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인지적 전회와 신빙성 판단의 역사성 - <치숙>의 수용사를 중심으로 -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6

        이 연구는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한 인지적 논의의 흐름을 일별하고 <치숙>의 수용사를 분석함으로써, 서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가 인지적 틀을 능동적으로 투사하거나 문화적으로 제약을 받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논의는 최근 수사적 접근이 직면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지서사학에 기반을 둔 독자 중심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는 텍스트의 의미론적 모호함, 충돌하는 목소리, 스토리와 서술의 모순 등을 자연화하려는 독자 해석의 산물이다. 서술자의 신빙성에 대한 독자의 판단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역사적으로 가변적이다. 이런 점에서 <치숙>의 수용사는 신빙성 판단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예시하는 흥미로운 사례로, 이 연구에서는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풍자라는 문학적 틀과 ‘추악’의 신빙성 없음’, ‘레드 콤플렉스의 제약과 친일적 개인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문학적 틀의 수사적 전회와 무지한 반사회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성차별의 문제의식과 서술자의 중층적 신빙성’으로 살폈다. 이러한 분석은 인지적 접근의 통찰을 독자 개인의 주관성과 다양성에서 공동체의 문화적 제약과 역사성으로서 심화한 시도로,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맥락적으로 추적한 문화사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독자 개인과 해석 공동체의 관습적 수용을 반성하고 수정하면서 신빙성 판단에 매개된 자기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작업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discussion of unreliable narrators and analyzes the reader’s appropriation of “Chi-suk” to understand aspects readers project the frame or are restricted by culture. The discussion of the unreliable narrator, which started at Wayne Booth,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rhetorical approach, and is recently undergoing a cognitive exhibition based on cognitive narrative. An unreliable narrator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is the product of an interpretation strategy created by the reader’s efforts to naturalize the ambigu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narrator found in the text. the reception history of Chi-Suk is an interes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diversity and variability of judgments about unreliable narrators. In this study, I examined four changes of unreliable narrator in reception history, ‘the literary framework of satire and unreliability of ugly’, ‘constraints by red complex and unreliability of pro-japanese individualists’, ‘rhetorical return of the literary framework and unreliability of ignorant anti-socialist’, ‘problem conscious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layered unreliability of narrator’. This analysis reconstructs the reception history of unreliable narrator and ha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istory study. It is also a process of reflectively understanding one’s self-mediated unreliability, reflecting on and modifying the customary acceptance of readers and interpretive communities.

      • KCI등재

        소설 이해로서 서술자의 신빙성 평가에 대한 연구

        정진석 ( Jin Seok Jeong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연구는 그간 내포 작가와 서술자의 거리,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로 양분되어 논의된 서술자의 신빙성에 대한 평가를 소설 이해의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신빙성 평가의 구도와 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세월의 너울≫과 이에 대한 해석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신빙성 평가는 첫째, 중층적 소통. 둘째, 독자의 해석 행위로서 추론의 과정, 셋째, 해석 공동체의 의미 교섭이라는 구도를 지닌다. 이와 같은 구도 하에서 신빙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됨을 밝혔다. 첫째, 독자는 서술자의 자질 평가를 통해 서술자와 자신의 거리를 설정하고, 둘째, 비신빙성 표지를 탐색하면서 서술자의 신빙성을 판단하며, 셋째, 의미 교섭을 통해 자신이 내린 신빙성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신빙성 평가의 구도와 과정은 소설 교육에서 신빙성 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명제적, 방법적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는 앞에서 밝힌 신빙성 평가의 구도와 과정을 근거로 시점의 학습으로 제한된 신빙성 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학습자는 신빙성 평가를 수행하면서 첫째, 서사적 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고, 둘째, 가치 탐구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셋째, 공진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신빙성 평가의 구도와 과정은 독자의 반응 형성과 그 다양성을 긍정하는 독자 반응 비평의 차원을 넘어 내포 작가의 가치를 경청하면서 응답의 책임을 다하는 읽기, 즉 독자 책임 비평의 한 범주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judgement on the reliability of narrator has been discussed as a distance between the implied author and the narrator of as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actual reader and propos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judgement on the reliability. To achieve this, this essay analyses ≪The Wave of Time≫ and it`s interpretive texts. The structure of the judgement on the reliability is as in the following;First, the multiple communication, second, the process of inference as a reader`s interpretation, third, the negotiation of meaning in the interpretive community. Under this structure, this essay shows the process of the judgement on the reliability as follows. First, Setting up a distance between reader and narrator by an evaluation on qualifications of a narrator. Second, the judgement on the reliability of a narrator by investigating indicators in relation to unreliability. Third, Ensuring validity by the negotiation of meaning. The foregoing discussion can be used as propositional knowledges and procedural knowledges to judge the reliability of narrator. Finally this essay tried to expand the values of the evaluation on the reliability of narrator that has been restricted just for learning the point of view. To sum up, the evaluation on reliability can help students to, first, develop their ability for narrative communication, second, build up value inquiry experience, and third, achieve coevolution.

      • KCI등재

        정보인지 전략으로서 서사와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

        공성수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7

        소설 서사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은, 제한된 정보를 사이에 두고 의사소통의 주체들이 벌이는 게임 상황으로 비유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서사 텍스트의 소통이란, 제한된정보를 따라 움직이는 의사소통 주체들의 다양한 전략과 시도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상황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가 생산한 텍스트의 고정된 의미를 독자가 무조건 받아들이거나, 반대로 저자의 의도는 완전히 배제한 채 독자가 텍스트를 재단하는 일방적인 소통은 서사의 의미를 제한할 수밖에 없다. 텍스트를 매개로 이뤄지는 역동적인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만끽할 때에야 비로소 텍스트의 의미는 풍요로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의 이론을 정보전략의 관점에서재검토할 것이다.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갈무리 하고, 정보의원천으로서 내포저자와 정보의 필터로서 서술자, 그리고 해석의 주체로서 독자를 중심으로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의 상황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정보 전략과 의사소통의 주체들을 충분히 고려한 새로운 서사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