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본초종신(本草從新)의 목부(木部)에 관한 연구

        김달영 ( Dal Young Kim ),서부일 ( Bu Il Seo ),박지하 ( Ji Ha Park ),노성수 ( Seong Soo Roh ) 한약응용학회 2010 한약응용학회지 Vol.10 No.1

        Objective: In order to consolidate the foundation of herbal medicines and herbology, I translated and devoted deep study to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Method: At first, I translated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and I made a special study of that. And I analyse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tree part(木部) of this book. Result: 1.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consists of three volumes. The tree part (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from the seventh volume to ninth volume. 2.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made up of four parts and they are fragrant trees(香木類), shrubs(灌木類), growing thickly trees(苞木類), parastic trees on a tree(寓木類). 3.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was based on Bonchobiyo(本草備要) written by Wangang(汪昻) and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was too many by 9 herbal medicines in comparison with the tree part(木部) of Bonchobiyo(本草備要). 4. Ferulae Resina(阿魏) and Aloe(蘆會) are not members of the tree part(木部), they are members of the herbal part(草部). Conclusion:The tree part(木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of practical use for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students.

      • KCI등재

        웅진시기 백제의 약재 교역과 그 의미

        이정빈(Lee, Jeong-B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본고는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도홍경 自注에 보이는 백제 약재의 교역 시점과 방식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인삼과 관동화, 2종의 백제 약재가 전하는데, 그 전거자료는 南朝代 집대성된 본초학의 성과를 반영했다. 따라서 2종의 백제 약재는 남조대 교역된 물품의 일종이었다고 이해하였다. 2종의 백제 약재는 모두 고구려의 약재와 함께 보인다. 인삼의 경우 고구려에서 조공하였다고 했다. 백제가 고구려의 신속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했다. 이와 같은 서술은 백제의 약재가 중개 교역된 사정을 말해준다. 5세기 후반이 주목된다. 이때 백제는 고구려의 통제를 받아 對남조 교섭이 불안정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구려는 약재를 중개했고, 남조 측에다가 백제를 신속국으로 소개했다고 추정된다. 물론 5세기 후반 백제는 고구려의 신속국이 아니었다. 양국은 대립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럼에도 백제에서는 실리를 얻기 위해 적대국인 고구려와 교역했다. 적어도 그를 묵인했다고 보인다. 웅진시기 백제의 약재 교역은 국제관계의 명분보다 교역의 실리를 도모한 일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the timing and the way of medicine trade by examining the medicine of Baekje from Classified Materia Medica(證類本草), abbreviation for the Revised Zhenghe Edition of Classified and Practical Basic Materia Medica Based on Historical Classics(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during Ungjin period. In the annotation of Classified Materia Medica,the two kinds of medicines of Baekje, ginseng and coltsfoot(款冬花), were introduced in the content which quoted Dohonggyeong(陶弘景)’s writings. It is hard to identify whether these quotations were the direct writings of Dohonggyeong or not. However, it reflected the result of the Knowledge on the Herbal Medicine(本草學), compil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The two medicines belonged to trade items of Baekje, and were traded with Goguryeo in the late fifth century. At that time Goguryeo blocked direct trade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dynasties. Instead, the trade was made in the form of tribute to Goguryeo from Baekje, and Goguryeo intermediated these tributes to Southern dynasties. Ginseng and coltsfoot were among these tributes.When intermediating goods, Goguryeo introduced Baekje as its vassal stateto Southern dynasties ; however, it was based on Goguryeo"s unilateral percep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fact. In 475, Baekje was attacked by Goguryeo and transferred the capital to Ungjin, but tried to stop the southward advance. Baekje was more hostile state rather than vassal state. Nevertheless, Baekje traded with hostile state, Goguryeo, and endured the situation even when Goguryeo introduced Baekje to the Southern dynasties as vassal state. It was to gain practical interest through trade. Baekje"s medicine trade in the fifth century was one of several cases in which the form did not match the fact in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between the fourth and sixth centuries.

