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전통, 교토의 섬유산업을 뒷받침해온 재일조선인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1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민족의상인 화려한 기모노와 일본사회 속에 차별받는 소수자로 존재해 온 재일조선인 사이의 연관관계를 상상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재일조선인은 이미 1910년대부터 교토 니시진의 직조공으로 혹은 교토 전통염색제 품의 생산과정에서 찌기와 헹구기 공정을 담당하면서 교토의 전통섬유산업을 저변 에서 뒷받침 해 왔다. 교토 섬유산업은 이들 조선인 노동자들을 때로는 값싼 노동 력으로, 때로는 경기 부침을 타개할 범퍼 노동력으로 활용해 왔고, 특히 패전 직후 의 혼란기 동안은 그 산업 자체가 재일조선인의 주도적 역할 하에 부활·유지되기 도 하였다. 한편 재일조선인에게 교토의 전통섬유산업은 중요한 생존수단이 되었고, 이차대전 이후에는 민족자본이 형성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사회 일반에서나 학계에서도 일본의 전통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토의 섬유산업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기여는 거의 가시화되지 못한 채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교토 섬유산업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참여와 기여 방식을 규명하고, 해당 부문에서 재일조선인이 비가시화된 배경을 질문함으로써 현대 일본 사회 속에 존재하는 전통의 역사성과 역학을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재일조선인이 비가시화된 주요 배경으로는, 교토 섬유산업의 복잡하게 분화된 공정 속에 재일조선인의 기여 방식이 주로 가장 힘든 공정을 담당하는 저임금 노동자 역할에 머물렀던 점과 교토 섬유제품이 일본의 문화민족주의적 상징지도에서 차지하고 있는 핵심적 위치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높은 명성과 유구한 전통을 자랑하는 교토 전통섬유도 대부분의 다른 전통과 마찬가지 로 지속적인 변모 과정을 거쳤고 그 내부에 민족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모순과 긴장 을 내포한 역사적 실체임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For many people, it is far from easy to imagine any connection between splendid kimono, the traditional/ethnic costume of Japan, and ethnic Koreans in Japan who have existed in Japan as a discriminated marginal group. Ethnic Koreans in Japan, however, have long supported the traditional textile industry of Kyoto from its bottom mostly as cheap laborers who endured long-hour hard work which was indispensable for producing the renowned Nishijin Textiles and Kyoto Yuzen. Besides providing cheap labor, ethnic Koreans functioned as a ‘bumper’ for the industry to survive through fluctuating economic conditions, and did a critical role in reviving and continuing the industry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The traditional textile industry of Kyoto, on the other hand, provided for the impoverished Korean migrants hard-attained means for survival and also enabled them to build precious ethnic capital in postwar Japan. Despite all these, the ethnic Koreans’ existence in and contributions for the textile industry of Kyoto have remained mostly invisible. This paper aimed to explore ways in which ethnic Koreans have participated in and contributed for the textile industry from early 20th century and find answers for their invisibility in representing the industry. As backgrounds and reasons for the invisibility, two points were suggested. First, the production procedure of Nishijin Textiles and Kyoto Yuzen is highly complicated with scores of specialized processes undertaken by different specialists. In this procedure, ethnic Koreans’ roles, while being important and critical, were confined largely to the most difficult and low-paid work process. Second, the core position of traditional textiles of Kyoto within the symbolic topology of Japanese cultural nationalism which has presumed Japanese ethnic homogeneity and superiority until recently has made it not easy to admit the contributions of an ethnic minority group in producing the (inter)nationally esteemed cultural item. After all, this paper underlined that the traditional textiles of Kyoto, not unlike most other traditions in contemporary Japan, have undergone continuous historical transformations and include divers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wit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