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언론의 무용공연 보도 특성 분석

        이윤경 ( Yoonkyung Lee ),김태연 ( Taeyeo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2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용공연에 관한 국내 언론 보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빅카인즈(BIG KINDS)에서 1990년부터 2022년까지 33년간의 무용공연 보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요 키워드는 ‘무용공연’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넷마이너(NetMiner 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후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1990-2000)에는 ‘발레공연’, ‘현대무용 공연’, ‘초청공연’, ‘평론가가 뽑은 무용가 공연’, ‘한국전통춤 공연’ 토픽이, 2기(2001-2011)에는 ‘현대무용 공연’, ‘서울세계무용축제’, ‘한국창작춤 공연’, ‘한국전통춤 공연’, ‘무형문화재 공연’, ‘발레무용수 초청공연’ 토픽이, 3기(2012-2022)에는 ‘공연예술창작산실’, ‘서울세계무용축제’, ‘시립예술단체 공연 및 교육’, ‘최승희 무용공연 영상 발굴’, ‘한국전통춤 공연’, ‘보훈행사’, ‘궁중무용 공연’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공연에 대한 대중의 인식, 무용공연의 역사적 변천 과정 및 도출된 특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무용공연의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edia reports on dance performances using news big dat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33 year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1990 to 2022 by BIG KINDS, and the main keyword was set as 'dance performance'.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NetMiner 4 program was used, and after text mining, it was analyzed using a Topic Modeling techniqu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eriod (1990-2000), topics such as ballet performance, modern dance performance, invited performance, criticism-selected dancer performance,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ere derived, while in the second period (2001-2011), topics such as modern dance performance, Seoul World Dance Festival, Korean creative dance performa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erformance, and valle dancer invitation performance were derived. In the third period (2012-2022), topics such as 'Performance Art Creation Room', 'Seoul World Dance Festival', 'City Art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Education', 'Discovering Video of Choi Seung-hee's Dance Performance',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Veteran Event', and 'Gungmu Dance Performance' were derived.

