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퇴적암 내의 지질구조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 북서부 지역의 예

        고경태 ( Kyoung Tae Ko ),최진혁 ( Jin Hyuck Choi ),김영석 ( Young Seog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2 지질공학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지역에서 발달하는 지질구조들이 비탈면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과 같이 퇴적암지역 비탈면의 경우, 도로 양쪽의 비탈면이 충리의 경사방향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또한 단충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강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인 파괴가 관찰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규모 단층에서 비탈면 안정성 조사 시 단충대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새로운 누적절리밀도를 통한 단충대 인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근 대규모 공사로 인하여 많은 비탈면들이 다면비탈면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일정한 주향을 가진 대표비탈면들의 방향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탈면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각 구간에 따 라 다른 비탈면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예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퇴적암지역에서의 비탈면설계 시 충리와 불연속 면의 방향 그리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 둥 지질구조들의 발달특성을 잘 고려한다면 공사단계에서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사 후에도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geological structures and slope failure in sedimentary rocks. In the studied slopes, construction-related slope failure could only be observed on the south-dipping slopes. This indicates that slope stability may be dependent on the angular relationships between the dip direction of bedding and the orientation of the slope. Slope failure continued, post-construction, around large fault zones in the studied outcrop; these fault damage zones are, however, not easily recognized in the field. Her· we suggest a new method that uses accumulated fracture density to precisely identify fault damage zone. Multiple-faced slopes are now increasingly being exposed during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in South Korea. This multiple-faced slop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ability of a slope should be evaluated by identifying domains, through the analysis of possible slopes and their angular relationships with bedding and other discontinuities, prior to construction. Therefore, careful consideration of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bedding and other discontinuities, and their angular relation-ships during the design of cuttings through sedimentary rock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and enable the safe construction of more stable slopes that will retain their stability after construction.

      •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강우시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이강일,최태식,박민지,최윤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국내에서는 1963년부터 1996년까지 강우로 인해 20명 이상이 사망한 대규모 비탈면 붕괴가 15건이 발생 하였으며, 2003년에는 집중호우를 동반한 태풍 매미에 의해 전국적으로 196개소의 비탈면 붕괴가 발생되었 다. 또한 1990년대에는 자연재해로 14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그중 산사태에 의한 피해가 16%인 22.7 명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56명에 이르는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강우로 인한 비탈면 붕괴 양상이 심각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탈면 붕괴사례를 볼 때, 비탈면 붕괴는 주로 강우가 내리는 동안 발생하고, 그 원인은 강우가 간극이 크고, 강도가 작은 토층내로 침투하여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토층에 외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탈면 파괴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강 우 시 불포화토의 거동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세굴 및 침식에 의한 비탈면 파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우시 세굴 및 침식에 순응이 가능하면서 표면식생 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비탈면 개량재인 엔쏘일(N-Soil) 표층제품을 대상으로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변화 시켜 강우 모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강우로 인한 세굴 및 침식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 로운 비탈면보호공법의 개발 및 검증에 그 목적을 두었다.

      • KCI등재

        침투 및 안정해석시 풍화토의 두께에 따른 자연비탈면의 해석범위에 관한 연구

        김형종,이영생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6

        In access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in the country,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the seepage analysis considering the rainfall infiltration but the fact is that the designer decide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 at his option without any guideline in the practical design . So, in this study, to analyze correlations of the parameters influencing the seepage analysis, the correlations of 3 parameters s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natural slope(α),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L) were analyzed. As a results, each other of the 3 parameters are influencing the analysis consequences reciprocally but the influence of the inclination of the natural slope(α) was little. First, it is to be desired that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L) should be over 6 times of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because the rised water table by the seepage analysis are influenced by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L) very much when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is less than 5 m. Secondly, it is to be desired that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L) should be over 2 times of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because the influence will decrease when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is larger than 10 m. Thirdly, it is to be desired that the analysis range of the natural slope(L) should be over 4 times of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when the thickness of the weathered soil layer(Df) is between 5 m and 10 m. 국내에서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강우를 고려한 침투해석을 수행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실무 적용 시 깎기 비탈면 어깨로부터 침투해석의 범위에 대한 언급이 없어 검토자 임의의 범위를 설정하여 침투해석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투해석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자연비탈면의 기울기(α), 풍화토의 두께(Df) 및 자연비탈면의 해석범위(L) 등의 3개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3개 변수들 각각은 침투해석 결과에 상호영향을 미치나 자연비탈면의 기울기(α)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깎기 비탈면 어깨로 부터 자연비탈면의 해석범위(L)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풍화토의 두께(Df)가 5m 이하일 때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고는 자연비탈면의 해석범위(L)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으므로 해석범위(L)를 풍화토 두께의 여섯 배 이상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풍화토의 두께(Df)가 10m 이상으로 두꺼워지면 자연비탈면의해석범위(L)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므로 풍화토 두께의 두 배 이상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풍화토의 두께(Df)가 5m와 10m 사이의 두께일 경우 자연비탈면의 해석범위(L)는 풍화토의 두께의 네 배 이상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딥러닝 영상처리를 통한 비탈면의 지반 특성화 영역 자동 분류에 관한 연구

