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정체성과 대북 태도: 애국심을 중심으로

        윤광일 ( Yoon Kwang-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8 국방연구 Vol.61 No.3

        이 연구는 국가정체성의 주요 구성요소인 애국심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대북 및 통일 태도에 대한 함의를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첫째, 현재 한국인들 대다수가 국민으로서, 그리고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대한민국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다만, 군사력과 공정한 사회적 대우 분야에서만 자부심을 느끼는 한국인이 반수를 넘지 못했다. 둘째, 연령대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력과 소득이 낮을수록 애국심과 애국심의 특정 개념(건설적, 맹목적, 상징적 애국심), 그리고 애국심 관련 개념(내셔널리즘과 국가정체성)에 대한 지표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애국심을 독립변수로 그리고 사회경제변수, 정당지지, 정치이데올로기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 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애국심이 높아질수록 북한을 경계 또는 적대 대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지원 또는 협력 대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적 애국심은 북한을 지원 또는 협력 대상으로 여길 가능성을 높이고 경계 대상으로 평가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하여 내셔널리즘과 맹목적 애국심은 북한에 대한 평가와 유의미한 독립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국심 일반과 건설적 애국심은 통일에 대한 추상적 선호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 맹목적 애국심은 대체로 의미 있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다른 조건이 같다면, 여성이 남성보다 통일 관련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관련 연구와 대조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북한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통일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적으로 보아 현재 한국인의 애국심은 북한을 적어도 편견과 적대의 대상인 외집단으로 여기게 하지는 않기에 통일에 대해 긍정적 함의를 갖고 있다. 맹목적 애국심 또는 내셔널리즘도 부정적 영향이 두드러지지 않은 만큼, 통일 과정에서 애국심과 건설적 애국심은 더 강하게 고양되어야 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South Korean patriotism, one of the main elements of national identity, for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set. It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most respondents take pride in being a Korean as well as in the country’s political, economic, technological, and cultural achievements and its history while less than the majority do not in its armed forces and fair and equal treatment of all groups in society. Second, patriotism in general as well as its specific forms such as constructive, blind, and symbolic patriotism and its related constructs such as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are all associated positively with age but negatively with education and family income. Third,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in particular, lead one to view North Korea as a partner or someone who are dependent upon South Korea rather than as an enemy or someone we need to be cautious about, other things being equal. Neither nationalism nor blind patriotism seems to have any independent statistical effect on one’s image of North Korea. Fourth,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seem to increase not only one’s preference toward reunification in general but also toward specific policies while blind patriotism does not seem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Finally, women are more like to have negative attitudes about reunification. And older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favor reunification, which is in contrast with previous findings. In sum, the current patriotism of South Koreans does not seem to lead them to view North Korea as out-group or the object of prejudice and antagonism. In addition, even blind patriotism and nationalism does not have any discernible negative effect upon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Hence, the promotion of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in particular should be encouraged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 KCI등재

        Long-Running Legacy of Discursive Unification: Joint Team and Joint Hosting

        Dongkyu Na(나동규),Yongeun Kim(김용은) 한국사회체육학회 202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3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88 서울 하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준비과정에서 나타난 남북단일팀 구성과 공동개최 담론과 담론이 관계 맺고 있는 역사적 사건과 정치적 공간을 분석의 목표로 삼았다. 연구방법: 담론의 역사적 변화에서 나타나는 특이점을 포착하기 위해, 1979년부터 2018년까지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매일경제, 조선일보에서 발행한 단일팀과 공동개최 관련 기사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서울올림픽 준비과정에서 나타난 담론적 특징은 1) 단일팀 구성을 위한 남북간의 소득없는 제안, 2) 단일팀 제안의 일시적 중단, 그리고 3) 단일팀 구성에서 공동개최로의 담론적 변화이다. 평창올림픽 준비과정에서의 특징은 1) 공동개최에 대한 공식적 논의가 중단되나 2) 단일팀 구성 제안은 계속되며 3) 단일팀 담론의 지속 속에서 남북간의 모순적인 접근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남북한 단일팀과 공동개최는 비정치성과 규범성을 드러내는 상징적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남북스포츠에 있어 주요 담론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금강산 시편 연구

        권성훈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1

        본고는 현대 금강산 시편에 대한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이 글을 통해 현대문학사의 일제강점기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을 탐방한 시인들의 시를 통해 금강산이 민족의 성산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살펴본 시인들의 시편에는 분단 이전과 이후에 걸쳐 금강산이 부재한 조국의 숨결과 민족분단의 아픔을 간직한 그리움의 대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금강산에 관한 연구는 고전과 현대로 나눌 수 있으며 고전문학에서부터 활성화되었다. 그것은 18세기경 금강산을 중심으로 한 고전 시가나 시화로부터 시작되었다. 명승지 여행에 대한 시적 묘사 속에는 금강산의 진경과 함께 진경시와 진경시화로 나타난다. 현대문학에서는 고전문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금강산 연구가 시작 단계에 있다. 현대적 관점에서 금강산에 관한 연구는 분단 후 금강산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파악했다. 거기에 1998년 금강산개발과 관광산업으로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현대문학에서도 본격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본고에서 주목한 전근대 이행과정과 현대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에 관한 시편은 강점기와 분단기를 중심으로 간헐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백두산과 달리 금강산 시편에 관한 연구가 없다는 것은 금강산을 소재로 한 텍스트의 부재에서 온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남북 분단 이후 금강산이 남한의 생활권역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그렇지만 시대적 전개 과정에서 금강산 기행을 한 문인들 사이에서 금강산 시편이 창작되어왔는바, 이에 근현대시에 나타난 금강산 시편을 살피는 것은, 암흑의 시대를 통해 역사의 미래를 조망하는 일이다. 살펴본 시인들은 금강산 여행을 통해 각자 처한 시대에 따라서 금강산 시 세계가 변모하는 패러다임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 텍스트 시편들과 시대성을 매개로 두드러진 시 의식을 세 가지 연구방법으로 탐구했다. 첫째 상징적 영속성과 불교성, 둘째 향토적 친화성과 상호 텍스트성, 셋째 금강산 기행과 영토성 등이 그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