      • KCI등재

        학교무용의 위치 찾기

        김지영(JiYoung Kim),윤정은(JungEun Yun),홍애령(AeRyung Hong),이소미(SoMi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무용교육과 관련된 정책과 공법적 검토를 통해 학교무용의 역할과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무용계는 무용 독립 교과의 개설과 무용교사제도의 도입을 제기해 왔다. 그러나 학교무용관련 정책과 공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학교무용의 필요성은 강력히 제기하면서 학교무용의 전문적 정체성, 정책 및 제도 도입을 위한 실태 분석이나 교육과정에서의 입지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부재하였고 정책과 법제화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책과 현행법상의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학교무용관련 정책 입안과정에서 발견되는 불합리성의 원인을 진단하고 향후 행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개방형 설문을 통해 학교무용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수집하였으며, 이해관계자 분석(stakeholder analysis)과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을 통한 속성의 유사성, 상이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무용에 관한 이해관계자 분석 결과, 첫째, 학교무용의 비중이나 중요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연계성이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인식이 전문가 집단내 유사성을 보였다. 즉 교육정책과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연계에 의해 현행법상 학교무용의 영역은 체육과 예술교육의 사이에서 독립된 교과를 확보하지 못한 채, 모호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무용 독립 교과의 개설과 무용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는 전문가 집단내 상이성을 보였다. 둘째, 학교에서 무용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법적 근거로 대한민국 헌법, 문화예술 관련 법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등의 공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행법률 조항 및 시행규칙에서 새롭게 신설되거나 수정되어야할 사항들에 관한 전문가 집단내 합의적 검토의견이 도출되었다. 셋째,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상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초 · 중등교육법상 산학겸임교사 등의 제도, 학교체육 진흥법상 스포츠강사 제도 등 현행 법률의 활용, 무용 독립 교과의 개설을 위한 장기적인 정책 입안 도모, 학교무용의 내실화, 전문화를 위한 실천적, 학문적 노력을 학교무용의 체계를 위한 정책 및 법적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future directivity through consideration of relevant policies and review in accordance with public law to establish the role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chool dance education. Although the dancing world has recently raised independence of dance subject from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introduction of dance teacher system, a close review in terms of policy and law on to what direction school dance shall settle down institutionally · educationally, and to draw a future-oriented ideal type has not been made yet. Especially, while raising the necessity of school dance, in-depth discussions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chool dance, analysis of reality for introduction of system, specific plan and position within the curriculum has been absent, and concreteness has also been shown in the course of policy and legisl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by diagnosing the cause of irrationality discovered in the course of policy making for independence of current dance subject and revealing essential mechanism of school dance by examining problems of policy and current law with respect to ‘Where is dance education now in school education?’. As for data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llected opin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school dance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 group and open questionnaires, making an analysis on the similarity of attribute through the stakeholder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cognition about connectivity between dance education in school and relevant individual policies, this study found a common opinion that connectivity of cooperative governance capable of significance or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is extremely limited, and confirmed that the area of school dance is taking an ambiguous position without securing an independent subject in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by the connection of education policy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deduced a consensual examination opinion from expert group on the relevant legislation with regard to the legal grounds that must be guaranteed basically for enabling dance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schools.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review 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legislation related to culture and arts and education-related legislation with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that has recently been reflecting the weight of dance education the most, deducing matters established anew or to be amended in the clause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current law. Thus, this study suggested a political and legal improvement plan for school dance system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ed utilization of current laws such as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in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 syste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sports instructor system in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ct etc. Second, although it is a difficult tasks as of now, this study suggested preparation of policy making for independence of dance subject in the long term for optimization of danc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ird, this study suggested that now is the time to concentrate on the secure of identity and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sm for ensuring internal stability to enable danc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chools rather than the matter on the independence of dance subject.

      • KCI우수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무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이지영 ( Lee Ji Young ),김지안 ( Kim Jia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당 무용의 소비항목별 지출 규모를 중심으로 무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잠재적인 경제 가치를 조망하는데 있다. 이에 김지영, 이지영(2020)의 무용산업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통계청(2019)의 한국표준산업분류와 한국은행(2015)의 산업연관표를 매칭하여 연관표를 추가하고 이를 근거로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산업의 소비항목별 지출 규모를 파악한 결과, 무용소비 지출이 가구당연평균 642,987원이었으며, 전국에서 무용소비 지출을 하는 가구의 총 지출액은 연간 1조 2,884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용소비를 무용산업분류표의 대분류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공연보다 교육, 용품, 콘텐츠와 같이 체험과 관련된 소비지출이 가구당 483,155원으로, 전국 무용소비 지출의 75%에 해당하는 9,681억 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연관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전체 무용소비 지출은 4조 6,17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9,589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연간 117,144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산업을 전체 산업과 비교하였을 때 부가가치유발효과는 95%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생산유발효과는 104%, 고용유발효과는 117%로 전체 산업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산업이 공연, 교육, 콘텐츠, 용품 등 주류 생산업을 중심으로 연관된 생산업 뿐만 아니라 지역과 국가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문 산업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potential economic value of the dance industry by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s, focusing on the amount of expenditure in dance per household. Based on the industry classification for dance statistics of Kim & Lee (2020), the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of Statistics Korea (2019) and the Bank of Korea (2015) added a related table and conducted an input-output analysis based on this. First, as a result of an assessment of the expenditure size by consumption item in the dance industry,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was an annual average of 642,987 won per household, and the total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of all households nationwide was 1.2884 trillion won per year. Especially, when dance consumption was compared by each type, expenditure related to experiences rather than performance was 483,155 won per household, and the expenditure of all households was 968.1 billion won, which took up 75% of the whole dance consumption nationwide. Second, as a result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he entire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in South Korea caused the production of 4.6172 trillion won, the added value of 958.9 billion won, and an effect on employment of 117,144 persons a year. Compared to the overall industry,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was 95%, lower than the average, bu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respectively 104% and 117%, higher than the average for the entire industr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ance industry forms a cluster structure centering around the mainstream production businesses, such as performance, education, contents, and products as well as it can affect the regional economy, the entire national economy, and the related manufacturing businesses.