        이규범(Kyu Beom Lee),신휴성(Hyu-Soung Shin),김승현(Seung Hyeon Kim),하대목(Dae Mok Ha),최이수(Isu Choi) 한국암반공학회 2019 터널과지하공간 Vol.29 No.6

        비탈면의 붕괴로 인해 재산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 또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평가를 통해 비탈면의 붕괴여부 예측 및 보강을 진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탈면 영상에서 암반 절리군, 암반 단층, 토양, 비탈면 누수영역 등 비탈면 붕괴와 관련하여 특성화 시킬 수 있는 지반 영역들을 정의하고 이를 딥러닝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분류해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딥러닝 객체 영역분할(Instance segmentation)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영상에 보여지는 다른 특성을 갖는 지반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인식하고 자동 분할 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향후 비탈면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시행되는 비탈면 매핑 작업을 지원하고, 비탈면 보강 대책 등 의사결정에 필요한 비탈면의 지반특성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Because of the slope failure, not only property damage but also human damage can occur, slope stability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predict and reinforce of the slope. This paper, defines the ground areas that can be characterized in terms of slope failure such as Rockmass jointset, Rockmass fault, Soil, Leakage water and Crush zone in sloped imag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deep learning instance segmentation network can be used to recognize and automatically segment the precise shape of the ground regi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image.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the slope mapping work and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grou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slopes necessary for decision making such as slope reinforcement.

      • KCI등재

        앵커 시공 간격에 따른 비탈면 안전율 변화 연구

        김진환 ( Jinhwan Kim ),이종현 ( Jonghyun Lee ),권오일 ( Oil Kwon ),김우석 ( Wooseok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20 지질공학 Vol.30 No.4

        비탈면 설계 단계에서 안전율이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안전율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앵커를 시공하여 안전율을 확보하게 된다. 안정해석을 통해 앵커의 비탈면 보강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앵커 시공 간격은 대부분 등간격으로 가정하여 해석을 한다.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비탈면 보강을 위해 안정해석 대상 비탈면 내에서 앵커 시공 간격을 조정한 안정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앵커 시공 간격이 비탈면의 안전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의 2소단 비탈면을 설정하고 앵커 시공 간격을 다르게 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비탈면의 상단면, 중단면, 하단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앵커를 시공한 경우 보다 하단면 앵커 간격을 좁게하고 상단면, 중단면의 앵커 간격을 넓게 경우에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약 15%의 앵커 물량을 절감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간격으로 앵커보강을 하기 보다는 비탈면 특성에 맞게 앵커 시공 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이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보강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If the safety factor does not secure the safety factor suggested in the design standard at the slope design stage, the safety factor is secured by installing an anchor. Stability analysis i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slope of the anchor, but in this process, most of the anchor construction intervals are assumed to be equal and analyzed. For economical and effective slope reinforcement, stability analysis is required by adjusting the anchor construction interval.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nchor construction interval on the change of the safety factor of the slope was identified.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a virtual slope with two berms and different anchor construction interv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ability of the slope is secured when the anchor spacing of the lower surface is narrowed and the anchor gaps of the upper and middle surfaces are wider than when anchors are installed at the same intervals on the upper, middle, and lower surfaces of the slope. The result was a 15% reduction in the amount of anchors. This means that, rather than reinforcing anchors at the same intervals, it is economical and effective to have an economical and effective reinforcement effect to vary the anchor construction intervals according to the slope characteristics.