      •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朝鮮刊本과 그 배경 《重修政和经史证类备用本草》在朝鲜时代的刊行及其背景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40

        한국은 삼국시대와 고려 등 고대 왕조 시대부터 중국 왕조와 서적을 교류해 왔으며, 이에 대한 기록이 고려사, 삼국사기와 같은 역사서 비롯하여 각종 문집과 현전하는 간행본 및 飜刻本{의 간행기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체로 조선시대 이전의 기록은 그 건수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용이 매우 단편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기록의시간적 공백이 크면서 그나마도 특정 류의 서적, 예를 들어 불경에 관한 기록에 밀집되어있다. 이러한 기록상의 특징 때문에 서적교류에 관한 통시적 고찰은 물론 공시적 고찰에 있어서도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한중 서적교류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서적의 상태와 현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물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 서적교류를 바탕으로 한 인쇄문화사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조에 유통되었던 원간본과 그 번각본에 대하여 특정 서책을 대상으로 삼아 서지학적 검토를 시도하는 것이다. 중국 平陽 張存惠가 편찬한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는 송나라 唐慎徽가 짓고冦宗奭이 수정한 經史證類大全本草』와 함께 동아시아에서 유통된 대표적 약물학 서적이다. 이 책의 초기 간본은 몽고 정종4년(1249)에 晦名軒에서 간행한 간본과 서림청화』에 수록된 대덕6년(1302)에 宗文書院 간본을 들 수 있다. 종문서원간본은 실물이 없어 판식을 확인할 수 없으나, 회명헌 간본은 “사주쌍변, 11행 21-22자, 상하하향흑어미”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는 이 책이 선조10년(1577)에 조선의 금속활자인 을해자로 인출되었는데 이 인본의 판식은 “사주쌍변, 10행 19자, 흑구, 내향 2엽화문어미”이다. 회명헌 간본과 비교해보면 자체나 음각 및 삽도의 판각방식이 상당히 유사하지만, 항자수나 어미의 모양을 달리하였고 특히 행과 자간을 넓혀 글자를 좀 더 크고 여유롭게 배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사한 판형과 형식을 보이는 약물학 서적으로서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를 대상으로 삼고 조선에서 금속활자인 을해자로 간인한 서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고대의 본초

        이현숙(Lee, Hyun-sook)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3

        본고는 중국 본초서에 남아있는 한국 고대의 약물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고대인이 인지하였던 약물 정보가 중국 고대 본초학의 발달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으며 본초서를 통해 한중일 삼국의 약물 명칭이 통일되어갔음을 규명해 본 것이다. 한국 고대인이 경험적으로 알고 있던 약물 지식은 전쟁이나 교역을 통해 중국에 알려졌으며, 이것이 중국 고대 본초서에 채록된 뒤에 다시 한국 고대사회에 수용되었다. 이는 신라가 통일 후 692년 의학을 설립한 뒤 당나라 본초학을 수용하여 가르침에 따라 본격화되었다. 신라의 본초학에는 《백제신집방》에서 정리하였던 백제 본초학과 고구려 본초학의 영향도 존재하였을 것이다. 본초서의 역할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불렸던 약물의 이름을 한 가지 명칭으로 통일한다는 의미도 있었다. 8세기 이후 한중일 삼국이 공통의 본초학 교과서를 사용함에 따라, 중국 고대 본초서에 입각한 명칭이 한국과 일본에서도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기 본초학을 발전시킴에 따라 동아시아 의약시장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약물을 채취하고 만드는 실무자들은 신분이 낮고 제한적인 한문 지식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근대 한국과 일본에서는 중국 본초서의 약물 명칭과 함께 기존에 있던 토속적인 명칭을 함께 사용하는 이중적인 체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pharmaceutical materials in Ancient Korea, which were written in Chinese Bencao textbooks 本草書, specifically The Pharmacopoeia of the Zhenghe reign 經史證類備用本草(short for Zhenghe xinxiu jingshi zhenglei beiyong bencao 政和新修經史證類備用本草). It was a book on pharmacology written by the Song scholar Tang Shenwei 唐?微 (1056-1093). The Pharmacopoeia of the Zhenghe reign conveyed several pharmaceutical materials of the Ancient Korea, from Ancient Joseon to three kingdoms - Goguryeo, Baekje and Silla. It was Ta Hongjing 陶弘景(456-536) who introduced the pharmaceutical materials of Ancient Joseon, Goguryeo and Baekje. Silla’s were introduced by Chen Cangqi’s 陳藏器(678?-757) Bencao shiyi 本草拾遺. Most of them were known through trades and wars between Ancient Korea and China. The informations of the ancient Korean pharmaceutical materials made the Chinese bencao richer. From the analyse, I realized that the function of the bencao text book was not only providing informations of pharmaceutical materials, but also unifying the names of the materials. The bencao unified the pharmaceutical names which had diverse names in China. After Silla and Japan adopted the bencao textbook in medical education, the Chinese pharmaceutical names of the bencao became official in East Asia.