      • KCI등재

        無用秀演의 禪詩 硏究

        권동순(원법)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4 No.-

        본고는 조선후기 無用秀演(1651~1719)의 시문집인『無用堂遺稿』를 통해 무용의 삶을 槪略하고, 無 用선시의 詩文觀과 작품의 전개양상 및 특징을 살펴 禪詩文學史에서 그 意義를 규명하였다. 무용은 浮休系인 栢庵性聰의 禪脈을 계승하고 반야경의 空思想的 敎學觀과 더불어 西方淨土를 발원하 는 念佛을 그 사상적 기저로 하여 三門修業을 행하였다. 무용은 文은 기본적으로 聖人이 자신의 도를 표출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비록 그 文이 성인 자체는 아 니더라도 글을 통해서 道에 들어가고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現道之具의 詩文觀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시문관을 바탕으로 깨달음의 경지를 표현한 작품이나 유자와의 酬答詩에서는 言語道斷, 心行 處滅이라는 禪 특유의 언어를 사용하여 禪道理를 나타내거나, 평범한 일상적 시어를 통해 법을 드러내 거나 해설하지도 않았다. 그의 시적 특징은 유교의 鳶飛魚躍이나 도교의 物我一體등의 도리를 나타낸 시어들을 통해서 西江吸盡하는 등의 禪道理를 대등한 자리에 위치 시켰으며, 그럴 수 있는 이유를 事 事無礙的 萬物不齊의 無二로 표출하고 있는 데에 있다. 이것이 무용선시의 한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용선시의 특징은 조선후기 禪詩文學史의 편폭을 넓혀 주어 선시문학을 더욱 풍부하게 하였 으며 당시 승려들의 유자들에 대한 대응논리의 한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史料的 가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of Muyong Suyeon(無用 秀演, 1651∼1719) with his anthology Muyongdangyugo( 無用堂遺稿 )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looked into the development patterns, views of poetry and prose, and characteristics of his Zen poetry, and figured out his significance in the literary history of Zen poetry. Muyong engaged in Sammun(三門) lessons based on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Śūnyatāvāda-style Gyohak viewpoint of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 and the Buddhist invocation for Buddhist Elysium by inheriting the Zen lineage of Baekam Seongchong(栢庵 性聰) of the Buhyu(浮 休) line, which is one of the trends in the Buddhist community those days. Muyong maintained the hyundojigu(現道之具) view of poetry and prose, which says that people can enter truth and reach the state of saints through writings even though they are not saints themselves since writing is the expression of their truth by saints and that the completion of truth is the completion of writing. He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showing the principle of Buddha's teachings with poetics words containing the principles of Confucianism and Taoism such as Yeonbieoyak(鳶飛魚 躍) and Mulailche(物我一體) rather than the poetic words of Zen in his works expressing the state of realization and his Sudap(酬答) poems with Confucian scholars based on such a view of poetry and prose. The practice eventually achieved the effect of showing the Manmulbuje(萬物不齊)-style Mui(無二) ideology of Sasamuae(事事無礙) . Those characteristics of his Zen poetry have important values as historical materials with which to understand one of the patterns adopted by Buddhist priests to react to Confucian scholars logically those days and help to enrich the literature of Zen poetry even further by broadening the scope of literary history of Zen poetry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us claiming their significance.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

        노정식(Jung Sik Roh),홍혜전(Hye Jeon Hong)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No.-

