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개방형수목원의 문화예술공연 현황연구

        양정현,손수연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9 No.-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ecology that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culture, nature and human beings have an important relationship and interact each other. An arboretum can be an alternative nature for human beings feeling fatigue 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at an arboretum provides psychological, emotional sense of security. As viewing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in such a natural environment is regarded as one of leisure activities, it increases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provides a sense of well-being, and plays a positive role in individual happiness. For this reasons, arboretums at home and abroad make humans’emotion and psychological stage healthy by providing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function of leisure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at national open arboretums after referring a case of ‘Forest Culture Performance’ by the Korea Forest Service. On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ecolog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concept and function of arboretums before conducting case studies on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by national open arboretums and to examine the abroad situations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through case studies on Royal Botanic Gardens, Kew, England and Singapore Botanic Garde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lear that popular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helped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to arboretums and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in arboretums could be a measurement of urban culture. ‘Forest Culture Performance’ by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been held in national open arboretums and recreational forests since 2017 and, however, they failed to meet the function of recreation and leisure aerobic activities required to arboretums because of the lack of promotion, variety of program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and etc. despite the high levels of viewers; satisfaction.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the Korea Forest Service,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in national open arboretums. The Korean Forest Service and organizations for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should make an effort to increase visitors who want to enjoy the performances in arboretums, providing various and attractive performances like the cases of abroad famous arboretum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where national open arboretums were located, and related companies should solve issues related to promotion through aggressive financial aid and support and select professional consignment management agencie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It is believed that aggressive promotion for ‘Forest Culture Performance’, various programs for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and a great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will help increase audiences for ‘Forest Culture Performance’and visitors to arboretums. The increase of visitors through such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would lead to the vitalization of arboretums and the vitalization of arboretums would play on positive roles in the function of leisure space and the 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ultimate goal known as the harmonious growth with human beings. In addition, it would help expand the value of national open arboretums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coexist together. 자연환경과 인류문화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문화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자연과 인간은 서로 중요한 관계를맺고 있으며 상호작용을 한다. 수목원은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는 인간에게 중요한 대체자연이 될수 있으며 수목원에서의 휴양 및 여가활동은 인간에게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 이러한 자연환경에서 문화예술공연을 관람하는 것은 여가활동의 한 방법으로서 인간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안녕감을 주며 개인의 행복에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수목원들은 문화예술공연을 제공하여 인간의 정서와 심리를 건강하게하고, 여가 공간으로서 기능을 향상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청의 ‘숲속문화공연’을 사례로 하여 국립개방형수목원의 문화예술공연 현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둔다. 국립개방형수목원의 문화예술공연 사례연구에 앞서문화생태학적 관점에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수목원의 개념과 기능을 알아보았으며 영국의 큐 왕립식물원,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식물원의 사례조사를 통해 수목원에서의 문화예술공연의 국외 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흡인력 있는 문화예술공연은 수목원의 방문객 증가에 도움을 주며 수목원에서의 문화예술공연이 도시문화의 척도가 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림청의 ‘숲속문화공연’은 2017년 시작 후 현재까지 국립개방형수목원과 휴양림 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관람객들의 높은 관람만족도에도 불구하고 홍보 부족,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문화예술공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문제로 수목원에 요구되는 휴양 및 여가선용에는 크게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듯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과 문화예술기관 및 운영기관들은 국립개방형수목원의 문화예술공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산림청과 문화예술공연 운영기관은 해외 유명 수목원들의 사례들처럼 다양하고흡인력 있는 공연을 기획하여, 공연을 보기 위해 수목원을 찾는 사람이 많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부와국립개방형수목원이 위치한 지방자체단체, 관련 기업들은 적극적 재정지원과 후원 등을 통해 홍보의 문제를 해결하고 수목원에서의 문화예술공연의 즁요성을 인식하여 전문성 있는 위탁운영기관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숲속문화공연’의 적극적 홍보와 문화예술공연 프로그램의 다양화, 문화예술공연 필요성에 대한 인식강화는 ‘숲속문화공연’의관람객과 수목원 방문객 증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문화예술공연을 통한 방문객의 증가는 수목원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며 수목원의 활성화는 국립수목원의 궁극적 목표인 인간과의 조화로운 성장을 통한 자연환경의 보존과 관리, 여가 선용 공간으로의 기능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국립개방형수목원의 가치확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국립수목원 관람 서비스 질이 방문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연진 동북아관광학회 2009 동북아관광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람 서비스 국립수목원 방문 서비스 질이 국립수목원의 방문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질 척도를 국립수목원 관람 환경에 맞게 개발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조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2005년에서 2007년까지 1,772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기술통계분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1) 요인분석의 결과로 5개의 방문 서비스 유형으로 확신성, 대응성, 유형성, 공감성, 신뢰성 유형을 추출하였고 2) 회귀분석을 통하여 서비스질은 1% 유의수준 내에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 확신성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감성에 비해 2.58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들은 국립수목원의 교육적 가치와 경관매력요소의 만족, 자원관리에 대한 만족이 전반적 방문만족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sitor service quality affecting visitor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this research selected and developed the indicators visitor's service (VS) and has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s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1,772 visitors in 2005~2007. I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1)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the five factors of visitor's service (FVSs) i.e., assurance, responsiveness, tangibles, empathy, reliability have been extracted. 2) in multiple regression, FVSs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one percent level, and 3)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assurance of VS on user's satisfaction has been determined to have respectively 2.58 times more importance than that of the empathy of V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value, satisfaction of scenery attraction, and satisfactory management of resourc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KNA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 KCI등재

