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 개발과 타당화: 기독교인 성인을 대상으로

        오태균,권재기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sub-domain that explains the sense of the faith community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ith community sense. The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is equally measurable as a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The Delphi survey of the third phase resulted in 128 questions, and the last 60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test tool. The domain of faith community sense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relational factor, conscious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ur compon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good model for the faith community sense than other alternative structural mode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odel wa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faith.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gender and age groups can use the tools of sense test of faith community verified by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 identity, the measurement identity, the segment identity, the partial dispersion / covariance identity, and the similarity are verifi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developing a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system of sense test for the Christian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which was not established in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community sense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help the Christian adults to confirm their current spirit level and strengthen the sense of necessary communit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of sense of faith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accumulation of test results. 본 연구는 현대 기독교인의 지역 교회내에서 신앙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30대 이상의 남녀 성인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12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최종 60개 문항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신앙공동체의식의 영역은 관계적 요인, 의식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정서충족적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구분된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검증 결과에서는 신앙공동체의식 검사가 다른 대안적 구조모형보다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나 이 모형이 신앙공동체의식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성별과 연령별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동동성을 검증한 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부분 분산/공분산동일성이 확보되어 구인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30대 이상의 기독교 성인남녀 모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한 의의로는 첫째, 이 검사 도구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립되지 못했던 신앙공동체의식을 독립적인 평가 영역으로 확립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초로 성도들이 현재 자신의 신앙공동체의식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신앙공동체의식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둘째, 주기적인 기독교인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지속적인 누적을 통해 교인들의 신앙공동체의식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연향에 관한 연구: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문수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며, 이들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에서 조사대상자 2,378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2,090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첫째, 청소년의 건강수준, 교육수준(부)·(모)에 따라 공동체 의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 건강수준, 교육수준(부)·(모), 형제자매 수에 따라 또래애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건강수준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으로 청소년을 위한 공동체 의식교육 강화, 또래애착 함양을 위한 전략, 또래를 통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th's community awareness affects the multicultural cultural acceptance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between variable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2,090 persons tha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The findings show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 youth;s community awareness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father, mother) and health status of youth. Second, youth's mediating effect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father, mother), health status of youth and sex. Third, cultural acceptance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health status of youth. Finally, peer attachment of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relationship between youth's community awareness and multi 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se findings, enhanced sense of community education for youth, strategies for fostering peer attachment, activation through peer mentoring program are suggested as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multi cultural acceptance of youth.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meanings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young people.

      • 중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이철승(Lee Cheol-Seung)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중국의 사상계는 1990년대에 조성된 ‘중국학열’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한 ‘유학열’이 확대되는 가운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유가윤리를 토대로 하는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신자유주의의 이념이 드러내는 문제를 지적하는 면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지만, 신자유주의의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안이 되기에 제한적이다. 즉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는 그 자체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첫째, 본래적으로 순수하게 선한 선험적 도덕성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사회에 투영시키고자 하는 이 논의가 특정 지역의 이익문제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리적인 정합성의 문제가 나타난다. 둘째, 이 논의는 동아시아 각국들 사이와 동아시아 각국의 내부에 상존하고 있는 다양한 사상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온갖 갈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이 결여되어 있다. 셋째, 이 논의는 그것을 추구하는 동아시아 각국 사람들의 자민족중심주의가 빚어내는 문화패권주의적인 경향으로 흐를 개연성이 있다. 넷째, 이 논의는 이른바 동아시아문명과 서구문명에 대해 경직된 자세로 접근함으로써 지구촌 내의 다양한 문명이 상호 교류하여 새롭게 형성한 공통의 공속의식과 유기적으로 조응하는 면에 제한적이다. 이 글은 기존의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를 분석함과 아울러 그 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Confucianism Boom of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 and then present a necessity of a new way to discuss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Confucianism Boom’ as the center of ‘Chinese Studies Boom’ which started in the 1990s has increased its influence, and, in the early 21st century, some scholars get down to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e Confucian Ethics. Such discussion can be regarded as significant in that it successfully challenges the ideological problems of the neoliberal. However, it is too limited to make a comprehensive alternative for the neoliberal. Namely,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contains the following problems in it. Firstly, there is a problem of logical suitability, which questions how the discussion intending to reflect the pure good a priori morality to the dynamically changing society can be organically linked with the interest of a specific region. Secondly, the discussion lacks concret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 stemming from the differences in thoughts and value systems among th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even those in each country. Thirdly, the discussion is likely to develop into the cultural hegemonism caused by the self-culture centralism of the people in the East Asian countries. Lastly, the discussion deals with the civilizations of the East Asia and the West in such a strict attitude that it may prevent the diverse cultures in the global world from organically corresponding with common consciousness developed by the mutual exchanges among the countries.

