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 경험 요인이 문화예술향유에 미치는 영향:미술 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이아영(Lee, Ah Young),김범수(Kim, Bumsoo)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58

        국민의 문화예술향유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예술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연구는 인구통계학적및 환경적 요인에 치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로 순수문화예술 영역 내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의 순수문화예술 향유 중 특히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에 6개년의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를 통해 수집된 총 56,58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다원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 간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년간 수집된 빅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개인의 문화예술경험이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전시회 관련 중기 정책의 수립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ople’s enjoyment of pure culture and arts, especially art exhibitions. We use 56,588 sample data from the “The Survey of Cultural Enjoyment”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rure, Sports and Tourism over the last 10 years and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Way ANOVA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s cultural experience on art exhibit visi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ven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s club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rt exhibition visits. We also identify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to art exhibitions was higher for groups who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ven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clubs. This study provides a first empirical analysis on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art exhibition visits in Korea and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in developing a comprehensive predictive model for cultural art visits. In addition, we giv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specifically, mid-term policies related to promoting art exhibition visits as an extension of individual’s engagement with pure culture and arts through big data analysis.

      • KCI등재

        광주시민의 문화향유를 위한 정책 방향 연구 ― ‘2022광주시민문화향유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정경운 ( Jeong Kyung-w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4

        본 연구는 2022년의 ‘광주시민문화향유 실태조사’를 토대로, 광주시의 시민문화향유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광주문화지표조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광주시민의 문화향유 방식의 변화를 읽어냈다. 더불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22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와의 비교를 통해서는, 광주의 지표가 가진 지역적 특성을 읽어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2022년 광주시민의 문화향유 변화 양상을 7가지로 도출했다. 수동적 ‘관람’보다는 적극적 참여 활동으로 이동, 동호회 활동의 상승, ‘SNS’를 통한 문화정보 습득의 강세, 무료관람 비율의 증가, 주말 낮시간의 문화활동 선호, 문화향유 주체로서 ‘5060세대’의 본격적 등장, ‘생활공예’의 급부상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화적 ‘관심도’에 따른 그룹별 특성(일반시민집단ㆍ문화관심집단), 시니어집단의 양분화에 따른 특성(뉴시니어ㆍ시니어), 문화향유방식 변화의 집단별ㆍ세대별 특성, 문화향유와 예술생태계 조성의 상관성 등을 고려해 광주시의 문화향유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cultural enjoyment policy of Gwangju City based on the 2022 ‘Gwangju Citizen Cultural Enjoyment Survey.’ To this end, the study observed the changes in the cultural enjoyment of Gwangju citize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Gwangju Cultural Index Survey’ conducted on a pilot basis in 2016.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wangju’s index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2022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that was conducted for all citizens. Through this, seven types of changes were derived with regard to Gwangju citizens’ cultural enjoyment in 2022: Transfer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participation, rise in club activities, strength in acquiring cultural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channels,’ increase in free admission rate, preference for daytime cultural activities on weekends, full-fledged emergence of the ‘50s and 60s’ generation as the subject of cultural enjoyment, rapid rise of ‘living craft.’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Gwangju City’s cultural enjoyment polic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ultural ‘interest’ (general citizen group/cultural interest grou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chotomy of the senior group (new senior/senior),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generation of changes in cultural enjoyment method, and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enjoyment and creation of art ecosystem.

      • KCI등재

        문화예술행사 참여의 변화, 2012-2019: 교육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나래 ( Narae Yun ),이윤석 ( Yun-suk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행사 유형별 참여 변화와 교육수준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분석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총 5회의 ‘국민여가활동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에서 2019년까지 문화예술행사의 참여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문화예술행사 참여에서 연도별 변화와 참여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문화예술 유형에 따라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2년에서 2019년까지의 시간변화가 문화예술행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교육과 연령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 결과 교육수준과 연령 차이에 따른 격차가 점차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cent change in experiences of cultural and art events by types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educational levels and age. Annually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of the Survey of Cultural Enjoyment from 2012 to 2019 were us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rates in cultural and art events rose gradually during the period. Second, annual changes in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participation 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the participants were impacted by the types of culture and art. Third, education and the age gap had moderator impacts on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 event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gap and ag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 events were gradually decreasing.

      • KCI등재

        문화복지의 쟁점과 문화의 복지적 역할 - 2022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를 중심으로 -

        전명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ulture in welfare from the perspective of welfare, focusing on 2022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abbreviated as 2022 Survey]. 2022 Survey shows that low-income group show more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works than cost, and that it is the high-income group that brings up the cost. The fact that low-income people have a high participation rate in cultural volunteering and clubs, showing their will and passion for culture and arts means that nostalgia for culture and arts is universal regardless of income. The welfare role of culture includes helping vulnerable group reflect on their lives, provide emotional comfort, discover hidden creativity, raise their intellectual level, and strengthen their sense of community integr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made it possible to supplement the weakening of welfare in cultural welfare and to rethink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22 Survey that expanded the cultural entertainment rate by income level.

      • KCI등재

        무용예술분야 관람현황 실태분석- 2020~2022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중심으로 -

        하지원,차수정 한국무용예술학회 2024 무용예술학연구 Vol.94 No.1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changes in the public’s viewing conditions in the dance artsusing SPSS 23 for data analysis, including chi-square tests and ANOVA. The aim is to determine if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variables over three years (2020, 2021, 2022). The findingssuggest the need to prioritize policies addressing viewing area and supplementation to enhancesatisfaction with viewing experiences in dance art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focus on overcomingobstacles for those who have not yet experienced dance arts, with the aim of fostering industrydevelopment and enhancing public enjoyment of dance arts in the future. In future analysis, it will benecessary to focus on expanding the subject of longitudinal research that analyzes changes in the degreeof influence between variables such as viewing status and satisfaction.

      • KCI등재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2020~2021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최유정,이윤석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rt learners outside formal education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using the "2020, 2021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Because few research on art education and training outside of school has been done, we need to look at art learners' points of view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direction and practice. We find that art learners were quite satisfied with their art learning experiences. Also we find that the "white collar" group of office workers, such as managers, profession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art learning experience. Ahead of the super-aged socie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 becoming more necessary in connection with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mprovement. For art education outside of effective formal education,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field and consumers in various aspects.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20년과 2021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해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학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학교 밖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상황으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미술교육 경험과 만족도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교육 방향 설정 및 실무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지난 1년간 미술교육에 참여한 답변자들은 자신의 미술교육 경험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답변자의 직업군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관리자 및 전문가 종사자, 사무 종사자와 같이 사무직 ‘화이트칼라’ 집단은 미술교육 경험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이나 연령, 학력, 혼인상태, 월평균 총 가구소득 등의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문화예술교육은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과 연계해 더욱 필요해지고 있으며,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또한 활성화될 전망이다. 이에 발맞춰 형식교육 밖 미술교육 현장과 수요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