        빅 데이터를 활용한 수목원·식물원의 화재어 분석

        신현탁,김상준,성정원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collects news information published by the press using big data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recent 109 years and explains the patterns of major keywords in the Arboretum and Botanical Gardens. The results can be used as resources to establish the future strategies of the Arboretum and Botanical Gardens. A total of 162,816 data were collected by seven date ranges(Ⅰ~Ⅶ) from 1910 to 2018. Among them, 28,411 valid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main keywords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such as ‘Changgyeongwon’, ‘Forest Service’, ‘The National Arboretum’, and ‘Program’were highly frequent. By date range, the frequency of ‘Changgyeongwon’, ‘Seoul Grand Park’, ‘Namsan Botanical Garden’, ‘Animal and Botanical Garden’, ‘Tropical Plant’, ‘Greenhouse’ was high in the Ⅰ∼Ⅳ period (1910 ~ 1989).‘Korea Forest Service’, ‘Ministry of Environment’, ‘Gwangneung Arboretum’, ‘Yeomiji Botanical Garden’ in the Ⅴ period (1990 ~ 1999), ‘The National Arboretum’, ‘The Garden of Morningcalm’, ‘Visitors’, and ‘Daegu Arboretum’ in the period VI (2000 ~ 2009), ‘programs’, ‘arboretums’, and ‘exhibitions’ are shown frequently. The keywords along with period reflected the change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nterests about Arboretum and Botanical garden. 본 연구는 최근 109년 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빅 데이터를 언론사에서 게제 된 뉴스 정보를 수집하여 수목원ㆍ식물원 주요 화재어의 패턴을 설명하고 미래의 수목원・식물원의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총 162,816건으로 1910년부터 2018년까지 7시기를 구분하여 수집되었으며, 그 중 유효한 데이터는 총 28,411건이 분석대상으로 선별되었다. 주요 수목원ㆍ식물원 화재어는 ‘창경원’, ‘산림청’, ‘국립수목원’, ‘프로그램’ 등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차별로는 제 Ⅰ∼Ⅳ시기(1910∼1989년) ‘창경원’, ‘서울대공원’, ‘남산식물원’, ‘동・식물원’, ‘열대식물’, ‘온실’ 등, 제 Ⅴ시기(1990∼1999년)는 ‘산림청’, ‘환경부’, ‘광릉수목원’, ‘여미지식물원’ 등, 제Ⅵ시기(2000∼2009년)는 주로 ‘국립수목원’, ‘아침고유수목원’, ‘관람객’, ‘대구수목원’ 등, 제 Ⅶ시기(2010∼2018년)는 ‘프로그램’, ‘수목원’, ‘전시회’ 등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수목원ㆍ식물원에 대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사회적ㆍ경제적ㆍ문화적 관심사가 어떻게 변모하였는지 파악 할 수 있었다.

