해 많았으나 小화제는 그 차이가 적었다. 大화제의 경우 한국인 남녀는 대학, 사는 곳, 신상, 대학원, 동아리 순으로 발화량과 화제 제시 횟수가 많았다. 일본인 남녀는 한국, 대학, 사는 곳, 언어, 일 순으로 발화량과 화제 제시 횟수가 많았다. 차이점으로 한국인은 신상, 동아리라는 화제를 많이 제시한 반면 일본인은 출신, 아르바이트에 관한 화제제시 비율이 높았다. 小화제는 한일 모두 대학원과 관련된 화제가 발화량이 많았다. 지나간 화제가 다시 언급되는 경우는 한국인 남녀 대화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일본인 남녀 대화에서는 한 건 밖에 관찰되지 않았다. 화제 제시 주체를 살펴본 결과 한일 모두 남성이 화제를 많이 제시하였다. 첫 대면에 등장할 수밖에 없는 침묵 현상 후의 화제 제시 비율은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해 많았고 성차를 고려해 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 native speakers from Korea and Japan.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Korean speakers had a tendency to choose ``greater topics`` for conversation more often than Japanese. ``Greater topics`` discussed by Korean males and females were about university, place they live in, personal information, graduate school, and after school activities. The length of conversation on these topics have been listed in order of longest to shortest. Japanese males and females spoke mostly about Korea, university, place they live in, language, and occupation. For the smaller topic, both Korean and Japanese participants spoke the most about graduate school. Topics from their Topics from their past were brought up more often by Korean males and females. In comparison,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mentioned their past only once. On conversations, male speakers of both countries were more likely to introduce the initial topic to discuss. After the inevitable silence from the initial conversation, Koreans started the discussion more often than the Japanese. When analyzed in gender, there was twice the number of male speakers initiating the first topic than females.

      • KCI등재

        수학불안감소 처치프로그램에서 남녀 성차에 관한 연구

        고상숙 한국학교수학회 202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3 No.1

        여러 연구에서 수학불안(MA)은 학생들의 수학교과에서의 성취도(MC)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이며 여학생집단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10차시 복합적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적 MA가 높은 남녀 학생 26명에게 적용하여 그 효 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사후에 수학불안검사지(MASS)와 성취도검사지(MCS)에 의해 수집한 두 성차집단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처치프로그램을 통해 두 집단 모두 MA는 감소하였으나 MC에서는 여학생만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과 심 리적 측면에 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주 목적인 MA의 감소에서 남녀 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으 며, 남학생의 MC측면에서 더 부가적인 절차와 안내가 따라야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In many studies, mathematics anxiety (MA)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MC) and is reported to have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female students. In the study, we developed a complex treatment program consisting of 10 lesson units, to reduce mathematic anxiety and applied it to 26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high MA.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collected by the Math Anxiety Scale for Students(MASS)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Scale(MCS) before and after.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program, MA was decreased in both groups, but only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MC. The program that had been effective for both boys and girls in MA satisfied the main purpose of which was to treat MA with integrated mathemat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implied that additional procedures and guidance should be followed for boys' M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