        이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9개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전공 학생 503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무용경험 특성에 따라 자기관리와 완벽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기관리 중 생활관리, 완벽성향 중 정돈이 높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이 2, 3, 4학년 학생들에 비해 완벽성향이 높으며, 전공에 따라서 는 현대무용이 한국무용이나 발레전공 학생들에 비해 자기관리와 공연몰입이 높다. 또한 무용참여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무용공연 횟수가 많을수록 자기관리와 완벽성향 및 공연몰입이 높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신관리와 대인관리는 높은 기준과 좌절감이 높으며, 생활관리와 대인관리가 높을수록 정돈과 정신관리에서 격차를 나타냈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공연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정신관리, 대인관리, 연습관리는 명확한 목표를 높이며, 자기관리 하위요인은 모두 통제감각을, 그리고 정신관리와 연습관리는 자의식 상실을 높인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은 공연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이 높을수록 공연몰입은 높다. 다섯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공연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완벽성향, 자기관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을 높여 공연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o attain this aim of study, this study sampled the 503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in th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angwon, Kyonggi, Daejeon, Chungnam, Chungbuk, Cheonna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flow.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ectionistic tendencies according to danc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ost, and interest in significant others, and according to danc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ality, period of dance career, frequency of choreography, and frequency of public performance.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self-management.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anxiety. Fourth,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flow. Fifth, dancer's self-management, perfectionismvand performance flow on dance confidence directly and influenced on it indirectly through dance performance ability.

      • 中國宮廷舞蹈發展的歷史軌迹及其深遠影響

        王克芬 ( Wang Ke-fen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4 민족무용 Vol.6 No.-