      • 국립수목원 곤충연구 추진경과 및 장기계획(안)

        임종옥,김일권,오승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999년 5월 24일 임업연구원(현 국립산림과학원) 중부임업시험장으로부터 독립하여 신설된 국내 최고의 산림생물종 연구기관으로 산림생물과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수 목원이 위치한 광릉숲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4,465 ha의 좁은 면적이지만 국내 기록된 곤충 종(14,188종, 2010년)의 약 28%인 3,977종이 보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 제218호이 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장수하늘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종과 국내 미기록 곤충이 발견된 곤충 종 다양성의 보고라고 할 수 있겠다. 국립수목원 개원 이래 곤충연구 분야에서 수행되었던 연구 과제와 성과를 뒤돌아봄으로 써 산림곤충의 종 다양성, 산림의 공익적 가치, 산림복지와 국민들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산림곤충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수립, 논의하고 국내 곤충 전문가들로의 연구과제 수요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 국립수목원 산림곤충 표본 수집 현황과 지속적 수집의 필요성

        변봉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생물표본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 종들이 존재하였던 시간과 장소에 대한 영구적인 기록으로 분류학의 기본적인 연구 재료일 뿐만 아니라, 생물을 재료로 하는 생물자원 사업의 증거자료로써 매우 중요하다. 2010년 ‘나고야 의정서’채택으로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간 경쟁이 더욱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각국은 생물자원 주권 증명을 위해 생물종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정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과 비교하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표본확보 및 기확보 표본에 대한 정확한 정보구축이 필요하며, 이들의 이용도 및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내 보유중인 약 40여만건의 곤충표본에 대한 분류군별, 지역별, Diva-GIS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포도 작성으로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표본확보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내 소장된 표본 466,470점의 분포정보 분석. 표본 정보 수정 및 재입력 과정, 정확한 좌표정보 및 채집지가 기록된 374,331건 선발하여 분포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본의 수집지역과 미수집지역을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목별로 채집종수를 파악하여 향후 추가로 확보가 필요한 분류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기반으로 국립수목 원 장기적인 표본수집 방향과 연구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Survey on the diversity of visiting and pollinating insects in major gardens at Sejong national arboretum

        Hojin Jeon,Keum Seon Jeong,Jongok Lim 한국응용곤충학회 202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4 No.04

        현재 기후변화 및 산업화 등으로 생물다양성 감소,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지속가능한 미래설 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 도시숲인 국립세종수목원에 조성된 총 16개 전시원을 대상으로 총 6차례에 걸쳐 방문곤충과 화분매개곤충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별 분석결과로 2차(‘23.7.31) 조사 시기에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총 80종), 전시원별 분석결과 숲정원에서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총 59종). 또한 주요 식물 6종(배롱나무, 나무수국, 무궁화, 좀개미취, 범부채, 부처 꽃)에 7~10월 기간 중 양봉꿀벌, 애황나나니, 호박벌, 네발나비, 호랑나비, 흰점박이꽃무지, 호리꽃등에, 배짧은 꽃등에가 화분매개 행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2023년 국립세종수목원 전시원 내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다양성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곤충의 보전 필요성, 도시숲 내 체계적인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조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국립 생태원을 중심으로 하는 수목원 단지설계 전략 연구

