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급 표면(High Grade Surface) 골육종 - 증례 보고 -

        이봉진,이성락,유태열,엄기성,하창원,Lee, Bong-Jin,Lee, Sung-Rak,Yoo, Tae-Yeul,Eom, Ki-Seong,Ha, Chang-Wo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High grade surface osteosarcoma is the most rare subtype of osteosarcoma arising on the surface of bone,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number of osteosarcomas. Only a few case reports and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world. In Korea, only one case out of 127 osteosarcomas has been described up to now, but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We experienced a case of high grade surface osteosarcoma in the subtrochanteric area of a 66-year-old female and treated he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hy, wide resection and limb salvage operation with tumor prosthesis and adjuvant chemotheraphy. This tumor is identical to conventional high grade intramedullary osteosarcoma in histology, treatment and prognosis. So, this tumo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urface osteosarcomas such as parosteal osteosarcoma and periosteal osteosarcoma. 고등급 표면(high grade surface) 골육종은 골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골육종의 희귀한 아형으로, 발생빈도는 전체 골육종의 1%에 못 미친다고 한다. 몇 편의 증례 보고와 연구 논문에서 이 고등급 표면 골육종을 소개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127예의 골육종 중 1예가 고등급 표면 골육종이었음을 기술한 논문이 있으나, 환자 및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저자들은 66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전자하부에서 발생한 고등급 표면 골육종 1예를 진단하고, 수술 전 항암 화학 요법, 광범위 절제술과 사지 구제술 및 수술 후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였다. 이 종양은 위치만 골 표면에서 발생할 뿐 조직학적으로 전형적인 골수강내 골육종과 같으며, 다른 표면 골육종과는 달리 치료나 예후에 있어 전형적인 골수강 내 골육종과 같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에 있어 방골성 골육종이나 골막성 골육종 등의 표면 골육종과 구별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골육종과 연골육종에서 Hypoxia-Inducible Factor-1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유전자 발현

        최익수(Ik Su Choi),노수인(Su In Roh),김재도(Jae Do Kim),장희경(Hee Kyung Chang),류형철(Hyeong Cheol R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골육종과 연골육종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Hypoxia-Inducible Factor-1 (HIF-l)의 발현을 조사하고, 병리 및 임상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육종 35예와 연골육종 9예의 조직에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병리학적 종양 악성도 분류는 WHO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HIF-l은 35예의 골육종 중 19예(54.3%)에서, 연골육종에서는 9예 중 8예(88.9%)에서 발현되었다. 그런데 골육종에서만 HIF-l의 발현이 폐전이(p=0.020) 및 종양 악성도(p=0.016)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VEGF는 골육종 35예 중 24예(68.6%)에서, 연골육종 9예 중 6예(66.7%)에서 발현을 보였으며, VEGF의 발현도 골육종에서만 발현의 범위가 넓을수록 폐전이가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4). 결론: HIF-l과 VEGF의 발현은 골육종과 연골육종 모두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내어 두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골육종에서 HIF-l의 발현은 높은 악성도와 폐전이를 예측할 수 있었고, 또한 VEGF의 발현 범위가 많은 골육종은 폐전이 빈도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연골육종에서는 두 혈관 신생 인자의 예후 인자로서의 의미는 밝힐 수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the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 expression on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osteosarcomas and chondro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osteosarcomas and 9 chondrosarcomas were assessed for HIF-1 and VEGF expressions with monoclonal antibodi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The pathologic tumor grades are followed the WHO classification. Results: Nineteen out of 35 osteosarcomas (54.3%) and 8 out of 9 chondrosarcomas (88.9%) showed HIF-1 expressions. The HIF-1 expressions increased with the pulmonary metastasis (p=0.020) and the tumor grades (p=0.016) in only osteosarcomas. Twenty-four out of 35 osteosarcomas (68.6%) and 6 out of 9 chondrosarcomas (66.7%) showed VEGF expressions. The extents of VEGF expression in only osteosarcom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ulmonary metastasis (p=0.024). Conclusion: The HIF-1 and VEGF appear to be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hese two tumors. The HIF-1 expression in osteosarcomas seems to be poor prognostic value including aggressive tumor grades and pulmonary metastasis. The extents of VEGF immunostaining might indicate the possibility of pulmonary metastasis in osteosarcomas. However, the two gene expressions could not indicate the significant prognostic value in chondrosarcomas.

