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곽은주,정지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cours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point of view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to identify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PA analysis and Borich analysis to identify needs, were conducted on the response results of 1,454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ole and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general education plays a role in enhancing interest among students in subjects other than those of their major, nurturing human beings with character, and promo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in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univers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 instrumental rol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a supplement to major education. Second, students' needs for the domain of general education were high in those practical domain fiel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like career exploration and certification courses, and the associated domains for employment, like foreign languages and IT utilization fiel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was a high demand for subject development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the expansion of student choice through the opening of various subjects, and appropriate class difficulty.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field.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oper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expanding the range of student selection through the opening of subjects in various areas, opening subjects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using appropriate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instructors'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sider the convenience and learning expectations first when choosing liberal arts subjects. Among the convenience factors, priority is given to classes that require no team projects, and subjects with little or no assignments a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learning expectations, subjects of interest and interesting subject names are given prior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the college itself.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A 사립대학 재학생 1,454명의 설문 응답 결과에 대해 기초통계 분석, 학생 특성별 특징 확인을 위한 차이 분석, 요구도 파악을 위한 IPA 분석과 Borich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역할과 의미와 관련해 학생들은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 외 다른 분야에 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인격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며, 전공과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 응답의 결과는 성별과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보편적 지성 교육이라는 교양교육의 본령과 전공교육의 보완이라는 교양교육의 도구적 역할에 대한인식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 교양교육의 영역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한 결과, 교양교육 영역의 경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교양교육 고유 영역보다 취업과 직접 관련된 실용 분야, 외국어나 IT 활용 영역과 같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와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과 개발, 다양한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적절한 수업 난이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만족도는 성별, 학년, 계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여학생, 1학년, 미래융합대학 학생들의 교양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양교육 운영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시대적 변화 및 최신 경향을 반영한교과 개설, 적절한 교재와 학습자료의 사용,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확보 등이 교양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과 선택 시 학생들은 편의성과 학습 기대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중에서도 팀 프로젝트가 없고 과제가 없거나 적은 과목을 선호하며, 학습 기대는 평소 관심 있는 주제와 흥미로운 교과목명을 우선 고려한다. 교과 선택의 경향성에도 성별, 학년, 단과대학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그리고 수업운영의 관점에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 KCI등재

        ‘교양적 소양(Cultivated Literacy)을 기르기 위한 수학적 추론’ 교과목 개발 에 대한 연구

        황인아(Hwang, InAh),김인경(Kim, InK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이 변화의 시대를 살아갈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교양적기본 소양을 기를 수 있는 수학 관련 교양과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공과대학이나 자연과학대학의 학생들이 주로 수강하는 기초교양수학 과목보다는 모든 단과대학 학생들이 수학적 소양을갖추기 위해 수강할 수 있는 순수교양수학 과목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OECD와 WEF에서 제시한 미래 세대가 갖추어야 할 역량, 여러 기관(미래창조과학부, KISTEO, KAIST)에서 제시한 핵심역량, 단국대학교의 2023년 교양교육과정 개편안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등을 살펴보고 핵심역량을 추출하였다. 이 교과목의 핵심역량은 자기주도, 의사소통, 문제해결, 전문지식, 협력·헌신으로 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논리학, 탐색적 자료 분석, 데이터 분석과문제해결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수리추론 교과목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교과목은 ‘교양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수학적 추론’으로써, 3학점, 15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수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수학내적, 수학외적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추론에 관한 내용으로, 수리추론, 그래프 이론, 자료해석, 암호와 수학을 장제목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교과목을 위한 교재 개발과강좌운영 후 수정·보완할 것임을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iberal arts subjects related to mathematics in the hopes of cultivating basic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who will be living and learn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akes place. Above all, this study wanted to develop a pure liberal arts subject that all college students can take to acquire mathematical literacy, rather than having them take the basic liberal arts program, which is the one usually taken by students from engineering or natural science colleges,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OECD and the WEF that future generations should possess, the core competencies suggested by various institutions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ISTEO, KAIST), and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Dankook University s 2023 liberal arts curriculum reform plan. After our investigation, we extracted the core competencies, whereupon we set the competencies for our course as follows: self-direction,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expert knowledge, and cooperation and commitment. Based on this, we developed a mathematical reasoning course that includes contents regarding logic, exploratory data analysis, data analysis, and problem solving. This course is ‘Mathematical Reasoning for Cultivated Literacy’ and consists of 3 credits and 15 lessons. We set the titles of each chapter (including mathematical reasoning, graph theory, data analysis, cryptography and mathematics) as the particular branch of reasoning that requires mathematical thinking, which may also be applied in internal and external mathematical situations. Also, we announced that we will develop textbooks for this subject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se books after running the course.