      • KCI등재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최해별(Hae Byoul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해외에서 유입된 또는 남방 등 지역의 본초를 전문적으로 다룬 李珣(907-965)의 海藥本草가 중국 본초학사 상 가지는 특징과 의의를 논하였다. 먼저 해약본초는 ‘지역’ 본초서로서의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먼저 서술 방식의 측면에서 이전 소위 전통적 본초서에서 보이는 특징과는 달리 본초의 원산지를 가장 먼저 언급하며 본초의 원산지를 명확히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관련 정보를 소개하면서 다양한 참고문헌을 인용하였는데, 그 인용된 문헌이 대부분 남방의 지리지, 박물지 등이었다. 이러한 점들은 모두 해약본초의 지역 본초서로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해약본초에 수록된 약 10종의 본초는 그 이전 본초서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며, 이외 6종의 본초 역시 8세기 진장기의 『본초습유』에도 언급된 것이지만 이후 증류본초에 수록될 때 해약본초를 원출처로 하여 수록된다. 아울러 이를 포함한 총 19종이 본초강목에 수록될 때 역시 해약본초를 원출처로 하여 수록된다. 분명 해약본초는 지역의 새로운 본초에 대한 소개와 그것이 이후 전국 범위의 권위 있는 본초서에 수록되어 전승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외에 기존의 널리 알려진 해약에 대해 산지와 성질 및 효능 부분에서 해약본초는 다양한 참고문헌을 인용하여 관련 지식을 보충하였고, 이러한 보충된 지식에는 본초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적 사실과 일화도 포함된다. 또 이렇게 보충된 지식은 거의 빠짐없이 증류본초나 본초강목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 또는 남방의 본초 지식의 축적과 전승에서 해약본초가 가지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해약본초는 ‘지역’의 지식을 다루기에 기존 전통 본초서와는 다른 특징을 나타내며, 산발적으로 전해지는 다양한 지방 문헌 기록을 수집하여 본초학 지식으로 체계화했다. 또한 그 결과물은 이후 북송 시기 전국 규모의 본초서인 증류본초에 수록되고, 또 중국 본초학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명 이시진 본초강목에 수록된다. 이를 통해 오대 시기 남방 출신 저자의 지역 본초서가 이후 ‘제국’ 본초학의 형성에 미친 영향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Haiyaobencao(海藥本草) by Li Xun (907-965), a unique book on medicinal herbs in the history of Chinese herbal medicine and explore how the knowledge of Haiyao(海藥) brought in from abroad or from the southern region around the 10th century was accumulated and disseminated in later periods. When the contents of Haiyaobencao examined closely, its characteristics as a ‘regional’ medicinal herb book stand out. First, in terms of the description method, unlike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previous so-called traditional medicinal herb books, the origin of the herb is mentioned first, and an emphasis was placed on clarifying the herb’s origin. Moreover, various references were cited while introducing related information. Most of the references cited were geography(地志) and natural history(博物志) of the south. All of these point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aiyaobencao as a regional medicinal herb book. Haiyaobencao is significant because the knowledge of herbal medicine from scattered regions is gathered together in it. The significance of Haiyaobencao is very clear in terms of accumulation and expansion of Chinese herbal knowledge. First, about 10 kinds of herbs listed in Haiyaobencao are those that are not observed in previous medicinal herb books. In addition, 6 kinds of herbs were already mentioned in Bencaoshiyi(本草拾遺) in the 8th century, but later the author of Zhengleibencao(證類本草) specified Haiyaobencao as the original source. Additionally, when a total of 19 types of herbs including these are included in Bencaogangmu(本草綱目), Haiyaobencao is specified as the original source. Clearly, Haiyaobenca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the new herbs of the region and disseminating it after being included in the authoritative medical herb book on a national scale. Haiyaobencao also supplemented related knowledge by citing various references in the area of production and efficacy of Haiyao which was already widely known. This supplementary knowledge also includes various historical facts and anecdotes related to herbs. Almost all of the supplemented knowledge is converged into Zhengleibencao and Bencaogangmu. This is the part where we can confirm the significance of Haiyaobencao in the accumulat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on exotic medical herbs abroad or in the south. In conclusion, Haiyaobencao, which collected overseas and southern herbal knowledge during the pre-Five Dynasties period, has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traditional medicinal herb books, as it addresses 'regional' knowledge. It holds various local literature records that have been handed down sporadically and systematized as herbal knowledge. Moreover, the results were later included in Zhengleibencao, a nationwide medicinal herb book during the Song Period. In addition, it is included in Bencaogangmu, which can be called a compilation of herbal medicine in China.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the regional medicinal herb book of the southern author during the Five Dynasties period on the formation of the ‘imperial’ herbology thereafter can be explored.