      • Telangiectatic Osteosarcoma Arising in a Rib

        성지연,김교영,류창우,김대현,박용구,Sung, Ji-Youn,Kim, Gou-Young,Ryu, Chang-Woo,Kim, Dae-Hyun,Park, Yong-Koo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혈관확장골육종은 골육종의 드문 아형이다. 늑골은 일반적인 골육종뿐만 아니라 혈관확장골육종에서도 흔치 않은 발생부위이다. 이 종양은 경화된 부분이 없이 혈액이나 괴사된 종양조직을 포함하는 단일성 또는 다발성 낭성 공간으로 구성되므로 다른 양성 낭성 병변과의 감별을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늑골이 혈관확장골육종의 호발 부위는 아니지만 일차적인 감별진단에 혈관확장골육종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늑골에서 발생한 혈관 확장골육종과 일차성 골육종에 관한 기존 보고, 혈관성골육종의 감별진단과 드문 부위에 발생한 골육종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문헌고찰과 함께, 늑골에서 발생한 혈관확장골육종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Telangiectatic osteosarcoma is a rare variant of osteosarcoma. The rib is an uncommon primary site for conventional osteosarcoma, and even more for telangiectatic osteosarcoma. Because this tumor consists of single to multiple cystic cavities that contain blood or necrotic tumor with no appreciable areas of sclerosis, careful observation is needed to differentiate this malignancy from other benign cystic lesion. Therefore primary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ing telangiectatic osteosarcoma is important, although rib is not the predilection site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 We present a case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 arising in a rib. We reviewed the literature concerning telangiectatic osteosarcomas and primary osteosarcomas arising from the rib.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 and clinical features of osteosarcomas arising from unusual lo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수골에 발생한 골육종

        김태완(Tae Wan Kim),서창효(Chang Hyo Seo),천상진(Sang Jin Cheon),이상현(Sang Hyun Lee),김정일(Jeung I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골육종은 주로 슬관절 주위에 발생하며, 수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수부에 발생한 골육종 환자들은 종종 수부의 통증이나 종창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일반적인 위치에 발생한 골육종과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다. 수부에 발생한 골육종은 대개 일반적인 골육종보다는 더 고령에서 발생하지만 전형적인 골육종처럼 수부에서 가장 성장이 활발히 일어나는 제2, 3 수지의 중수지 관절에서 가장 잘 발생한다. 그러나 고령의 환자에서 수부의 중수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한 경우는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고령의 환자에서 중수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해 술 전 및 술 후 화학요법과 수지 열 절단술로 치료한 2예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Osteosarcoma commonly develops around the knee joint, and rarely in the hand. Patients with osteosarcoma of the hand often present with pain and swelling, and osteosarcoma of the hand has a biological behavior that differs from that of osteosarcoma at conventional sites. However, although it usually occurs in the older age group, compared with conventional osteosarcoma, the most common sites of hand osteosarcoma correlate with the most active growth and longest growing bones in the hand like conventional osteosarcoma, particularly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in the second and third digits. However, development of osteosarcoma in the metacarpal bone of the hand in an elderly patient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the country. Thus, we report on two cases of osteosarcoma in the metacarpal bone of the hand in elderly patients, treated by ray amputation of the digit an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에 관한 연구

        이창우,조우진,조재림,김태승,황건성,Lee, Chang-Woo,Cho, Woo-Jin,Cho, Jae-Lim,Kim, Tai-Seung,Whang, Kuhn-S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7 No.2