      • KCI등재

        토마스 만의 교양소설 마의 산에서 시도된 팀티칭 교양교육 방법론과 융합 교양인상 연구

        홍순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Thomas Mann’s Magic Mountain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famous german Bildlungsromans. It is still controversial definitely to say that Magic Mountain is typical of Bildungsroman through the tradition of not only german literature in general, but also of german novel in particular. Typical or not, Magic Mountain is to be classified as Bildungroman anyway. In Magic Mountain are four types of educator invited to the sanitarium by Thomas Mann. They are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Hans Carstorp, our ordinary 23-year-old young man as homo viator. They are also the representatives of homo-humanus, homo-scholasticus, homo-romanticus, and Homo-Dei. Our hero, a marine engineer in the foreseeable future, is at first between Septembrini as homo-humanus and Napta as homo-scholasticus, and then between Septembrini and Chauschat as homo romanticus, at last between Chauschat and Peperkorn as Homo-Dei.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 by team-teaching of four teachers Castorp comes to overcome the duality like water and oil, to keep the sense of balance in the middle of two poles, and to make a positive use of duality for coexistence of the opposite. Finally our Castorp as the integrated hero makes an important decision to engage in the World War, even on his own initiative. His self-directed decision to join war is the most important effectiveness of ‘Bildung’ in the Magic Mount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lso 1. to provide a model of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in the Magic Mountain by Thomas Mann and could be applicable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2. to make an image of cultured young man who was educated by four different teachers in the Magic Mountain and could be integrated enough to go his own way, 3. to give some examples of capabilities which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Magic Mountain and could be a guideline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at education.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은 가장 유명한 독일 교양소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물론 독일 문학과 독일 소설의 역사에서 마의 산이 전형적인 독일 교양소설에 속한다고 할 경우 이론의 여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마의 산은 독일 교양소설로 분류될 수 있다. 토마스 만은 우리의 주인공 한스 카스토르프의 마의 산 교양교육을 위해 네 가지 유형의 교육자, 즉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쇼샤, 그리고 페퍼코른을 마의 산에 위치한 폐결핵 요양원으로 초대해서 카스토르프에게 팀티칭을 하게한다. 이들은 각각 homo-humanus, homo-scholasticus, homo romanticus, 그리고 Homo-Dei의 대변자로서 카스토르프와 교육자와 피교육자 관계를 형성한다. 우리의 영웅 카스토르프는 처음에는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사이에서, 그리고는 세템브리니와 쇼샤 사이에서, 그리고 마지막에는 쇼사와 페퍼코는 사이에서 팀티칭 교양교육을 받는다. 네 명의 교사들로부터 교양교육을 받은 후 공학도인 카스토르프는 인문주의적인 소양을 갖추고 상극적인 이원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그리고 대립적인 이원성의 양 극단을 오가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마침내 상극적인 것을 상생과 공생을 위한 긍정적인 요소로 활용한다. 결국 우리의 카스토르프는 융합적인 교양인으로서, 그리고 영웅으로서 자발적으로 참전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자기 주도적인 참전 결정이 마의 산 교양교육의 가장 중요한 교육 효과에 해당하고 작금의 대한민국 대학 교양교육을 통해 양성하고자 하는 교양인의 가장 중요한 역량 내지 덕목 중 하나에 해당한다.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토마스 만이 마의 산에서 도입한 팀티칭 교양교육의 방법론을 소개하는 것인데, 이 방법론은 팀티칭 교양교육이 활성화되지 않은 대한민국 교양교육의 현장에서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마의 산에서 팀티칭 교양교육을 받은 융합적인 교양인상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융합 교양인에게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량은 자기주도적인 결정 능력이다. 셋째 이 논문의 목적은 마의 산 교양교육을 통해 강화된 교양인의 역량을 발굴해서 제시하는 것인데, 이러한 역량들은 현재 대한민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교육의 목표 및 효과를 점검하는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유교양으로서의 회계학 ― 초창기 미국대학의 교양회계 도입을 중심으로