        박훈(Park, Hun)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

        Arboretums started from a very practical dimension to cultivate decorative and edible plants as well as medicinal plants. But lately, with the plants displayed there, academic research is conducted, and also they play roles as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education or enlightenment. Arboretums in Korea began to be formed genuinely after the mid-1980’s, and this i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about natural environment. This paper conduct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lso analysis on the plans and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overseas arboretums and draws implications in order to propose design plans for them. With the arboretums started to be formed in the early 1900’s in Korea, today various types of public, national, and private arboretums have come to be located nationwide. Due to the characteristics each has such as the location and facilities, they tend to be specialized; however, overseas arboretums st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in terms of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and also their roles. Thereupon, with the design of Ecoplex, this study proposes an arboretum model that is faithful to their original purpose and represents their future value.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written below: First, botanical gardens regarding research, education, rest and convenience, cultivation, or management are mostly characterized by various types of arrangement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domestic and overseas major arboretums’ arrangement characteristics, they tend to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each one’s locational characteristics. Second, as specialization strategies for botanical garden planning, they plan greenhouses or major observation facilities as their specialized facilities, and this is being actively examined as a strategy to overcome demerits they might have for the climatic influence. Third, regarding arboretum planning, it is needed to have specialized exterior space planning for the complex. And organic human traffic planning harmonized with topography, research facilities, and the zoning plan differentiated from exhibition or educational facilities also influence users’ human traffic. Fourth, in the planning of chief facilities built in the arboretums, specialization strategies from the aspects of forms to use nature as their motif or aggressive induction of eco-friendly systems is expected to have characteristics to strengthen the arboretums’ environmentality.

      • 조봉의 나비목 곤충상

        박신영,임종수,김경미,이봉우,이유미,조동광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수행 중인 우리나라 자생 산림생물에 대한 분포조사 를 통해 특정종별 보전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봉은 해발 1,182m로 강원도 양양군 서면과 현북면에 위치하며 미천골자연휴양 림과 인접하여 있다. 식생은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이며, 지형적으로 계곡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곤충분포상 등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 역 중 하나이다. 금번조사는 2009년 4월부터 9월까지 5회에 걸쳐 주간채집 및 야간조사를 병행 하여 실시하였으며, 산림지역에 우점분류군 중 하나인 나비목 곤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30과 258종 715개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6월에 117종 249개체가 7월에 122종 254개체 등으로 조사되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분류군별로는 밤나방상과(Noctuoidea)가 3 과 57종으로 가장 많은 종들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명나방상과(Pyraloidea) 가 3과 53종으로 나타나 종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조사 된 분포상 정보는 산림생물종의 보존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와 향후 기후변화 등에 의한 밀도변동 추이의 경향 파악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백석봉의 나비목 곤충상

        변봉규,박신영,임종수,김경미,조동광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수행 중인 우리나라 자생 산림생물에 대한 분포조사를 통해 특정종별 보전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백석봉은 해발 1,170m로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에 가리왕산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강으로 흘러가는 오대천이 있다. 현재까지 인근 가리왕산 등 주요 산림지역은 생물상 조사가 이루어져 있으나 백석봉의 경우 정확한 곤충분포상 등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식생으로는 대부분이 신갈나무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능선부에는 소나무림이, 서남향 사면부에는 신갈나무-소나무 혼효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등산로 외에는 접근할 수가 없을 만큼 지형이 매우 험준하다. 해발 600m 이하에 소규모 조림지와 경작지가 분포하고 있다. 금번조사는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4회에 걸쳐 주간채짐 및 야간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산림지역에 우점분류군 중 하나인 나비목 곤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30과 267종 1,066개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5월에 122종 496개체가 6월에 157종 468개체 등으로 조사되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분류군별로는 자나방상과(Geometroidea)가 2과 95종으로 가장 많은 종들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밤나방상과(Noctuoidea) 가 3과 91종으로 나타나 종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조사된 분포상 정보는 산림생물종의 보존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와 향후 기후변화 등에 의한 밀도변동 추이의 경향 파악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