      • 상향식 비탈면 보강공법 적용에 따른 지하수위 저감 효과 분석

        윤현준 ( Hyeonjun Yoon ),백원진 ( Wonjin Baek ),이성열 ( Sungyeol Lee ),고화빈 ( Hwabin Ko ),임중재 ( Joungjae Lim ),신영수 ( Youngsoo Shi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현재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공법으로는 주로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배수를 통한 지하수위 저감 문제는 부수적으로 다루고 있는 실정으로 강재를 비탈면에 보강하는 공법과 수평다발관 등의 배수재를 병행해서 시공하는 공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전단강도의 보강공법과 배수공을 통한 지하수위 저감공법의 병행시공으로 인한 비탈면의 복잡한 구조형성과 보강공법은 비탈면 토질을 단단하게 결속하는 반면 배수공은 비탈면토질의 이완을 유발하는 이중성을 갖고 있는 모순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경사배수재의 장점인 지하수위 저감효과와 단점으로 인식되는 비탈면내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역경사 시공에 의한 배수기능과 필터기능을 겸비한 보강재를 연구, 개발하였다. 개발된 보강재의 역경사 매설각도에 따른 효율적인 배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현장조건을 반영한 모델지반과 보강재의 매설각도의 변화가 안정성 및 지하수위 저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보강재의 도입으로 무보강에 비해 안전율이 크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재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성토 비탈면을 조성하여 실시한 현장실험결과, 강우시 보강재 매설에 의해 무보강에 비해 약 11~18%의 지하수위 저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보강재의 매설각도를 비교하였을 때, 40°에서 약 8%의 지하수위 저감 효과가(크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강재의 매설각도를 10°~60°까지 적용하여 안전율과 지하수위 저감율, 비탈면 경사(1:1.4, 1:1.5, 1:1.6)의 영향, 대규모 비탈면 조건으로 경사도가 1:1.4인 비탈면을 2단(10m)으로 설정하여 보강재의 효과를 비교했을때 1:1.6의 비탈면 경사에서 가장 높은 지하수위 저감량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강재와 기술을 실제 용출수가 예상되는 절·성토 비탈면에 적용하였을 경우, 경제성 및 시공 성과 토사유실의 방지를 도모함으로써 표층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한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녹화유형 경관 선호도 및 중요도 분석

        정태열 ( Jung Tae-yeol ),박금미 ( Park Kum-mi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로의 공간 및 주변의 경관을 고려한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해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16가지의 녹화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관 선호도 분석,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비탈면 기울기에 따른 녹화유형은 기울기 1:1.0이하는 녹화유형4(비탈면:지피+관목/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 기울기 1:1.2∼1:1.5는 녹화유형8(비탈면:지피+관목(상ㆍ하단 식재)/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 기울기 1:1.8∼1:2.0는 녹화유형12(비탈면:지피+관목+소교목/소단:지피+소관목+교목), 기울기 1:2.5이상은 경우 녹화유형16(비탈면:지피+관목+소교목+교목/소단:지피+관목+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녹화유형 평가지표 중요도는 단순한 녹화유형의 경우 경제성, 다층구조로 갈수록 경관성의 지표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탈면의 기울기가 완만해 질수록 환경성과 안전성의 지표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그린네트워크 도로의 비탈면 기울기에 대한 영향력 분석결과 녹화유형 8(비탈면:지피+관목(상ㆍ하단 식재)/소단:지피+소관목+소교목(상ㆍ하단 식재))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derives 16 different greening types depending on slope grades and analyzes preference, importance, and perception for landscapes in connection with those types with the purpose of building green network road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road spaces in South Korea and their surrounding landscape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greening type 4(slope: groundcover+shrubs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 (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was preferred for a grade of 1:1.0 and below, greening type 8(slope: groundcover+shrub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was preferred for grades 1:1.2 to 1:1.5, greening type 12(slope: groundcover+shrubs+small trees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 trees) was preferred for grades 1:1.8 to 1:2.0, and greening type 16(slope: groundcover+ shrubs+small trees+trees / berm: groundcover+shrubs+trees) was preferred for grades 1:2.5 and above. Second, with regard to importance in the greening-type evaluation index for green network roads, the indicator of economic feasibility was more important for simple greening types, while the indicator of scenic quality increased in importance for multilayered structures. Furthermore, an increase in the grade of the slope led to more importance for the environment and safety. Third, analysis of the impact of green network roads on slope grades foun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greening type 8(slope: groundcover+shrub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berm: groundcover+small shrubs+small trees(upper and lower layer planting)).

      • KCI등재

        도로비탈면 낙석산사태 위기대응체계 수립 연구

        이종건(Jong Gun Lee),석재욱(Jae Wook Suk),안재욱(Jai Wook An),김홍균(Hong Kyoon Kim),김용수(Yong Soo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9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비탈면 재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와 일반국도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사고유형 별로 위기대응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도로 풍수해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일반국도 상의 비탈면 재해와 관련된 대응체계는 '풍수해(태풍ㆍ호우) 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재난의 원인이 태풍, 호우 등인 경우로 적용범위를 제한하고 있어 해빙기 또는 수시로 발생하는 비탈면의 낙석산사태 재해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고유형별 위기대응체계를 비교ㆍ분석하고 일반국도 비탈면의 붕괴현황을 고려하여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비탈면의 낙석산사태 재해에 적용가능한 위기대응체계를 수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위기대응체제를 수립하기 위해 비탈면 낙석산사태 재해에 대한 위기형태와 경보수준을 설정하고, 위기대응의 가장 핵심요소인 시간별 초동조치 내용과 절차, 관리기관별 임무를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Slope disasters are increasing rapidly due to climate changes by global warming. On expressways and general national roads where are heavy traffic, the damage caused by slope disasters is relatively even greater.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for each type of accident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Basic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nd also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for storm and flood damage to roads was structured depending on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associated with slope disasters on general national roads is provided by 'Storm and Flood Damage Disaster Management Practical Manual'. However, applying this manual to thawing or dry season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limits the cause of the disaster to a typhoon(heavy rain).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risis management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slope disasters occur frequently. So, various types of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the collapse status of general national road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establish a crisis management system, a type of crisis and alert levels are created. Then, contents and procedures of hourly initial management are set and also the institutional mission is presented.

