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정책학연구논문 ; 발달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의 특성화 방안

        조성혜 ( Sung Hae Cho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4

        글로벌 경제하에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국경 없는 경쟁이 심화되면서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절대다수가 직업능력을 향상을 목적으로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오늘날의 대학은 극소수 선택받은 자들만이 누리던 예전의 고등교육기관이 아니다. 대학정원에 비해 입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대학이 속출하고, 소위 명문이라고 일컬어지는 소수 대학 외에 웬만한 대학은 마음만 먹으면 누구라도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그러나 발달장애인은 이렇게 보편화된 대학교육의 혜택도 못 받고, 장애인전형의 입시에서도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발달장애졸업생들에게 유일하게 열려있는 길이 특수학교의 전공과이나, 그마저도 졸업생 수에 비해 설치된 학교의 수가 워낙 적다 보니 입학시험을 치러야 하고, 그 결과 탈락자가 나올 수밖에 없다. 절대 다수의 탈락자들은 취업도 하지 못하고, 교육도 받지 못한 채 아무 하는 일 없이 집에 머물러 부모에게 부담스러운 존재로 남게 된다.장애인차별법은 “장애인에 대하여 형식상으로는 제한·배제·분리·거부 등에 의하여 불리하게 대하지 아니하지만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를 고려하지 아니하는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장애인차별법 제4조 제2호)를 차별행위로 보고 있다.이러한 차별의 기준으로 볼 때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반 비장애인들과 동일한 잣대로 대학입시의 시험을 치르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간접차별이다. 오히려 발달장애인은 인지능력이나 판단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장애인보다 더 긴 시간의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등교육에서도 무차별하게 일반 비장애학생들과 경쟁시킬 것이 아니라 초중등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특수한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발달장애인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고등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다행히 발달장애인의 부모들도 차츰 발달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또 고등교육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 4년제 대학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 발달장애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게 되면 사회생활에 적응할 능력과 직업능력도 향상되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립을 할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진다. 그럼으로써 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됨은 물론 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나아가 이들의 보호를 위한 사회적 비용도 절감될 것이다. 대학교육이 전 청소년 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변모해 하고 있는 시대에 인지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발달장애인에게만 대학교육을 개방하지 않는 것은 시대착오적 구태이다. 오히려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과 특수 대학을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인정하여 이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교육을 시키는 것이 21세기 한국이 나아갈 방향이다. 더불어 대학교육 이후 성인기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을 확충해야 할 것이다. Nowadays most highschool graduates enter the university in Korea. The Bachelor’s degree is no more than the prestige of the selected elites. Nevertheless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have to give up on going to college, because there are few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m. So most highschool graduate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go to the transi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 for the disabled persons at best. However, the number of applicants far exceed capacity, whereupon the rejected have to stay at home without pastime or to into the facilities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t can be said that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re not able to receive the college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cognitive ability. Howeve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a citizen has the right of education and human dignity. So long as the college education is universal,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should not be isolated from the right of education. If the existing the higher educational system is not appropriate for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t sh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special programme and facilities for them.