      • KCI등재

        문헌학적 관점에서 본 盧和 《食物本草》

        신영자,김광일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8 No.-

        《食物本草》 一書, 是正德年間盧和所撰的一部本草書, 也是明代本草學的代表性著作, 但是學界尚未進行深入的研究。 本文著眼于這種情況專門討論 《食物本草》的文獻特點, 尤其是撰者、 版本系統、 傳入朝鮮的原委、 刊行時期、 内醫院本的刊行、 體例及内容等基本問題, 其主要内容如下:第一、 現存中國刊行的《食物本草》 大概有八種, 考慮各版本的刊行人和刊行時期, 可知最初撰者爲東陽盧和;第二、 與《證類本草》、 《救荒本草》 等以前本草書不同, 《食物本草》 特別強調日常生活中的飲食習慣, 這種特點和當時流行的李杲脾胃學説有密切的聯係;第三、 此書十六世紀中期傳入朝鮮後, 由朝鮮内醫院所刊行, 而内醫院本 《食物本草》 現存校勘質量最爲優秀的版本;第四、 《食物本草》 將三百八十七種食物分爲水、 穀、 菜、 果、 禽、 獸、 魚、 味等八類, 簡明扼要地説明各各食物的味道、 性狀、 效能等本草學特點, 保持較高的學術價值, 因此爲 《本草綱目》、 《東醫寳鋻》 等後代醫書所重視。