        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궁정무용은 궁정에서 연출되거나 창작된 모든 무용을 말한다. 궁정무용은 의식과 제사에 사용된 것, 감상과 오락에 사용된 것, 그리고 이 두 기능을 겸비한 것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중국 주 왕조 시대는 노예제 사회에서 봉건 영주제로 향하는 과도기로, 이 때 예악제도 제정을 위해 아악이 탄생하였다. 아악의 형성은 궁중무용의 정식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 아악은 고려 뿐 아니라 주변 국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지나치게 경화된 아악보다는 생동적이고 활발한 민간의 악무가 대대적으로 생겨났다. 그리고 이 새로운 무용은 감상을 위한 예술무용이었다. 한대에는 잡기, 음악, 무용, 무술 등 다양한 기예를 포함하는 ‘백희’가 유행하였다. 이 ‘백희’는 당시 민간에 널리퍼졌을 뿐 아니라 외국사절과 소수민족 수령을 영접하는 궁정 연회석에서도 공연되었다. 이것은 오락과 관람을 위한 것이었다. 한대의 아악에는 백성들의 생활에서 유래한 영성무(靈星舞) 와 파투무(巴渝舞) 가 출현했다. 영성무 는 16명의 남자 아이들이 농사 활동을 모방하여 추는 춤이다. 원래 파투무 는 파산과 유수 사이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판순만이(板循蠻夷)’ 민족의 무용이었는데, 한 고조가 이것을 악부에 편입시켰다. 위, 진, 남북조 시대에는 무용의 오락성이 크게 강조되었고, 청상악(淸商樂) 이 형성되어 장안, 낙양부터 강남 일대까지 널리 퍼졌다. 당대에는 무용예술이 고도로 발달하였고, 구부악(九部樂) , 십부악(十部樂) , 좌부기(坐部伎) , 입부기(立部伎) 등의 궁정연악이 창조되었다. 이들은 소수민족의 악무를 하찮게 여기던 앞 시대와는 반대로 외국 각 민족의 민간 악무를 당당하게 궁정연악의 악부에 포함시켰다. 당대 궁정연악은 감상하기 위한 것으로 예술성이 높고, 형식이 화려하며, 주제가 선명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당대 무용 가운데 건무, 연무, 대곡, 가무희 는 기예수준이 높고 널리, 그리고 오래 전승된 무용이다. 송대의 궁정대무는 이런 당대의 일부 악무를 계승하였다. 당대의 궁정무용은 일본 및 조선에 전파되었다. 오늘날 일본의 아악 무용 가운데는 아직도 춘앵전(春鶯囀), 난릉왕(蘭陵王) , 발두(拔頭) 등이 보존되고 있다. 12세기 남송 시대에는 독립된 공연예술로서의 무용이 점차 쇠퇴하고, 희곡 안에서의 무용이 점차 발전하였다. 희곡은 당대의 무용이 공연예술분야에서 누리던 정통의 지위를 대신하게 되었다. 청대의 통치자는 만주족으로 그들의 궁정연악은 만주족의 색채를 선명하게 띠고 있다. 만주족의 활 쏘고, 말 타는 생활을 반영하였다. 청대 말년에는 裕容齡(1882~1973)이라는 걸출한 무용가가 배출되었다. 그녀는 구미 무용을 최초로 학습한 무용가로 이사도라 던컨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던 유일한 중국인이었다. 만주족의 귀족 출신인 그녀는 다년간 외국에서 무용을 배우고, 귀국 후에는 민족무용을 공부하여 중국 춤을 소재로 공연하였다. 궁정무용의 흥망성쇠는 국력의 강성 여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중국의 봉건제도가 해체됨에 따라 ‘궁정무용’도 사라졌으나, 현재 일본과 한국에서는 중국 당, 송 시기에 전래된 악무를 ‘당악’이라 통칭하면서 보존하고 있다. The court dance refered in this dessertation is all dances which were produced or created in court. Court da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ne for ceremonies and sacrificial rites, one for appreciation and entertainment, and one that has those two functions. The Chu Dynasty is a transitional period from slavery society to a feudal system. In this age, ceremonial music(A-ak) has been created to invent 'Li Yue' system. Formation of ceremonial music signified formal advent of court dance. Ceremonial music had a great effect on states around China as well as Koryo. In the age of Ch'un ch'iu and civil wars, lively and vigorous music-dance(Akmu), entertained by the popular, appeared instead of ceremonial music which was extremly formal. This new type of dance, music-dance was an artistic dance for appreciation. In Han Dynasty, 'Bai Xi' which included miscellaneous skill, music, dance, and martial arts, was popular. Not only was it widespread to the people, but also it was performed at court banquets welcoming foreign missions. This was for entertaining and appreciating. < Ling Xing Wu > and < Ba Yu Wu > appeared in ceremonial music at this period. These two dances were originated from people's life. < Ling Xing Wu > is a dance for 16 boys imitating farming activity. < Ba Yu Wu > was originally a dance of the ethnic 'Bansoonmani' who dwelled between Pasan and Yusu. Then Kao Tsu in Han Dynasty classed this in Akbu. In Wei, Chin, and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charicteristic of entertainment in dance was strongly emphasized, and < Qing Shang Yue >, formed in this age, was widespread Ch'ang-an, Loyang, and all over the south part of a river. Dance as an art was highly developed in T'ang Dynasty. Also, court musics such as < Jiu Bu Yue >, < Shi Bu Yue >, < Zuo Bu Ji > and < Lo Bu Ji > were created. In contrast with former times when ethnic music-dance had been neglected, in T'ang Dynasty, even foreign ethnic music-dance were included in Akbu for court music-dance. This music-dance in the age of T'ang was only for appreciation, which was highly artistic, and which had sophisticated form as well as clear motif. Among dances in this age, < Jian Wu >, < Ruan Wu >, < Da Qu > and < Ge Wu Xi > had advanced technique. They especially spreaded extensively and lasted long. Those music-dance was partly passed down to the Sung Dynasty, also to Japan and Chosun. < Chun Ying Zhuan >, < Lan Ling Wang > and < Bo Tou > still remain in Japanese ceremonial music and dance. Neverthless, in 12th century(south Sung period), dance as an independent performing art eventually declined, whereas dance in play developed. Plays gradually took the place of the orthodox position of dances. Court music-dane in Ch'ing Dynasty was extremely Manchurian since it was reigned by the Manchurian ethnic. Hence, these art form reflect horse riding and shooting arrows which were the life style of the Manchurian. A talented dancer, Yu, Rong-Ling(1882~1973) appeared at the last years of Ch'ing. She was the first Chinese dancer who leared European and American dance. Also she was the only Chinese who learned from Isadora Duncan. Born in a Manchurian noble family, she trained dance abroad for several years. After coming back to China, she studied ethnic dance and performed Chinese dances. The rise and fall of court dance have much to do with power of the nation. As Chinese feudal system dissolved, 'court dance' also disappeared. Nonetheless, music-dance from T'ang and Sung Dynasty is still preserved under the title of 'Tang Ak' in Japan and Korea.