      • KCI등재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 형태에 대한 탐색

        김주영,강경숙 국립특수교육원 2012 특수교육연구 Vol.19 No.1

        최근 지적장애를 비롯한 발달장애학생들이 중등교육을 넘어 고등교육을 받고자 하는 요구가 점증하고 있지만, 우리 사회에서 이에 대한 필요성과 현실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 이후 교육, 그 가운데서도 대학에서의 교육에 대하여 그들의 고등교육을 개념화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등교육의 형태를 조망한 다음 형태별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의 발달장애인 고등교육 형태는 기존의 학과에 발달장애인의 입학을 허용하는 '기존학과 입학허용 형태'와 발달장애인만을 위해 별도로 설치된 '독립학과 형태', 아예 발달장애인만을 위한 별도의 캠퍼스를 조성하고 다양한 학과를 개설해 운영하는 '독립학교 형태', 그리고 대학 내 평생교육원 등 부설 기관에서 별도의 과정을 두어 운영하는 '특별과정 형태'의 네 가지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교육 형태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본 결과 주요한 개선책으로, 기존학과 입학허용 형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장애인 대학 입학 특별 전형 제도의 제고와 발달장애학생의 교수-학습 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독립학과 형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성과 의지를 갖춘 학교 내 제도적·행정적·인적 기반과 지역사회 내 관련 기관 및 협력 기관과의 원활한 접근성 확보가 필요하다. 독립학교 형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캠퍼스 조성과 교직원 수급,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재원 조달과 제도권 수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별과정 형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을 점진적 폐지하고 그 역할을 지역사회 내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of post-secondar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i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scussion about the need of this higher education and how to operate it practically in Korean society. Firstly, this research is for defining their college educatio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llowing the outlook of what kind of post-secondary education is going on currently in Korea, confront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hrough considering problems of each kind of them. The post-secondary education systems in Korea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categorized in four: Unified department, Independent department, Independent college and Special course. "Unified department" is to allow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tudy together with students with non-disabilities while making separate department is "Independent department", and for the improvements of "Unified department",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with a special case' has to be reinforced and the teaching-learning support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for developing "Independent department", it needs to be collaborated between community-rela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 specialties in advanced levels. Separate college onl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Independent college", which is needed to build up Campus and supply teaching staffs for operating curriculum. Lastly, "Special course" is run by an auxiliary organization i.e.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es, and for its developing, post-high courses set up in a special school has to be phased out gradually and transferred to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a university. Each system needs to be examined about their limit exactly, to be diagnosed the cause of this and to search for developmental solutions in order to encourage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get more chance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발달장애인 대상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 및 교육지원 현황

        김유진,이성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이 재학 중인 대학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재학 현황과 교육지원 현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발달장애학생이 5명 이상 재학 중인 대학 83개교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및 입학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3개교 중 장애학생지원센터는 61개교, 입학처는 58개교의 질문지가 수합되었고, 응답은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최종 분석 대상 대학 60개교에 재학 중인 전체 장애학생 중 발달장애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19.5%였고, 80여 개의 다양한 학과에 재학 중이었는데 가족·사회·복지학 관련 학과에 재학하는 비중이 32.8%로 가장 높았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의 전환 시점 및 대학 입학 시점에 제공된 지원, 일반학과 강의 참여 시 제공된 지원을 조사하였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학위과정)과 평생교육원(비학위과정)의 운영 현황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 및 교육지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발달장애 대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한 첫 조사연구라는 점과 발달장애인 중등이후교육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내 발달장애인을 위해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현황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rollment and educational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IDDs) in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dmissions offices in 83 universities reported that more than 5 students with IDDs are enrolled. Of the 83 schools, 61 support cent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58 admissions offices responded, and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19.5%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60 universities were students with IDDs. The students with IDDs were enrolled in 80 various departments; the highest proportion was in family, social and welfare departments. The support provided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university and admission to college and the support provided at the time of participation in lectures in general classe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results, two tasks were derived: increasing accessibility and opportunities for the select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ose with IDDs, and strengthening educational support. The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hat provid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with IDDs was also analy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ose with IDDs conducted at a time when the demand and interest i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ose with IDDs are increasing, and it summarizes and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with IDDs in Korea.

      • KCI등재

        Integrated Structuring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gher Education for the Independent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Perspective of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Age: Foundation of the Vision

        김영준(Kim Youngj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학령기 특수교육 분야 관점과 연계한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을 위한 고등교육 기반 평생교육 통합 구조화체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은 학령기 특수교육의 기본교육과정 및 종합적 성과를 심화연계한 성인계속교육의 지원체제로 지속 관리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하여 장기적 안정성 차원의 고등교육 기반의 평생교육 통합 구조화 관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은 전 생애 주기 차원에서 학습 관리되기 위하여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의 관계 정립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관점도 반영되었다. 연구 내용은 문헌 분석을 통한 소고 형식으로기술하였으며, 이와 연계하여 거점 대학의 샘플 차원에서 대구대학교 K-PACE 센터의 사례를 반영하였다. 발달장애인의독립생활을 위한 고등교육 기반의 평생교육 통합 구조화는 학령기 중심 특수교육 분야의 융합적 기여 및 활용,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의 접점 마련을 위한 조건과 로드맵, 지역 장애인평생교육 유관기관 간 통합 구조화 추진의 방략으로 고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결론은 거점 대학의 샘플로서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지원체제가 고등교육 맥락과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안정화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grated structuring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gher education for the independent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perspective of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age. Based on the need to continue to manage the independent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support system for adult continuing education that deeply links the basic curriculum and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age,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structuring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gher education with long-term stability was emphasized. In order for the independent life of a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learned and managed at the level of the entire life cycle,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 contents were described in the form of a review, an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ase of Daegu University was reflected at the sample level of the base university. For the integrated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gher education for the independent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verging con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field, conditions and roadmap for establishing contact points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integrated structure among related institution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reg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Daegu University was viewed as a sample of the base university, suggesting a way to stabilize the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ructurally linked to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의미