      • KCI등재

        청소년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설계 방향 연구

        김진숙,김경화,강선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심리사회적인 요인을 탐색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은 시민의식, 참여의식, 협동의식, 배려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으로는 3가지의 심리적 요인(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인 요인으로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요인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K지역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이며, 회수된 225명의 설문지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은 대체로 중간 수준이며, 공동체 의식 중 시민의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검증한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변인만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변인 간의 높은 연관성이 나타난 것을 토대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방안으로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공동체 의식 향상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첫째, 부모의 자기이해를 통한 심리적 역량 강화, 둘째, 부모의 자녀이해를 통한 수용과 지지 역량 강화, 셋째, 자녀와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모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제시하였다.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공동체의식 향상 프로그램은 청소년기의 자녀들이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방안으로 사료되지만, 아직까지 이와 같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모대상의 공동체 의식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주요 주제는 향후의 개발 작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대동,오경희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교육사회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심각한 교육문제 및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에 주목하여 그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을 강구하고자 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학교폭력의 학교 내 관련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주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산시 초등학교 27개교에 재학하는 4, 5, 6학년을 대상으로 4,525명을 표집하여 이들에게 공동체적 수업실천, 공동체의식, 학교폭력 자제행동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동체적 수업실천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교폭력에 주는 영향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고, 그것을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공동체적 수업실천은 공동체의식에 뚜렷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은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뚜렷한 영향을 주었으며 공동체적 수업실천의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대한 영향의 대부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들의 공동체적 수업실천, 공동체의식, 학교폭력 자제행동 수준은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바람직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6학년은 4학년에 비해서 공동체적 수업실천, 공동체의식, 학교폭력 자제행동의 수준에 있어서 다소 낮았으며, 세 변인 간의 인과적 영향 정도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을 설명하는 양은 4학년에 비해 6학년이 약간 적었다. 끝으로, 공동체적 수업실천, 공동체의식, 학교폭력 자제행동의 수준에 있어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다소 더 높았으며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에 주는 영향도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약간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그에 따른 공동체의식을 높일 것과 특히 이것을 초등학교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여학생보다는 남학생들에게 더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ttempting to find out valuabl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reducing school violence this study tested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4,525 elementary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this study employ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wo unobserve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observed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y.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Third, the effect of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on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was entirely mediated by the sense of community. Fourth, the 6th graders, compared to the 4th graders, had a slightly higher level in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and the explained variance of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owing to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was smaller for the 6th graders. Lastly, the male students, compared to the females, were slightly lower in the level of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the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inhibitory school violence was slightly lower for the males than the female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as a way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the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needs to be enhanced by reinforcing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reinforcement of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is more needed as the school grade goes up and more needed for male students rather than females.

      • KCI등재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박가나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ty how the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 in our society would affect fostering their sense of community. The key questions designed for this study to empirically identify are intended to explore ‘how these first-hand experiences of youth participation would affect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This activity is departmentalized in detail and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4 types of sub-quest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study questions, it has implemented a survey on 304 youth nationwide whom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ons and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survey. First of all, it first demonstrates that the more the level of youth participation increases, the more the positive effect was resulted in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Secondly, while the pattern of youth participation showed positive effect in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when activities of off-lines were higher, the activities focused on on-line have demonstrated insignificant effect in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Thirdly, for the process of youth participation, higher effect was demonstrated in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when the process is more of deliberation. Fourthly, the longer the first-hand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 in fostering the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이 이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청소년 참여활동은 참여 과정에서 의사결정능력이나 사고력 등 개인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이 늘어나고 사회적 협력이나 공익에 대한 의식이 늘어나는 등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향상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이 규범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참여활동의 공동체의식 함양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참여활동의 수준, 형태, 과정, 양에 따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공동체의식의 하위 구성요소에 따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질문을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이 있는 전국의 청소년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선, 청소년이 경험한 참여활동 단체가 의사결정과정에서 청소년들에게 권한을 보다 많이 부여할수록,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러한 의사결정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공동체의식 함양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참여활동의 형태에 따라서는 오프라인에서의 참여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공동체의식 함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라인에서의 참여활동 정도는 공동체의식 함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청소년 참여활동의 과정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참여활동 과정이 숙의적일수록 공동체의식 함양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참여활동을 경험한 기간이 길수록 공동체의식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한 단체의 수는 공동체의식 함양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보다 주도적이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내실 있는 참여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자본이 메가이벤트 개최지역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강순화,김주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 메가이벤트 개최지역의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자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속가능한 메가이벤트 구현을 위한 개최지역의 사회자본과 지역주민 공동체의식 함양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고, 메가이벤트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현지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필요한 요소를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공동체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밀접한 네트워크, 규범, 참여 즉 사회자본으로 공동체의식의 선행요인으로 규정하였다.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개최지의 사회자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무형적 자본인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최근 여러 학문분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사회자본이라는 개념을 조직 연구에 적용하여 사회자본이 메가이벤트 개최지역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공익을 추구하는 메가이벤트 개최지 구성원들의 사회자본의 4개의 구성요소와 공동체의식 관계를 바탕으로 한 사회 안에 사회자본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형성되었을 때 지역주민의 협력을 증진시키는 공동체 건설의 메커니즘을 실증 연구로 검증함으로써 공동체 의식 함양에 집중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메가이벤트 개최지역의 조직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rough the actual proof of materials even whether the social capital affected any influence to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mega event holding area or not.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necessity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holding area for the sustainable mega event implementation and local resident sense of community Hamyang. The factor needed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mega event for the sense of community Hamyang of the local residentses was prescribed as the antecedent factor of the sense of community as the close network with the trust about the community and community inside different members, norm, and participation that is the social capital. Moreover, when the social capital was accumulated in four components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pursuing mega event site members and society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relationship and the sense of community was formed as a result, it shows to be concentrated in the sense of community Hamyang by verifying the mechanism in the community construction promoting the cooperation of the local resident with the positive research. This result can say that be actually of service to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of the mega event holding area.