        임영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during the beginning period of introduction of accounting in an American Colleges.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tial methodology of accounting in the liberal arts differently from accounting in the major course.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through the cases of liberal accounting in American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arts accounting in American Colleges was introduced by the social demand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Second, the liberal arts accounting in American Colleges is applied as a mastery tool for economic study with emphasis of teachers who understand economics and accounting textbooks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ird, the liberal arts accounting in Korean universities simply introduces and summarizes the contents of accounting major courses without substantial settlement. Fourth,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accounting in our country through cases of American Colleges should be restructured for cultural purposes and teachers and textbooks should also be focused on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본 연구는 초창기 미국대학에서 회계학이 도입되던 과정에서의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회계학이 교양과정으로서 도입되는 상황에서 전공과정으로서의 회계학과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방법론에 대하여 자세하게 검토하였다. 끝으로 미국에서의 교양회계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측면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대학에서의 교양회계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에 걸쳐 산업화에 따른 사회적인 요구에 의하여 도입되었다. 둘째, 미국대학에서의 교양회계는 경제 공부를 위한 숙달도구로서 활용되었으며 경제학을 이해하는 교사와 교양목적의 위한 회계학교재가 강조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회계는 회계전공과정을 소개하고 요약하고 있어 실질적인 정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넷째, 미국대학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교양회계의 교육과정은 교양목적에 맞게 재구성되어야 하며 교사와 교재 역시 교양목적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 KCI등재

        횡단적,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교양학 정립을 위한 역사적 접근 : 교양의 학문적 정체성 수립을 위한 가능성과 조건 탐구

        정연재(Jeong, Yeonj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학문적 반성을 통해 학문으로서의 교양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학문적 반성은 학문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조건과 대상은 무엇인지, 학문 탐구의 방법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 지, 학문탐구를 수행하는 자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정교하게 묻는 작업이다. ‘교양교육’이라는 단어 대신 ‘교양학’이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는 바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지니는 학문분류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서다. 교양교육은 기초학문의 성과를 아우르는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사회과학 분야의 최하위 영역에 위치한 것이 현실이다. ‘교육’이라는 용어가 사회과학 가운데 교육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게 만든 주된 요인일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교육과 연구를 포괄하는 교양학이라는 명칭은 교양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실험적 시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양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을 점검하면서, 교양학의 정의와 기능을 탐색한다. 서양 학문의 형성과정에서 교양은 철학, 인문학과 통합, 대립, 갈등의 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교양학의 정체성과 기능을 밝히는 과정에서 철학, 인문학과의 관계 해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학문의 분화과정 속에서 나타난 철학의 정체성 위기를 추적하면서 ‘철학’과의 유비에서 메타학문으로서의 교양학의 성립가능성을 점검한다. 나아가 고전 인문학의 ‘전인적인 인간 육성’의 기능을 왜 교양학이 떠맡아야 하는지 그 배경과 이유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념형으로서의 교양학의 모습을 가늠해보면서 교양의 영역에서 가르치고 탐구하는 자로서 어떤 자세를 갖추어야 할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교양학은 경험과학이 제공한 학문적 성과를 다시 학문적 대상으로 삼아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제공하고, 학문세계와 생활세계의 연결을 통해 실천적 학문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liberal arts as science through academic reflection on liberal arts education. Academic reflection is a work that closely investigates conditions and targets that can be established as a discipline, the methods of academic research, and the attitude of the investigator who conducts research. The reason for using the word “liberal arts and sciences” instead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inherent limitation of the word “education” in academic classification can be overcome. The re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ocial science field despite its nature of encompassing the achievements of fundamental studies. This must be the main reason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erm “education” as a sub-field of pedagogy among the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e name “liberal arts and sciences(LAS),” which includes education and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and it investigate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LAS. Considering that liberal arts were developed in a relationship of integration, opposition, and conflict with philosophy and humaniti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Western 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will focus o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with philosophy and humanities in determining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LAS. First, the present study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LAS as a meta-science in analogy with philosophy while tracing the identity crisis of philosophy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academic differentiation. Moreover,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LAS to assume the function of the “cultivation of the whole man” of the classical humanities will be derived. Lastly, this study will examine attitudes among people who teach and conduct research in the field of humanities while judging the appearance of LAS as an ideal type. Through this, it will be emphasized that LAS should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by us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empirical sciences as academic targets again, and play the role of the practical science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ademic world and life-world.