      • KCI등재

        문헌학적 관점에서 본 노화(盧和)《식물본초(食物本草)》

        신영자,김광일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8 No.-

        《食物本草》一書, 是正德年間盧和所撰的一部本草書, 也是明代本草學的代表性著作, 但是學界尙未進行深入的硏究。 本文著眼于這種情況專門討論《食物本草》的文獻特點, 尤其是撰者, 版本系統, 傳入朝鮮的原委, 刊行時期, 內醫院本的刊行, 體例及內容等基本問題, 其主要內容如下:第一, 現存中國刊行的《食物本草》 大槪有八種, 考慮各版本的 刊行人和刊行時期, 可知最初撰者爲東陽盧和;第二, 與《證類本草》, 《救荒本草》 等以前本草書不同, 《食物本草》 特別强調日常生活中的飮食習慣, 這種特點和當時流行的李?脾胃學說有密切的聯係;第三, 此書十六世紀中期傳入朝鮮後, 由朝鮮內醫院所刊行, 而內醫院本《食物本草》 現存校勘質量最爲優秀的版本;第四, 《食物本草》 將三百八十七種食物分爲水, 穀, 菜, 果, 禽, 獸, 魚, 味等八類, 簡明扼要地說明各各食物的味道, 性狀, 效能等本草學特點, 保持較高的學術價値, 因此爲《本草綱目》, 《東醫??》 等後代醫書所重視。

      • 본초종신(本草從新)의 초부(草部)에 관한 연구

        김달영 ( Dal Young Kim ),서부일 ( Bu Il Seo ),박지하 ( Ji Ha Park ),노성수 ( Seong Soo Roh ) 한약응용학회 2013 한약응용학회지 Vol.13 No.1

        Objective:Since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of practical use, the Korean medical doctors and students study this book in large quantit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Korean herbal medicines and herbology, I translated and deeply considered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and compared this part with Bonchobiyo(本草備要). Method:At first, I translated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and I analyzed the point of differences between Bonchojongshin(本草從新) and Bonchobiyo(本草備要). And I estimate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herb part(草部) of this book. Result:1.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consists of six volumes.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from the first volume to sixth volume. 2.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made up of eight parts and they are mountain herbs(山草類), aromatic herbs(芳草類), herbs in the damp land(?草類), poisonous herbs(毒草類), vines(蔓草類), water herbs(水草類), herbs on the rock(石草類), hepatic herbs(苔類). 3.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was based on Bonchobiyo(本草備要) written by Wangang(汪昻) and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was too many by 41 herbal medicines in comparison with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biyo(本草備要). 4. The 20 Korean medicines of the herb part(草部) were not members of the herb part(草部) and I thought that those medicines are Korean medicines of the tree part(木部). Conclusion: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s of practical use for Korean medical doctors and students with a major in Korean medicine. But, we should deeply study the herb part(草部) of Bonchojongshin(本草從新) in order to practical use.

      • KCI등재

        역대 本草書의 본초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백명훈,신상원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6 No.3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diachronically examine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all materia medica, followed by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each category to deduce each category's characteristic. This will provide foundation for further examining classifications of bencao in contemporary herbology. Methods : Classification systems from a total of 93 bencao related text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Each category's class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to determine its mean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were compared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o further deduce each system's problem from a historical context. Results :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materia medica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ree standards: quality, origin, and medical application. In reality, bencao could be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origin and medical application. The origin-based classification system provided a stable and flexible classification outline in the expansion process of bencao. The medical application-based classification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cao and illness pattern, improving clinical applicability. Conclusions : In the history of herbology, the two classification systems created the current of herbology through mutual contribution and conflict. We hope that furthe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towards which classification system of bencao in contemporary herbology should head will proceed based on this study. 목적: 역대 본초서의 본초분류체계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유형화하고 각 분류체계 유형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현대 본초학의 본초 분류를 고찰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총 93종의 본초학 관련 문헌으로부터 본초분류체계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본초분류체계가 가진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초서의 본초분류체계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비교하여 역사적인 맥락에서 각 분류체계가 갖는 학술적 문제의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역대 본초서의 본초분류체계를 크게 三品 분류체계, 기원별 분류체계, 의학적 분류체계의 세 가지로 요약하였고 실제로는 기원별 분류체계와 의학적 분류체계로 대별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기원별 분류체계는 본초가 크게 증보되는 과정에서 안정되고 유연한 분류의 틀을 제공하였다. 의학적 분류체계는 본초와 병증의 관계를 강화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제고하였다. 결론: 본초학의 역사 속에서 두 분류체계는 상호 보완하기도 하고 상충하기도 하면서 본초학의 발전의 흐름을 만들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현대의 본초분류체계가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