      • KCI등재

        무용분야 직업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연구

        박인실,방신웅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0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분야 직업사전 편찬을 위한 사전 기초연구로서 ‘무용직업사전’이 무용분야 직업정보서로서 기능하기에 가장 적합한 무용직업분류체계를 탐색하고 무용직업사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조사, 브레인스토밍, 전문가회의 등을 통하여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무용분야 직업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하여 무용산업의 개념을 무용으로부터 파생된 유무형의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무용산업 영역 내에서 나타나는직업들을 무용분야 직업의 선정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무용분야의 직업들을 탐색한 결과 총 126개의 무용관련 직업들이 탐색되었다. 탐색된 직업들은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다양한산업영역에 걸쳐서 나타났다. 무용직업사전의 구조적 틀인 무용직업 분류체계는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의 기본 틀을 차용하여 대분류 8개, 중분류 19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용분야직업사전에 수록되는 각각의 직업들에 대해 제공되어야할 정보요소들을 본 직업정보와 부가직업정보로 구분하고 세부요소들을 설정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분야의 직업세계에 대한 최초의직업정보서로서 활용될 ‘무용직업사전’의 기본 틀로서 활용될 것이다. 더불어 무용분야 직업관련 후속연구들을 촉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ance job classification system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Dance Job Dictionary" to function as a job information book in the dance field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dance job dictionary database. Methods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brainstorming, and expert meetings. Result In order to define the scope of occupations in the dance field, the concept of the dance industry was defined as an industry that produces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and services derived from dance, and occupations that appear within the dance industry area were set as criteria for selecting occupations in the dance fiel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jobs in the dance field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a total of 126 dance-related jobs were searched. The dance job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a structural framework of the dance job dictionary, borrowed the basic framework of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KECO) and classified it into 8 major categories and 19 middle categories. Finally, the information elements to be provided for each job included in the dance field vocational dictionary were divided into this job information and additional job information, and detailed elements were se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Dance occupational Dictionary' to be used as the first job information book on the professional world in the dance fiel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trigge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jobs in the dance field.