      • KCI등재

        Tension Wire 계측을 통한 비탈면의 3차원 거동 분석

        신태주(Taeju Shin),김태수(Taesoo Kim),황상구(Sanggoo Hwang),한희수(Heuisoo Ha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5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6 No.3

        비탈면 계측시스템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개선되긴 했지만, 주로 하드웨어적인 측면의 개선에 치우쳤다. 실제 비탈면의 거동은 3차원 거동이며, 3차원 거동해석은 많은 변수를 함유하고 있어 비탈면 안정해석을 위한 비탈면 거동분석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부족하였다. 일차원 해석은 방향의 고려 없이 길이의 증감만을 나타내나, 실제 비탈면 현장의 경우 3차원 공간상 변화를 나타낸다. 3차원상의 공간좌표를 확정하기 위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값들은 길이, 수평각 및 수직각이다. 그러므로 두 방향 및 길이 변화를 고려한 좌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새로운 좌표들을 구할 경우, 3차원의 공간을 분할하여 수평변화 및 수직변화를 구분하여 비탈면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다. 본 해석 모델을 충청북도 DY비탈면의 계측 data에 적용하였다. 현장 계측자료를 3-D 해석한 결과 비탈면은 전반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변위가 도로방향으로 일어남과 동시에 수직변위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비탈면은 계측지점 간 누적변위가 4.3cm 이내인 미소거동을 하며, 계측지점 모두 거동양상이 유사한 변위 방향 및 크기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sensor systems are used to estimate and predict the slope behaviors, however though slope sensing systems are much up-to-dated compared to before, they are mainly focused on the hardware developing. It means the analyzing software is deficient to apply the examining slope behavior for slope stability. In real case, slope behavior shows the 3-dimensional movement and failure; however the modeling methods for 3-D behavior are more difficult and need more variables. 1-D analysis shows only the length variation, however the real slope makes the 3-D behaviors. To fix the 3-D space coordinate, three values should be determined such as length, horizontal angle and vertical angle. Therefore if the 3-D coordinate system were composed by the points considered of two directions and length, the 3-D space could be separated into horizontal plane and vertical plane. The data from DY-slope in Chungbuk province was analyzed to the developed 3-D coordinate system. It is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3-D analysis, the slope is generally moving to transverse direction, also the displacements are happening to road and vertic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Presently, the accumulated displacement between sensing points shows small value within 4.3 cm, and the displacements of all sensing points show the similar directions and magnitudes.

      • KCI등재

        비탈면 안정해석과 유지관리의 통합해석기법

        박민철(Mincheol Park),유병옥(Byeongok Yoo),백용(Yong Baek),황영철(Youngcheol Hw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3

        비탈면 안정해석 기법과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자료 해석기법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지만 두 기법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성 파괴에 대한 비탈면 안정해석과 계측기반의 유지관리를 통합할 수 있는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시간 열화에 의한 비탈면의 붕괴과정은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한 지반강도정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비탈면 붕괴 시 까지의 안전율과 파괴범위를 산정하였다. 변위는 누적 변위 곡선과 변위 속도 곡선, 변위 역속도 곡선으로 정량화하여 유지관리 기법과 연계하였다. 제안된 절차로 해석을 수행한 결과, 누적 변위 곡선을 이용한 비탈면의 파괴모델은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3차 다항모델로 산정되었다. 붕괴 시점 예측에 적용되는 변위 역속도의 취성재료에서는 1차 직선식, 연성재료에서는 3차 다항식으로 감소되어 Fukuzono(1985)의 제안식과 일치하였으며 붕괴사례와도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Even if the various data analyzing methods were suggested to examine the measured slope behaviors, it is difficult to find methods or procedures for connecting the analyzed results of slope stability and measured slope data. This research suggests the analyzing methods combing the stability analysis and measured data based on progressive failure of slope. Slope failure analysis by time degradation were calculated by strength parameters composed of strength reduction coefficients, also which were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safety factor and displacement of slopes. The accumulated displacement curve were shown as 3rd degree polynomials by suggested procedures, which was the same as before researches. The reverse displacement velocity curves were shown as linear function for prediction of brittle slope failures, also they were shown as 3rd degree polynomials for ductile slope failures, which were the same as the suggested equation by Fukuzono (1985) and they were very similar behaviors to the in-situ failure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