      • KCI등재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rough the case of D-college for how to develop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colleges. Since 2014, many colleg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NCS-based curriculum. However, although NCS-based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t also resulted in the weak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ose colleges. Fo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short lectures and a major-oriented education system. At a time when the curriculum of college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one, it is very urgent to chang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at D-college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ut the development process at each stage focused on capacity centers. This article looked at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nalysis-Design -Development’ phase. In the analysis pha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capacity,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while the core competency of the colleges in question was checked. In the design phas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as were set. In the development phas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derived and a curriculum profile was developed. As a result, D-college has been able to derive a variety of competency-based subjects, with several tasks remaining for the education to operate effectively. I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Liberal Arts and math are secured,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D대학의 사례를 통해 하나의모형을 제시하는 글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경우 짧은 수업연한, 전공 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 교양교육의 중요성에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문대학은 지난 2014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왔다. NCS기반 교육은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교양교육을 약화시키는 결과를초래하기도 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금 전문대학 교양교육의변화는 매우 절실하다. D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각 단계에 따른 개발 과정은역량 중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양교육을 둘러싼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와 학생들 대상으로 수요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의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행동지표를 점검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목표 및 교양교육정책을 수립하였다. 교양교육목표는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으며, 교양교육정책은 직업기초능력 및 기초학습능력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또한 교양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을반영한 교양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교과목 도출시 수요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최종 교과목 도출 후 역량 중심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D대학은 교양교육영역별로 다양한 역량기반 교과목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와 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양교육 전담기구와 인력, 교양이수학점 등이 확보된다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화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서 핵심역량을 어떻게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며, 환류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 시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교양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역 량 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단 순히 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 기능적 관점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학생의 고른 성장을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환경적인 인프라를 총체적으로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운영하는 목 적은 학생의 측면에서는 강의실에서 배우는 것과 실제 수행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 써 실행력을 함양하도록 돕고, 조직의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성과를 기반으로 정책을 세울 뿐 아니라 정책 적용의 결과로 실제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는 교양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교양교육대 학의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의 구성 비율을 설정한 후, 교과목별로 주요 핵심역 량을 매치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에는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분 석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환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양교육 방법과 교수 모 형의 보급, 신뢰로운 평가 도구의 개발,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해 내용 중심이 아니 라 목표와 방법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lternatives for how to reflect core competencies in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alyze the effects,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es on how to set and measure core competenci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Introduc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not simply as a social and functional point of view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but from the aspect of overall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o help students grow even.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ctual performance from personal perspectives, and not only to establish policies but also to support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s organizational perspectives. In order to actually operate a competency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effectively, there have to be defined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et the ratio of the core competencies that meet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elected the core competencies matching the subjects. After the curriculum operation, there should be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s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returned the results through curriculum improvement. In order for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operate effective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models and reliable evaluation tools not centered on contents but focused on goals and methods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교양 키워드 읽기’를 활용한 《독서와 토론》의 수업내용 연구-대구대학교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강좌를 중심으로