        목적 : 골육종 환자의 조직과 혈청에서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및 amyl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그 활성도의 변동을 보았고 이들 효소가 골육종의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연구방법 : 골육종 환자의 혈청과 종양조직은 1 2예로부터 얻었으며, 이에 대한 대조조직은 동일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채취하였다. 조직 추출액을 얻어서 핵산, 단백함량, 그리고 효소 활성도의 측정에 사용하였다. DEAE-cellulose chromatography에 의해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neutral RNase, RNase inhibitor와 단백을 분리하고 그활성도와 단백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효소활성도의 양성율도 높게 나타났다. neutral RNase의 활성도가 특히 높았으며, RNase inhibitor는 neutral RNase와 복합을 이루면서 그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neutral RN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acid DNase는 단일효소로서, 그리고 neutral RNase는 5개의 isozyme으로 분리되었다. 결론 : 이들 효소의 병용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neutral RNase활성도의 측정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의 역할을 시사하였다. acid DNase와 neutral RNase가 골육종의 발생과 억제과정에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Purpose : To investigate biochemical markers for osteosarcoma, activities of deoxyribocuclease(DNase), ribonuclease(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and amylase were determined in the osteosarcoma tissue and serum of patients with osteosarcoma. Also studied were DNase, RNase in osteosarcoma tissue, isolating the enzymes from the sarcoma tissue and investigating the sarcoma specific enzym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experimental tissue and serum were obtained from twelve patients with osteosarcoma. The control group were obtained from the normal healthy tissue of the same patients. The tissue were centrifugalized to obtain extracts. The extracts were analized for the estimation of nucleic acid, protein contents and enzyme activities. And then each enzymes were isolated and analized by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and estimated for activities. Result : Activities of acid DNase, RNase, 5'-nucleotidase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steosarcoma tissue. Neutral RNase in osteosarcoma tissue was shown to bo highly active, exhibiting secretory form of RNase inhibitor associated with the RNase was also increased.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osteosarcoma, R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ical analysis revealed that acid DNase was isolated as a single enzyme and neutral RNase as five isozymes in osteosarcoma tissue.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bination of these enzymes could be used as markers for osteosarcom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id DNase and neutral RNase might play a role in genesis of sarcoma and suppression of sarcoma.

