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MM을 이용한 HDFS 기반 동적 데이터 복제본 삭제 전략

        서영호(Young-Ho Seo),윤희용(Hee-Yong Yo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본 논문에서는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에서 문제되고 있는 복제정책의 개선을 위해 HMM(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동적 데이터 복제본 삭제 전략을 제안한다. HDFS는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분산 파일시스템으로 높은 Fault-Tolerance를 제공하며, 데이터의 접근에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여 대용량 데이터 집합을 갖는 응용 프로그램에 최적화 되어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HDFS 에서의 복제 메커니즘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추가 블록 복제본이 많은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여 유지보수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HMM과 최상의 상태 순서를 찾는 알고리즘인 Viterbi Algorithm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복제본을 탐색하고, 탐색된 복제본의 삭제를 통하여 HDFS의 디스크 공간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전자증거와 원본증거의 법칙

        이상원(Lee, Sang-Won) 대검찰청 2012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6

        명문의 규정은 없지만 우리 법이 원본증거의 법칙을 인정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증거의 제출은 원본증거를 제출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런데 과학기술의 발달은 원본증거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게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본증거법칙은 유지되어야 하며, 다만 그 구체적인 모습의 변용이 필요하다. 전자증거는 매체로부터 독립한 존재로서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원본이 복수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원본개념의 복수성). 내용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전자증거는 작성자의 합리적 의사에 따라 원본이 될 수 있다(원본개념의 상대성). 한편, 복제본과 사본의 개념을 구별하여, 전자는 원본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고, 후자는 원본제출 불능이나 곤란을 요건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여야 한다. 어느 경우에나 동일성은 핵심요건인데, 복수의 원본 사이나 사본은 내용의 동일성이, 복제본은 자료의 동일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하여 전자증거의 확대와 전자소송의 발달에 따른 두 가지 상반된 요청, 즉 원본과 동일한 사본을 배척할 필요가 없다는 요청과 정교한 조작 위험을 제거하여야 한다는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We can say Korean evidence law has ‘best evidence rule’ or ‘original evidence rule’, even though Korean evidence statutes do not have clear language stipulating the ru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duce best or original evidence rather than secondary evidence, at least in principle. However, new technology such as computer technology poses many challenges to the rule, which may lead to the abolition of the rule. Nevertheless, best evidence rule will survive even in the digital age, only it needs some adaptation to the new environment. Electronic evidence has its own identity independent from the medium carrying the information. It raises the possibility for multiple originals (plurality of originals). Among those evidences sharing identical contents, only those intended to be originals are original evidences (relativity of originals). Duplicates and copies are to be distinguished. If a copy is identical to the original in material, that is sharing the same material (identical materials), then it is a duplicate; if a copy is identical to the original only in contents (identical contents), then it is a mere ‘copy.’ Duplicates are admissible to the same extent as the original; copies are so only when it is proved that the original exists or exited and all the originals are impossible or hard to produce.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reproduce precisely the same electronic evidence which reduces the need for originals, while the technology enhances the possibility to manipulate the original leaving no trace which raises the need for originals. The above understanding will show the way to meet both contradictory requests.

      • KCI등재

        『翰苑』 卷子本의 書誌와 筆寫의 諸問題

        박준형(Park Junhyoung)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0

        이 논문에서는 헤이안시대 일본에서 필사된 『한원』의 서지와 필사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1974년에 太宰府天滿宮에서 복제한 『한원』(권자본)은 세로 27.3㎝, 본문 길이 1,566.5㎝이며 裝潢을 포함한 全長은 1,626.2㎝이다. 현존 『한원』은 필사된 28장의 종이를 이어 붙여서 제작된 두루마리 형태이다. 接紙를 위해 네 변을 자른 후에 가로 57.5㎝, 세로 27.3㎝가 되는 종이가 필사지의 기본 크기였다. 이 용지의 크기는 율령반포 이후 8세기 초반에 사용된 唐大尺[小尺] 기준으로 가로 2척, 세로 1척이었다. 倭國篇부터는 이전 편과 달리 필체가 바뀌었는데 이것은 필사자의 교체가 일어났기 때문이었다. 『한원』은 접지를 위해 改行하면서 일부 형태가 변형된 사례가 있지만 저본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필사가 이루어졌다. 그런 점에서 『한원』에 보이는 誤脫과 缺落은 필사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저본의 오류였을 가능성이 높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of the Literati Garden(Hanyuan/Kan’en 翰苑) copied in Heian period Japan. The scroll-edition Literati Garden reproduced in Dazaifu Tenman-gu 太宰府天滿宮 in 1974 is 27.3㎝ in height, 1,566.6㎝ in the length of the text, and 1,626.2㎝ in total length including decorative margins. The transmitted manuscript of the Literati Garden has the form of a scroll made by attaching 28 transcribed sheets of paper. The basic size of the paper for transcription is 57.5㎝ by 27.3㎝ excluding the blanks on the four sides for pasting. The size of the paper is 2 chi by 1 chi in terms of xiaochi 小尺 of Tang long measure which was adopted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Statutes and Ordinances(ritsuryō 律令) in Japan. The change in the handwriting, compared to the preceding chapters, seen in the Waiguo 倭國 chapter suggests a replacement of the scribe. Except for some cases, such as changing the line breaks to attach the paper, the transcribing process of the Literati Garden was successful in keeping the form of the original copy to the fullest. In this regard, the errors and omissions found in the scroll-edition Literati Garden are highly likely to have been from the original copy, not from the copy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