        변상출,박규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is study has two aims. The one is to rethink of effectiveness for ‘Reading and Discussion’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Reading and Discussion’, one of the curriculums for the common cultural subjects in Daegu Uni. The another is to seek for a new effective way ‘how to read and discuss’. It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pecial problems in Daegu Uni. and general problems in another Universities in Korea. Reading is a precondition for writing and discussing. To strengthen the reading education, a lot of authorized books are recommended, rea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roduced and curriculum subjects for reading books are opened in the most of the universities. Even though read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Reading and Discussion’ curriculum in Daegu Uni., the institutional inertia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could not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ommon cultural subjects. ‘Reading and Discussion’ has been only another way of ‘writing’ curriculums. Reconsidering several problems caused from reading education which has just read data and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topics, we should find out a new way to teach ‘Reading and Discussion’ to solve such problems. So we introduce the new way as not thematic reading but cultural key word reading. The curriculum, ‘Reading and Discussion’ aims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mmon sense about the world and create new ideas. To make this aim more or less easily achieved, we suggest ‘Reading Cultural Key Words’ which is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enhancement for refinement of modern society's key issues. The curriculum’s content is to teach cultural key words by means of crossover. For example, liberal art courses’ deficiencies are filled with art, music,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Also fine arts,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lacks are substituted with liberal arts, fine arts and physical courses. First of all, the specific suggestion for teaching contents is to develop 30 cultural key words. Second, every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in English. It is considered that English is a world-wide used language. Third, a book with 30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by virtue of the experts’ help in each course such as literature, linguistics, history, philosophy, fine arts and engineering. Lastly, based on the book and the contents, the teaching process will be done through reading, discussing and presenting. 본 논문에서는 대구대학교의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을 사례로 하여 ‘공통교양’으로서의 《독서와 토론》과목의 효율성 문제를 강의 경험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공통교양’이라는 기본 교양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성취할 수 있는 수업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는 대구대학교에서 나타난 ‘특수성’ 문제가 전국대학의 ‘보편성’ 문제와 별개 것이 아니라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글 읽기는 글쓰기와 토론의 전제 조건이다. 권장도서를 추천하고,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거나, 고전 읽기를 정식 강좌로 개설하여 독서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전국대학은 독서를 통해 교양 교육과 인문학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대학교는 《독서와 토론》강좌를 통해 독서교육을 하였으나, 통합적 ‘교수학습’의 장치 미비로 ‘공통교양’의 기본 목표를 성취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동안 《독서와 토론》강좌를 《글쓰기》 강좌의 한 방편으로서 자료 읽기 수준과 주제별 독서로 짧은 글감 읽기 수준의 독서교육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재고하고 ‘주제별 독서’에서 ‘교양 키워드 읽기’로 새로운 《독서와 토론》강좌의 수업 내용을 제안했다. 《독서와 토론》강좌는 주체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며, 자신이 속한 시공간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타인과 사회와 소통을 위해 지식에 접근하는 태도와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텍스트의 이해 기준이면서 현대 사회 담론의 핵심적 내용으로 교양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교양 키워드 읽기(Reading Cultural Keywords)’를 제안했다. 수업 내용은 문·사·철의 결핍된 부분을 예체능 계열과 공학 계열에서 채우고, 예체능과 공학 계열에서 결핍된 부분을 인문학 및 예체능 계열에서 채울 수 있는 교차방식의 교양 키워드를 수업내용으로 한다. 수업내용을 위해 구체적 제안은 첫째, 30개의 교양 키워드를 개발한다. 둘째, 각 분야(문학, 사학, 철학, 언어학 및 예체능과 공학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교양 키워드의 자문을 구해 30개의 교양 키워드로 채워진 책을 엮는다. 그리고 이러한 수업 내용의 기본 방향으로 《교양 키워드 읽기 및 토론》수업의 15주를 기준으로 수업 내용의 예시를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