      • KCI등재

        무용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제문제

        임명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4

        With the Korean wave; Hallyu and activation of culture industry, the dancing world also expanding more and more. However, there is no legal protection of it. Dance copyright is classified as theatrical work. Copyright law does not protect dance copyright. From this view, artistic feather of dance copyright is not recognised legally. US ignored dance copyright on the dance without theatrical factors until 1976. Recently, US copyright law handles dance copyright separately. Regarding this point, copyright law of US could be adopted in Korea. It should be separated dance copyright from theatrical work firstly and new legislation should be enacted to protect dance copyright. Now, dance copyright is classified under theatrical work and its speciality is overlooked. Thus, there is no legislative bill to protect dance copyright. License contract between choreographer and the dance company can be regarded as most important though, it could be favourable to only dance company side. To make contract protecting individual choreographer, new provision on dance copyright in copyright law is needed. In other word, by enacting provision, all the copyright of dance should belong to the choreographer after separating from theatrical work. Currently, if there was no special condition on the contract between choreographer and the dance company, copyright of work that choreographer made for dance company belongs to dance company. Nevertheless, the right to control should belong to the choreographer ultimately even in this case. Copyright is a kind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hus when choreographer become to exert intellectual property, they will be protected more than now. Moreover, it is urgent to clarify in copyright law that the contract should include that royalty should be paid to choreographer at least when the masterpiece being revived. 한류 열풍과 문화 산업의 활성화로 무용계 또한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법적 보호막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무용 저작물은 연극 저작물로 분류되어 있어 저작권법에서 무용 저작물을 따로 보호하고 있지 않아 무용 저작물의 예술적 특성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비슷하게 연극적 요소가 없는 안무는 인정하지 않았다가 1976년에 비로소 안무 저작권을 분리해 다루기 시작한 미국 저작권법을 분석하여 볼 때 국내법에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안무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선 무용 저작물을 연극 저작물에서 분리하고 무용 저작물에 맞는 법을 새로 제정해야 한다. 현재는 무용 저작물이 연극 저작물 하위로 분류되어 있고 무용의 특수성이 간과된 채 안무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법안이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안무가와 무용단의 라이센스 계약이 가장 중요할 수 있지만 무용단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계약이 아닌 안무가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계약을 하기 위해서는 저작권법에서 안무 저작권에 대한 조항을 따로 개설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 국내법에 무용 저작물을 연극 저작물과 분리하고 안무에 대한 모든 저작권을 안무가에게 귀속시킬 수 있는 규정을 입법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는 안무가와 무용단이 맺는 계약서에 특약이 있지 않으면 안무가가 무용단을 위해 만든 작품의 저작권은 무용단에게 귀속되지만 궁극적으로 안무가가 창작한 작품을 지배할 수 있는 전적인 권리가 안무가에게 귀속되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 또한 지적 재산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안무 저작물에 대해 지적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어 안무가를 현재보다 두텁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최소한 작품이 재공연될 때 안무가에게 로열티를 지불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을 계약서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저작권법에 명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 KCI등재

        수정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중국 대학 무용학과 한당고전무용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리치아(Qia Li),이주희(Ju Hee Lee)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3

        본 연구에서는 중국 한당고전무용 교수 및 연구소를 개설되어 있는 9개 중국 대학 무용학과에서 한당고전무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9개 중국 대학의 한당고전무용무용 연구프로젝트 참여자, 대 학 (강)사 등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수정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한당고전무용 교육과정 및 개선방안에 관한 개선 요인으로 ‘행·재정’, ‘조직’, ‘교육환경 및 시설’, ‘전문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등 4개 항목으로 범주화하여 16개의 세부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한당고전무용에 관한 바람직한 교육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operational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Han-Tang dance in the dance departments of nine Chinese universities with established Han-Tang dance professors and research centers. To achieve this, a survey using the Modifie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with 20 experts, including participants in Han- Tang dance research projects at the selected nine Chines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instructors. The results categorized improvement factors for the Han-Tang dance education curriculum and approaches into four main areas: Administration and Finance, Organiz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Professional Staffi ng an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se fi ndings, recommended strategies are presented for establishing an eff ective educational system for Han-Tang dance in Chinese dance departments are presented.