      • 인간 골육종 세포주에서 Zoledronic acid의 종양 억제에 대한 생체내 실험

        김재도,서태혁,이동원,권영호,장재호,이영구,Kim, Jae-Do,Seo, Tae-Hyuck,Lee, Dong-Won,Kwon, Young-Ho,Jang, Jae-Ho,Lee, Young-G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Bisphosphonate(BPs)는 endogenous pyrophosphates의 유사체로 Paget's disease, 골다공증, 종양 유발성 골용해와 같은 골격계 질환의 치료에 쓰이고 있으며, 유방암의 골파괴성 전이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골전이의 양상이 골흡수성 및 골생성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전립선암의 전이에서도 치료제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BPs는 파골세포성 골흡수가 과하게 일어난 질환에 대해서는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골종양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가장 강력한 질소 함유(nitrogen-containing) BPs인 Zoledronic acid(ZOL)로서 골육종이 발현된 nude mouse model을 이용하여 ZOL의 종양 억제능을 생체내 실험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간 골육종 세포주로는 MG-63과 HOS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종양의 크기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GFP 유전자가 형질 전환된 MG-63-GFP, HOSGFP 세포를 6주령된 수컷 마우스 10마리에 각각 피하주사하여 종양의 조각이 $3{\times}3{\times}3$ mm이 될 때까지 사육한 후, ZOL을 120 ug/kg의 농도로 일주일에 2번 피하에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를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고, 형광조명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HOS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대조군의 종양의 평균 크기는 2,520 $mm^3$이며 ZOL 투여군은 131 $mm^3$로서 94%의 감소를 보이며, MG-63 골육종 세포주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는 대조군의 종양의 평균 크기는 2,866 $mm^3$이며 실험군은 209 $mm^3$로서 72%의 감소를 보였다(P<0.05). 결론: Nude mouse를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ZOL은 골육종의 세포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앞으로 골육종 치료의 약제중 하나로 선택되어 질수 있다고 판단되며, 종양세포주에 따라 ZOL의 영향이 다를 수 있으므로 ZOL에 감수성 있는 종양세포를 찾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Bisphosphonates (BPs) are the analogues of endogenous pyrophosphates: they have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skeletal diseases such as Paget's disease, osteoporosis, and tumorinducing ostelysis, and are used in treatment of osteolytic metastasis of breast cancer recently. They are also used as one of the therapeutic agents for metastasis of prostatic cancer of which metastasis makes the mixed nature of osteolysis and ostegenesis. Although the action mechanism of BPs are well known for diseases with excessive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the direct effect of BPs has not been known ye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 the tumor suppression capability of Zoledronic acid(ZOL) using nude mouse with oste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MG-63 and HOS osteosarcoma cell lines were used and the transforemed MG-63-GFP and HOS-GFP cells, which were made for detection under fluorescent light,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to make osteosarcoma. The five 6-week male mic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t each group. After the injection, mice were cultivated until tumor pieces grow up to $3{\times}3{\times}3$ $mm^3$ and ZOL of 120 ug/kg was subcutaneously injected twice a week. Sizes of tumor were measured twice a week and photographed under fluorescent light. Results: In in vivo test with HOS osteosarcoma cell lines, mean size of tumors was 2,520 $mm^3$ in control group and was 131 $mm^3$ in ZOL group, which showed 94% of reduction comparing with the control ; with MG-63 osteosarcoma cell lines, mean size of tumors was 2,866 $mm^3$ in control group and was 209 $mm^3$ in test group with 72% of reduction (p<0.05). Conclusion: In in vivo tests with nude mice, we suggest that ZOL has direct effect on osteosarcoma cells and it would be used as one of the therapeutic agents for osteosarcoma, especially to ZOL-sensitive osteosarcoma cells.

      • Differential Expression of CXCR4 in Conventional High-grade and Low-grade Central Osteosarcoma and Its Prognostic Implications

        박혜림,서진원,박용구,Park, Hye-Rim,Seo, Jin-Won,Bacchini, Patrizia,Bertoni, Franco,Park, Yong-Koo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1

        목적: 케모카인 수용체인 CXCR4는 암에서 발현되며 암의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통상적인 조직학적으로 고등급인 골육종과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에서 CXCR4 발현을 비교하고 CXCR4 발현과 예후 간에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총 63명의 골육종 환자에서 CXCR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고 임상적, 병리학적 인자 및 전체적인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CXCR4는 통상적인 고등급(조직학적 등급 3 및 4) 골육종의 76.3%에서 발현된 반면 저등급(조직학적 등급 1 및 2) 중심부 골육종의 36%에서 발현되었다. 또한 고등급 골육종의 47.4%에서 미만성으로 발현된 반면 모든 저등급 골육종은 병소에 국한되어 발현되었다. CXCR4 발현은 조직학적 등급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전체적인 생존률은 CXCR4 발현 증가(p=0.0058), 고등급의 조직학적 등급(p<0.0001), 어린 연령(p=0.0140)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성별, 종양 크기, AJCC 병기와는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 CXCR4 발현은 골육종에서 고도의 조직학적 분화도가 나쁜 등급 및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다. Purpose: The chemokine receptor CXCR4 has been reported to be aberrantly expressed in human cancer and has been shown to participate in cancer metastasis. We compared the expression of CXCR4 in conventional high-grade and low-grade central osteosarcomas, and determined if an association between CXCR4 expression and prognosis could be made.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the immunohistochemistry for CXCR4 in a total of 63 patients with osteosarcoma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and overall survival rates. Results: CXCR4 was detected in 76.3% of conventional high-grade osteosarcoma patients and in 36% of low-grade central osteosarcomas. Diffuse expression was noted in 47.4% of the high-grade osteosarcomas and all low-grade cases were focal positive. CXCR4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stologic grade (p<0.0001). While overall survival rate was reduc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CXCR4 expression (p=0.0058), higher histologic grade (p<0.0001), and younger age (p=0.0140), survival rate did not correlate with gender, tumor size, or AJCC stage.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XCR4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higher-grade tumors and with poor prognosis for osteosarcoma patients.

