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AMS 시드니 대회의 선교학적 분석과 한국 선교학의 과제

        박보경(Bo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8 No.-

        제15회 세계선교학회(IAMS) 대회가 2022년 7월 7-11일에 호주의 시드니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권력, 불평등, 취약성: 상처 입은 세상 안에서의 선교”이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의 전 지구적 확산으로 인해 2020년에 열리기로 되어있었던 대회를 2년 연기하여 열리게 되었다. 6년 만에 열리는 이번 대회에는 194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기존의 9개의 소그룹 모임 이외에 추가로 11개의 주제별 패널모임이 운영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해서 진행되는 하이플렉스(Hyflex) 방식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는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대표로 하는 다수 세계 학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대회였다. 특히 필자는 지난 6년간의 부회장직을 마무리하고 회장으로 취임하였고, 또 다른 한국인으로 이명석 박사가 총무로 선임되고, 특히 25명의 한국인 학자들이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세계선교학회 역사상 유례없는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한국교회는 세계선교학계의 시대적 요청인 다수 세계 학자들의 학문적 기여에 주도적 역할을 요청받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교회의 과제에 응답해야 한다.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ission Studies’(IAMS) 15th assembly was held in Sydney, Australia from July 7-11, 2022. The theme of this conference was “Power, Inequalities, and Vulnerabilities: Mission in a Wounded World.” The conference, which was delayed two years due to the global Covid pandemic, hosted a total of 194 presentations and led within nine small groups. The conference also hosted eleven thematic panels for the first time. The conference was hosted in a hyflex format, accommodating scholars joining in-person and online. The 15th Assembly showcased an active involvement of the scholars from the majority world, which can be compared by the previous assemblies that often led by western scholars. Finishing 6 years of her service as the vice-president, the author was appointed as the new president and Bright Myeong-Seok Lee as the general secretary. A total of 25 Korean scholars presented at the conference, which was the most number of Korean scholars in the history of IAMS. These are signs of entering a new era which shows the Korean church needs to serve more for the academic contribution in the missiology scholarship in the world.

      • KCI등재

        역사학과 윤리학에서 보편주의 -한스 그뢰베가 현상학적 방법으로 수행한 (이념사와 구별해야 할) 사실사로서의 세계사 연구를 중심으로-

        조관성 ( Cho Kwan Sung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0

        글쓴이는, 한스 그뢰베가 개별적 이념사와 보편적 사실사를 맞세우면서 하이데거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서 수행한 역사철학적 도덕철학적 연구를 후설 철학을 함축적으로 도입하고 준용하여 주제화하며 해명하면서 보편주의의 생명력과 설명력을 현재 지구촌 생활 세계의 문맥 안에서 살려내고자 한다. 아래 논문은, ①해체적 해석의 방법에 따라서가 아니라 구성적 해석의 방법에 따라서 한스 그뢰베를 다루며, ②그의 역사철학적 도덕철학적 연구가 헤르더, 베버, 한스 큉과 같은 학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주제적 특징과 방법적 특징을 밝혀내며, ③한스 그뢰베가 개별적 이념사로부터 구별해야 할 보편적 사실사에 또는 (이 보편적 사실사가 일어나는) 하나의 생활 세계나 하나의 세계 공동체에 의존하여 정초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도덕적 보편주의를 더욱 뚜렷하게 살려내기 위하여 후설 철학의 주요 개념들을 준용하여 도덕적 보편주의 관점을 더욱 견고한 토대 위에 정초하여 보강하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에서 글쓴이는, 대상극에 속하는 하나의 생활 세계에 주의하여 가치 실재주의를 그리고 자아극에 속하는 인간의 삶과 행위에 주시하여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또는 이성이 스민 감정과 의지를 실용적 이성의 관점에 따라서가 아니라 실천적 이성의 관점에 따라서 도덕적 가치를 지향하며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보편적 소질을) 도덕적 보편주의를 더욱 견고하게 기초 지을 수 있는 현상학적 토대로서 도입한다. 더 나아가 현재 논문은, 도덕적 보편주의를 일상적 예를 (곧 전쟁이나 테러와 홀로코스트를 그리고 평화와 효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The author of this paper drawing mutatis mutandis and implicitly on Husserls phenomenology and its some important concepts aims at giving an elucidating thematic description of what Hans Graeve, who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philosophy and employs a Heideggerian phenomenological method, means or understands under the concepts not only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but also of universal ethics and particular ethics in his historical investigation that he had carried out in view of his explicit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Realgeschichte versus Ideengeschichte and his implicit one between one universal life world versus many particular life worlds. This article intends to b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ans Geaeve’s moral philosophical and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histor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me and method of his own investigation and by comparing his investigation with those investigations of Henry Home, Lord Kames, Herder, Weber, Hans Küng, and Myers. It will be attempted to make clear Hans Graeve’s ground standpoint of moral universalism that can be considered to be based on one universal life world, natural law ethics, and duty ethics that stand in opposition to value psychologism and utilitarian ethical theories by citing not only such concrete negative examples as war, terror, and holocaust, but also such concrete positive examples as peace and filial piety. The moral universalism that Hans Graeve reveals by starting from a concrete real life world or from the Realgeschichte in distinction from the Ideengeschichte or a particular life world which is imbued with an ideology, needs to be founded on the objective values in the life world and on the universal nature of the human beings.