      •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연구

        정용구(Yong koo Jung) 한국인성치유학회 2017 인성치유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인성치유를 위한 제반적 요소로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적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인성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큰 분류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로 개인의 발달은 발달시기에 따른 건강한 발달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건강한 관계역동을 발휘하기 위해 부부관계와 같은 애정과 친밀한 대상관계의 확립이 필요하고 부모-자녀와의 관계에서 건강한 양육적 관계역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형제-자매관계를 통해 동료와 사회적 역할과 질서를 배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로 공동체적 의식이 필요하다. 공동체적 의식은 질서와 배려, 존중의식이 함께 연계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동체 인성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가족공동체 안에서의 원만하고 균형 있는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의식이 성장할 때 사회공동체로서 확장, 실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 필요한 연구과제로는 공동체적 인성을 발전,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활용이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또한 각 발달시기에 맞는 인성적 요소를 발굴하고 모형을 개발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 상담 그리고 치유장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동체 훈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al personality and personality therap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veral elements for personality therapy are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mindset. We looked through the three necessary conditions for having healthy personality. First of all, an individual’s development has to be achieved by going through the stages of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make sound development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Second, confirmation of intimate object relation like marital relationship and healthy nurturing relationship dynam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needed to display healthy relationship dynamic in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lso, it is presumed that fellowship, proper social roles and order can be learned through relationship with siblings. Thirdly, communal attitude is required. Communal mindset is a concept of order, consideration and respect connected together. When harmonious and balanced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awareness within familial community are developed, a social community would be extended and achieved to practice communal personality through this awareness. Thus, as a research task in the futur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communal personality to grow are needed. As well, discovering the proper personality elements for each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 and developing the applicable model are required. During the process, communal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approached in educational, counselling and therapeutic scenes also has to be developed.

      • 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정보영,정문기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본 연구는 오늘날 문화를 활용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 이후 공동체의식수준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구체적 사례지역으로는 도시형 공동체인 경기도 안산시 안산동 ‘온새미로’ 공동체와 농촌형 공동체인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달빛창작소’ 공동체를 대상으로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두 공동체의 공동체의식을 세부적으로 비교한 결과, 공동체의식이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통해 형성 및 증대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형 ‘온새미로’ 공동체는 정서적 친밀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형 ‘함창달빛창작소’ 공동체는 구성원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온새미로’ 공동체의 경우, 지역자산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협력관계가 형성되어 이웃들과 오래 거주하고 싶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함창달빛창작소’ 공동체의 경우, 비교적 고정적인 구성원들이 활동하기 때문에 소속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을 높이기 위해 공동체 사업이 주민주도와 지역특성을 반영해야 하며, 생활문화를 통해 공동체의식 제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사회적 경제를 증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공동체주의, 인간의식 그리고 세계평화”

        최영종(Choi, YoungJong)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본 연구는 항구적인 세계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동체주의의 유용성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도이다. 공동체를 목표 및 구성원의 의식 수준에 따라 운명, 이익, 문화, 의식 공동체 네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개념과 주요 특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유럽연합과 아세안에 대한 사례연구는 지역공동체가 의식공동체에서 출발해서 문화공동체를 거쳐서 의식공동체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국제체제 또한 주권 국가로 이루어진 국제사회가 형성된 이후 점차 ‘세계사회’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으며, 보편적 가치와 연대감을 공유하는 의식공동체가 생겨날 가능성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남북한 관계에서도 문화 및 의식 공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확대·강화시켜 나가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advantages of communitarian approach to the study of regional integration and global peace. Unlike other IR approaches, communitarianism emphasizes human consciousness like communal bond and we-feelings, thereby opening the door to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ermanent peace through human endeavor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political communities develop by stages from security community through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ties and finally to spiritual community and that the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plays the pivotal role in the evolutionary process. The studies of EU and ASEAN cases largely validate these proposi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building a spiritual community of humankind is not only possible through individual and collective dialogue, discourses, learning, and practices but also indispensible to the permanent peace among peo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