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권업모범장의 설립과정과 역사적 성격

        김도형 ( Do Hyung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일제는 청일전쟁 이후 한국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지배를 강화하면서 한국의 미곡을 대량으로 반출하여 자국의 부족한 식량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의 쌀이 일본에 수출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첫째는 한국의 쌀이 일본에 수출될 정도 충분히 생산되지 못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미질이 일본시장에서 상품으로 거래되기에는 품질수준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의 쌀은 양과 질 양면에서 개량될 필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제는 `농사모범장` 설치를 준비해 갔고, 그 과정에서 한국정부 주도의 농사시험장 설립이 추진되었지만 이를 묵살하고 1906년 6월 일본정부 주도의 권업모범장을 경기도 수원에 창설하였던 것이다. 권업모범장 창설 이후 자신들의 외도가 달성되었다고 판단한 일제는 이것을 한국정부에 이양하였다. 일제는 권업모범장 설립으로 그들의 목적으로 한 쌀의 안정적 공급지로서 역할을 담당시키고자 하였고, 한국에서 쌀 생산증대를 통해 양질의 쌀을 일본에 공급하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전시기 동안 일제는 이 같은 농업정책의 기조 하에 농업기술 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Agricultural Technology Organization which focused on colonial agricultural as well as the supplying Japanese agricultural technical system to Korea within a Japanese imperialism framework. The Agricultural Technology Organization was a reorga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agricultural to a colonial agriculture system. Namely, this work addresses the various agricultural experiments under the Korean Government General.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Kwonup mobum jang(勸業模範場), later called the Central Agricultural Examination Station(農事試驗場). The beginning of colonial agriculture in Korea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Technology Station in Suwon, 1906 and the Province Field Seedling Organization in Ch`inju, Hamhung two years later. Both systems were later reorganized and expa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General. Until 1910 the aim of the Kwonup mobum jang had been to conduct a large scale propaganda campaign promoting Japanese farming techniques and to spread Japanese varieties of seeds. This organization`s main activities had been to set an example of agriculture rather than agricultural experimentation. After Japan annexed Korea in August 1910. This study reaches four conclusions regarding the experimentation and research of colonial Japan`s agrarian policies in Korea. First, the experimentation and improvements to Korean agricultural methods were determinated by the needs and demands of Japan`s population, not Korea`s demand. This is to be expected because Japan had political control over Korea. The colonial regime established and staffed the Agricultural Experiment Organization oversaw the introduction of farming techniques, seed varieties, and so forth. Second, the colonial regime imported Japanes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forced them upon Korean farmers. This ignored traditional Korean techniques which had evolved over centuries to accommodate local the soil and climate. Third, experimentation and study of agricultural techniques concentrated on the rice production. Under Japan, Korea`s agricultural production became a mono-culture based on rice. Furthermore, much of this rice was exported to Japan while the Korean population relied increasingly on other grains. Forth, the ultimate end to these policies was not Korean agricultural development, but increased food production for the Japanese population. To spread newly improved seeds that were studied in Japan, colonial bureaucrats invariably experimented on Korean lands through these technical organizations. Japan tested unproven seed varieties on Korea`s wide land, so the damage to the Korean peasantry is often ignored. Japan had experimented with varieties of rice on many farms without compensation to the participating farmers.

      • KCI등재

        수원 권업모범장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안국진,권준형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건축역사연구 Vol.27 No.5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Organizations[勸業模範場] in Suwon is Korea's first agricultural promotion facility. It was founded in 1906. This study aim to find the area and spatial composition of 勸業模範場.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it founded,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Organizations was operated centering on the main hall, and then since the pillage of national sovereignty in 1910, it was moved to the jurisdic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perated with the addition of the agricultural/forestry school. In 1913, the reductive egg production/distribution was moved from Yongsan branch to Suwon, and reductive egg producing site and female sericulture training office were installed in Suwon. It is supposed that at the time,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Organizations was divided into the main hall-centered area, the Suwon agricultural/forestry school at the south side, and the reductive egg producing site and female sericulture training office even more down south. Since 1920, the agricultural/forestry school came out of the jurisdiction of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Organizations, such that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Organizations was left with only the main hall-centered area and the area with the reductive egg producing site and female sericulture training office. In this study, these two areas are referred to as 'the main hall area' and 'the sericulture area'. 창립당시 권업모범장은 본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다가, 1910년 국권침탈로 조선총독부 관할로 이관되면서 농림학교가 부속되어 함께 운영되었다. 1913년부터 용산지장에서 담당하던 원잠종 제조·배부 사업이 수원에서 시행되면서 원잠종제조소와 여자잠업강습소가 수원에 설치되었다. 이 당시 권업모범장은 본관을 중심으로 한 영역과 남쪽의 수원농림학교 영역, 보다 남쪽의 원잠종제조소·여자잠업강습소 영역으로 구분되어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부터 농림학교가 권업모범장 관할에서 벗어나면서 권업모범장은 본관을 중심으로 한 영역과 원잠종제조소·여자잠업강습소 영역만 남게 되었다. 권업모범장의 영역 변화는 크게 3번에 걸쳐 나타난다. 1906년 창설 당시의 영역에 1908~1909년 사이의 서호, 여기산, 여기산 부근 전답이 더해지고, 1913년 원잠종제조소와 여자잠업강습소 영역이 더해졌다. 1918년에는 농림학교가 분리되어 영역이 감소되었다. 그 이후에도 서쪽 과수원 부지가 포함되고, 남쪽 부분으로도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권업모범장은 기능적으로 본관을 중심으로 한 영역과 잠업 관련 업무를 보는 영역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당히 이격된 두 영역 사이에는 1920년까지 권업모범장 관할이었던 수원농림학교가 위치하여 본래 농업·잠업 관련 사업을 위한 연속적인 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농림학교의 소관 이탈 이후에도 유사한 성격의 공간으로서 여전히 기능하였다. 본관 영역은 직원들이 업무를 보는 사무 구역, 직원들의 거처인 관사 구역,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구역, 농업 관련 업무를 보는 농업 구역, 과수 관련 업무를 보는 과수원 구역으로 크게 구분된다. 잠업 영역에서는 1913년 경부터 사업을 시작한 원잠종제조소부터 1917년 잠업시험소를 거쳐 1929년 농사시험장 잠사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잠업과 관련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원잠종제조소 남쪽에서는 여자잠업강습소가 운영되어 여성들을 대상으로 잠업을 장려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