      • KCI등재

        근대 중국 한족 교회의 재정 토착화 문제에 관한 고찰

        김교철,정흥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40 No.-

        China is a multi-ethnic nation and there are ethnic Christian minorities with diverse national characteristics. Han Chinese Christianity, which is the majority of peoples in China, struggled with the Chinesezation of Christianity while accepting Western Christianity. The main problem in the Chinesezation of Christianity from the West is financial independence. The Christianity of Han zu in modern China tried to work on the indigenization of finance and self-theologizing. Chinese Han's financial indigeneous movement of Christianity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situation in modern China, which did not escape the semi-colonial economic structure by the West and Japan, was one of the obstacles to Christian financial independence. Chinese Christianity in modern China did not have much concern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ity in the world because she was engaged in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Chinesezation of theology. However, the financial indigenization of the modern Chinese Han's Christianity proceeded despite the diversity of motives and various obstacles. Now, Christianity in the Two-Thirds world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efforts of the Chinese Han Christians for the financial independence. Christianity around the world should not follow materialism and civilization-oriented missions of past Western Christianity. Rather, we must follow Jesus' incarnational mission as well as Paul's spirit of mission directed by the Holy Spirit. And we must develop a partnership missions suitable for this age.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며 다양한 민족적 특색을 가진 소수 민족 기독교가 존재하고 있다. 중국 내 여러 민족 가운데 다수를 차지하는 한족(漢族) 기독교는 서구 기독교를 수용하면서 기독교의 중국화(中國化) 문제로 고민하였다. 서구에서 전해된 기독교의 중국화에 있어서 핵심 문제는 재정 자립문제이다. 근대 중국의 한족 기독교는 재정의 토착화와 자신학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중국 한족(漢族) 기독교의 재정 토착화 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서구와 일본에 의해 반식민지 경제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던 근대 중국 상황은 기독교 재정 자립화의 장애 요소 가운데 하나로 작용하였다. 근대 중국의 한족 기독교는 재정 자립화 및 신학의 중국화 작업에 몰두하느라 세계 기독교 발전에 공헌하는 문제는 중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근대 중국 한족 기독교의 재정 토착화 작업은 동기의 다양성과 여러 장애에도 불구하고 진행되었다. 물론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내지는 못했으나, 재정 자립화 문제로 고민하는 다수세계 기독교에 귀중한 본보기가 되었다. 이제 다수세계의 기독교는 근대 중국 한족 기독교의 재정 토착화 노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수세계 기독교는 근대 중국 한족 기독교처럼 서구 기독교와 재정 자립화를 성취한 각국 기독교와의 재정적 종속 관계를 종식하고 독립 자주적인 교회로 발전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세계 각국 기독교 역시 과거 서구 기독교의 물질과 문명 위주의 선교 방식을 무비판적으로 답습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예수님의 성육신 선교와 바울이 성령의 지시를 따랐던 선교 정신을 우리는 계승해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적합한 동반자적 선교 방식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작고 가난하고 미약한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

        김한성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69 No.-

        20세기 중반 이후, 선교의 주체를 교회에서 하나님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등 선교신학의 큰 변화가 있었다. 물론,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매우 다양하다. 선교의 실천 영역의 변화 중 하나는 선교사 자원의 변화였다. 1980년대를 지나며 서구 선교사의 퇴조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세계 교회는 넉넉한 자원을 가진 교회만 타문화권 선교를 할 수 있다는 오류에 빠져있다. 이것은 고도 근시의 시력으로 선교 역사를 보기 때문에 발생했다. 한편, 영국 특수 침례교회 의 타문화권 선교의 시작은 그렇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핍박과 냉대를 받는 교회, 작고 가난한 교회, 왜곡되고 균형을 잃은 신학을 가졌던 교회, 타문화권 선교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가졌던 교회, 선교지를 잘 모르는 교회도 선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단, 건전한 신앙과 신학으로 영적 갱신을 이루고, 지역 교회들이 연합하여 힘을 모은다면, 중동 이슬람권이나 부탄과 북한처럼 폐쇄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교회들은 타문화권 선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there has been a major change in mission theology, recognizing God rather than the church as the subject of mission. During the 1980’s, the decline of the number of western missionaries became obvious. The church bought the fallacy that the church with abundant resources is the sole source to carry out world missions, which was due to high myopia in mission history. However, the beginning of the cross-cultural missions of English Particular Baptist Church points out the opposite was the case. A small and poor church with distorted and unbalanced theology that is under persecution and discrimination may participate in cross-cultural missions, if the church is renewed with sound faith and theology and work with neighboring churches in the missionary effort.