        최연진,임경원 한국평생교육학회 2019 평생교육학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최근 발달장애인을 위한 고등교육 서비스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현재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학위과정의 고등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Y대학 Z학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5명을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과 의미는 ‘대학, 내 삶의 터닝 포인트’, ‘학과, 비로소 내가 섞일 수 있는 곳’, ‘대학은 큰 사회로 나가기 전 작은 사회’, ‘대학생활의 목표, 좋은 곳에 취업하는 것’의 4가지 상위범주와 1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5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구성하는 고등교육의 의미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둘째, 고등교육이 발달장애대학생에게 중요한 성장의 장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과 환경 조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is only one university that has a depart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ive students in the depart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our upper themes were categorized: (1) university, turning point of my life; (2) major, the group that I can mix with; (3) University, a small society before bigger society; and (4) The purpose of university life is finding a good job. These upper themes have 17 sub-themes and 54 meaning uni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university life that were compose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higher education means a place for growth for the students. Third, this study was able to get information about various conditions required for support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Kang Dongug,Lee Seongkyu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As many people begin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college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gular and irregular college programs are expanding.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llege education for them is very scarce.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nd draw implications for more enhanced college operating schemes. This paper uses a quantitative questionnaire survey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The target group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le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and instructional staffs working in colleg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or this study, most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life. They are having very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self-esteem,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through college education. We come to know that higher education for individual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effective in many aspects including even their employment prospect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full social integration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국내 정규대학 및 비정규대학의 지적·발달장애인 대학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교육과정 구성, 재원, 지원서비스, 학생들의 교육 참여정도와 만족도 등을 지적·발달장애인 대학생 당사자와 대학실무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발달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대학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문내용은 국내 장애인 대학교육 관련 법률과 지적·발달장애인 등의 장애인 대학교육 현황, 설문조사·인터뷰 자료수집과정 및 내용, 양적·질적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지적·발달장애인 대학교육의 실태와 의의, 장애당사자 및 실무자 면접을 통한 향후의 효과적 대학운영방안, 정책적 과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현재 재학 중인 지적·발달장애인들은 자신의 대학생활에 매우 만족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을 통해 자신감과 자립심도 향상되는 등 이들의 대학교육이 사회통합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 개발을 위한 교육관련자, 학생 및 학부모의 경험과 지원요구