      • 한국 실용무용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벨리댄스를 중심으로

        안유진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2 No.-

        실용무용은 무용의 사회화 기능을 통하여 전인적 인간의 형성에 필 요한 심미적 능력과 영감에 의한 즉흥적 표현력 개발에 도움을 주는 생 활 문화로서, 연령층에 관계없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적 가치에 중점 을 둔다. 그중에서도 벨리댄스는 다른 실용무용에 비해 비교적 늦게 국 내에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에 실용무용의 한 축을 형성했 다. 실용무용으로서 벨리댄스는 이를 둘러싼 문화산업의 성장에 높은 가능성을 가진 문화적 요소이다. 벨리댄스와 관련한 음악산업, 의상산 업 등 부수적인 산업을 성장시키는 핵심 문화로서의 특성을 가지기 때 문이다. 그러나 벨리댄스에 대한 대중의 요구가 문화산업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실용무용과 그중에서도 현재 국내에 도입된 벨리댄스의 개념 및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벨리댄스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각종 무용 관련 전문 서적과 선행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실용무용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국내 벨리댄스의 전수 현황 조사를 통해 현 국내 벨리댄스교육의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벨리댄스의 특성을 이용한 구체적인 산업화 방안을 제시했다. 현 국내 벨리댄스산업의 한계점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보완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실기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체계적인 이론교육시스템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하여 학문성 정립과 함께 세부적인 하위영역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보다 높은 수준이 제고되어야 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 체계적이고 이론화된 교육 서적 연구가 활성화되어 야 한다. 둘째, 벨리댄스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는 3급에서 1급까지의 자격증 취득과정을 체계화하여 양질의 전문 교육자를 육성할 수 있도록 자격증 관리의 엄정성을 확립해야 한다. 셋째, 소화할 수 있는 음악의 폭이 넓고 무용의 몸짓, 의상, 소품 등에 서 메시지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벨리댄스만의 장점을 이용해, 스토리 무용극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대중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국가적·지역적 차원의 공립 실용무용단 설립을 통해 벨리댄스 교육 종사자들의 생활 안정을 부여하고, 실용무용의 인식 향상과 일반 대중에 실용무용공연 관람 및 문화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위의 활성화 방안을 실현하여 한국의 벨리댄스가 현재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게 발전하고, 나아가 다채로운 문화콘텐츠를 가진 문화의 핵심 키워드로 발전하길 기대해본다. Practical Dance is living culture that helps to develop an aesthetic ability which is necessary to be holistic human being and extempore expressiveness by inspiration through socialization of dance. It places emphasis on educational value that is able to influence people independently of ages. Although it was introduced to Korea later than other Practical Dance, belly dance has formed an axis of Practical dance so quickly. The belly dance, as one of the Practical Dance, is a cultural element having strong possibilities to grow the cultural industry related with it. The belly dance has features of the core culture growing incidental industries such as the music industry, the clothing industry, etc. However, there has to be more systematic discussion to make popular demands for the belly d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Thus, through analysis of a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Practical Dance in Korea and the belly dance introduced to Korea now,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 belly dance from now on. I collected specialty publications related with all sorts of dances and data of preceding research, examining a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Dance, and studied a limit of education about the belly dance in Korea through researching current status of initiation of it. Based on these, I suggested a concrete industrialization plan through using features of the belly dance. I suggested the following points, as a revitalization plan, to remedy the limit of the belly dance industry in Korea. First, there have to be academic foundation and various studies on specific subcategories to overcom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systems about theories due to education focused on practical skills. A study on systematic and theorized instructional publications for curriculums of colleges that requires higher levels has to be revitalized. Second, strictness to manage licenses is necessary through systematization of a license acquisition process from level 3 to level 1 to grow belly dance instructors of high-quality. Third, dance dramas with stories have to be developed through advantages of the belly dance that is suitable for many kinds of music genres and is able to convey messages or images through gestures, costumes, props, etc. effectively. Based on these, the belly dance has to secure the popular appeal. Fourth, through establishment of public Practical Dance companie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stabilization of livelihood has to be given to practicians of the belly dance education. Opportunities to watch dance performances and to experience the culture also have to be offered to the public to increase awareness of Practical Dance. Through realization of the above revitalization plan, I hope that the belly dance in Korea will become more various and deeper than now and, moreover, develop into a core keyword of the culture, hav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