      • KCI등재

        퐁트넬과 ‘pourquoi non?’의 상상력

        허지영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0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3 No.-

        L’imagination fut considérée pendant longtemps comme une faculté inférieure à la perception dans la tradition intellectuelle occidentale : source d’erreurs ou d’illusions qui égare l’esprit humain contrairement à la raison qui le conduit à la vérité. Or, l’imagination chez Fontenelle, que nous pouvons nommer celle du ‘pourquoi non ?’, nous montre des aspects bien différents. Le mariage entre l’imagination littéraire et les sciences de l’époque est une particularité des Entretiens sur la pluralité des mondes. Le ‘philosophe’ souligne le ‘fondement réel’ et les ‘idées de physique’ qui servent à l’imagination dans les Entretiens. Cependant, cela ne signifie pas que l’imagination fontenellienne se limite aux bornes que les connaissances scientifiques permettent. Au contraire, non seulement celles-ci nourrissent l’imagination avec les nouveautés, mais aussi, ce qui paraissait extravagant s’avérant réel, l’imagination du ‘pourquoi non ?’ remet en question tout ce qui semblait absolu ou normal jusqu’alors. Elle invite aussi ‘la Marquise’ ainsi que les lecteurs à imaginer toujours d’autres possibilités, à pouvoir penser différemment, car “l’esprit juge vrai tout ce qu’il ne peut penser autrement.” Le philosophe ouvre ainsi à la Marquise et aux lecteurs “un assez grand champ à exercer [leur] imagination” et les Entretiens deviennent une ‘matrice’ avec ce ‘pourquoi non ?’ ayant “une vertu qui peuplera tout.” 서구의 지적 전통 속에서 상상력은 고대 그리스부터 대개 진리에 이르는 길을 방해하는 오류와 착각의 근원으로 여겨지거나, 참된 진리에 도달하기 힘든, 인식의 하위 단계로서 낮게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퐁트넬(Fontenelle)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상상력은 다른 면모를 보이는데, 우리는 그것을 ‘pourquoi non?’의 상상력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의 다수성에 관한 대화Entretiens sur la pluralité des mondes』에서는 특히 당시 과학의 새로운 발견들과 지식들이 문학적 상상력과 결합하며, 화자는 자신의 상상들이 근거 없는 ‘공상’과 달리 ‘실제’ 및 ‘자연학의 관념들’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것은 과학의 테두리로 상상력의 한계를 결정짓는 것이 아니다. 과학 지식들은 상상에 소재를 제공할 뿐 아니라, 터무니없이 보이던 것이 실제로 가능한 것들이었음이 드러날 때 그때까지 당연시되며 절대적으로 보였던 것들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가능성들을 상상하게 한다. “정신은 다르게 생각하지 못하는 모든 것을 진실로 판단한다.”는 퐁트넬의 말은 ‘다르게 상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보여준다. 후작 부인은 철학자와의 대화와 상상의 유희를 통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유할 수 있게 된다. ‘모든 것을 생겨나게 할 힘’을 가진 ‘pourquoi non?’의 상상력은 퐁트넬의 텍스트들을 닫힌 ‘작품(œuvre)’이 아니라 다양한 효과가 탄생할 수 있는 ‘모태(matrice)’가 되게 하며, 철학자는 후작 부인과 독자들에게 ‘상상력을 훈련할 장’을 연다.

      • 일반논문 : 정치제도 및 민주주의 모델이 의원의 대표성에 미치는 영향

        김욱 ( Wook Kim ) 한국선거학회 2014 선거연구 Vol.4 No.1

        의회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던, 그리고 의원들이 어떤 역할을 맡아서 수행하고 있던, 의원들의 가장 핵심적 존재 이유는 국민을 대표하는 것이다. 법률안을 심사하거나 확정하는 과정에서도, 정부 예산과 지출을 통제하는 과정에서도, 그리고 행정부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의원들은 국민의 대표로서 행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의원이 국민을 대표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가? 그리고 의원의 대표성은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이것이 이 글의 핵심 질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의원의 대표성을 세 가지 다른 시각과 개념 (소세계, 정당인, 주인-대리인)으로 구분하는데, 특히 이 세 가지 시각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기보다는 별도의 차원에 존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의원의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의회정치가 정치과정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의회 내적인 요인보다는 의회 외적인 요인, 즉 선거, 정당, 정부형태 등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제도적 요인들이 의원의 대표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는 앞에서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한국 국회의원의 대표성이 그동안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그리고 향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논의한다. Whatever functions legislatures perform, and whatever roles legislators play, the basic rationale for the existence of legislators is that they represent the people. When reviewing legislative bills, controlling government budget and spendings, and having oversight over the administrative branches, they are acting as the people``s representatives. Then, what does representing the people mean specifically? What are the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the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veness of legislators? These are the main questions that this paper raises. In this paper, we first distinguish three different concepts or perspectives on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microcosm, partisan, and principal-agent. Here we emphasize that the three are not necessarily competitive and incompatible, and that they exist in rather separate dimensions. Next, we identify factors affecting legislators`` representation. Viewing legislative politics as a part of the larger political process, we focus on those external factors outside the legislatures, such as elections, parties, and government forms. And then we discuss how these institutional factors and their combinations might affect legislators``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veness in each of the three dimensions mentioned before. Finally, we briefly review how Korean legislators``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veness have evolved throughout the years, and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ir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