        이성아,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ducational personnel in colleges as well as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heir parents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an operating system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D. Metho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participants consisting of staff members and professors of colleges as well as students with DD and their parent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abundant data collection, triangular verification, and member check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Four major themes and 12 sub-themes were derived, and the major themes are as follows: transition processes from high school to college for students with DD; difficulties with academic activities at college and sporadic supports; bright and dark sides of non-academic life at college; and tasks for improving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D. Conclusion: Based on the four major themes on the current status of college life of students with DD and tasks for improving the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discussions were presented with a focus on suggestions for policy making and practices aimed at developing an operating system for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목적은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 개발을 위하여 발달장애학생의 전문대학 교육에 대해 교육관련자(전문대학 직원 및 교수)와 학생 및 학부모 세 집단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질적연구를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전문대학의 교육관련자, 발달장애학생 및 학부모 세 집단의 2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풍부한 자료 수집, 삼각검증, 연구참여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의 전문대학 교육에 대한 세 집단의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하여 4가지 대주제와 12가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현재 시의적으로 관심이 고조되는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교육 이후의 ‘중등이후교육’이 실행되기 위한 운영체계를 전문대학 기반으로 개발할 때 요구되는 지원과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제시하였다. 발달장애학생의 학업 및 비학업 전문대학생활에 대한 실태와 초기 성년기 발달장애인에게 질 높은 중등이후교육 제공을 위한 과제들을 처음으로 다각적으로 파악하여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 고등학생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김정은,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서울 및 수도권 소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 PSE)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하고, 자녀의 학교유형(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따라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질문지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 총 238부 질문지 응답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후 PSE의 희망 진로로 ‘직업훈련기관의 직업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1위로 응답하였고(45.4%), 자녀에게 PSE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필요성의 최상위 이유는 ‘자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 으로 나타났다. PSE 프로그램 결정 시 어려움의 최상위는 자녀의 교육적 수준에 알맞고, 적절한 거리에 있는 PSE 기관과 프로그램의 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PSE의 적합한 운영 주체 1순위는 국가·지자체로, 실시 장소로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직업훈련기관,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 순으로 선호되었다. 적합한 강사로는 ‘특수교사 혹은 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1순위로 나타났고, 교육 기간으로는 2-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SE 내용으로 질문지의 12개 전 영역인, 대인관계기술 영역부터 기능적 학업기술 영역까지 모두 요구가 높았다. 추가 지원으로는 ‘경제적 지원’ 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학부모간 자녀의 PSE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PSE로의 진학지도와 전환 및 다양한 PSE 개발 및 실행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고등학교 졸업 이후 진학할 다양한 PSE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하며, 고등학교에서 PSE로의 전환 체계와 양질의 PSE 제공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학부모 관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bout their children’s postsecondary education(PSE), and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school type. Method: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method. Responses from a total of 238 par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SE option best preferred for their children was ‘vocational programs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re was a high level of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the necessity of PSE for their children, and the most responded reason for the PSE wa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parents found not enough appropriate PSE programs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reasonable distanc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anked first as the most appropriate to operate their children’s PSE institutions. The site most desired for PSE w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favored instructors for PSE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professionals holding a certificate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most desired PSE period was 2-3 years. All 12 domains were highly validated as contents of a PSE curriculum.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arents’ perspectives and demand for PSE and it provides useful data on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PSE for their children with DD at a time when governmental policy for the appropriate PSE for individuals with DD is called for.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임은주 ( Eun Joo L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합교육과 평생교육을 지향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을 기반으로 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과 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발달장애학생이 교육받고 있는 대학의 교직원, 장애학생, 부모, 고교 진학지도 특수교사, 장애인 고등교육 전문가들에게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교육과정, 학사지원 등에 관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발달장애학생들의 대학 기반 교육의 필요성으로 통합교육의 기회제공과 발달장애학생들의 역량강화, 성인으로서의 자립생활 준비를 언급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이나 학사지원에서는 학교마다 달리 적용하고 있었고 관계자마다 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과정의 운영과 수요자 중심의 학사지원, 국가차원의 행·제도적인 지원을 통한 적절한 교육 방법 모색 등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정훈(Jung-Hoon Park),김종인(Jong-Ihn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고등교육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의 조사대상은 고등교육기관, 특수학교 전공과, 보호작업장에 소속되어 있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고등교육기관 50명, 특수학교 전공과 28명, 보호작업장 훈련생 30명 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종속변수, 독립변수의 응답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세 집단의 고등교육 경험 유무가 여가생활 및 대인관계, 자기 결정 및 자부심, 사회참여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세부적인 집단별 비교를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의 분석을 통해 세 집단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비교하였을 때 고등교육기관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가생활 및 대인관계, 자기 결정 및 자부심, 사회참여 및 만족도를 합친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education experience on quality of lif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belong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 school majors, and protective workplaces. 50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28 special school majors, and 30 trainees in protective workplaces total 108 people.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of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Seco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groups experience in college education on leisure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and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ird, ex post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detailed group comparison. When compar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three groups, the average scor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which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leisure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determination and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