      • Immunohistochemical c-fos Expression in Osteosarcoma

        박용구,박혜림,Park, Yong-Koo,Park, Hye-Rim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5 No.3

        c-fos와 c-jun은 암 유전자의 하나이며, 이 유전자의 단백질 산물은 여러 가지의 다른 활성화 단백 (activator protein 1, AP-1)으로 골 종양에서 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포르말린에 고정된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35례의 사람 골육종에서 c-fos 단백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c-fos의 발현은 골 형성 병변에서 주로 발현되며, 저등급의 연골형성 병변에서는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높은 빈도의 c-fos 단백의 발현이 골아성 골육종에서 발현되었으나 (17례 중 13례에서 1등급 내지 2등급으로 발현), 2례의 연골형성 골육종, 1례의 섬유아세포성 골육종, 2례의 방골성 골육종에서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2례의 혈관확장성 골육종에서는 양성으로 c-fos 단백의 발현되었다. 비록 조직학적으로 고등급의 골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상 고 빈도의 c-fos 단백의 발현이 관찰되나, 조직학적 등급과, 면역염색상 발현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c-fos 단백이 골육종의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추론되며, 저등급의 연골형성 육종에 이 단백의 역할에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ducts of c-fos and c-jun proto-oncogenes form the heterodimeric complex activator protein 1 (AP-1), which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control of bon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bone tumors.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was examined in 35 cases of human osteosarcomas a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using a monoclonal antibody. The expression of c-fos was restricted to bone-forming lesions, while low grade cartilaginous tumors were devoid of immunoreactivity. The highest levels of c-fos expression were detected in osteoblastic osteosarcoma (13 of 17 cases with grade one on two) while two chondroblastic osteosarcomas, one fibroblastic osteosarcoma, and two parosteal osteosarcomas were negative. Two cases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s were positive for c-fos protein. However, since there is a tendency of high c-fos protein expression at the higher histological grad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present in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Thus c-fos expression may be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osteosarcomas, but they appear to have little or no relevance in the development of low grade cartilaginous neoplasms.

      • 제 2족지 근위 지골에 발생한 저악성도 골육종 - 증례 보고 -

        한정수,정덕환,신동준,임양선,정찬종,Han, Chung-Soo,Chung, Duck-Hwan,Shin, Dong-Jun,Lim, Yang-Sun,Jung, Chan-J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7 No.4

        족부에 발생하는 골육종은 전체 골육종의 0.2~2%로 매우 드물며 장관골의 골간단부에 발생하는 저악성도 골육종은 전체 골육종의 약 1.9% 정도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이다. 본 교실에서는 제 2족지 근위 지골의 종물과 심한 동통으로 내원한 38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저악성도 골육종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단순 방사선 검사상 좌측 제 2족지 근위 지골 전체를 침범한 골용해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피질골은 얇고 팽대된 소견을 보였다. 골주사 검사상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보인 것과 동일한 위치에 흡수 증가의 소견을 보여 양성 골종양으로 판단하고 종양 절제 후 늑골을 이용한 관절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학적 소견상 저악성도 골육종으로 판정되었고 이차적으로 좌측 제 2족지의 근치적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제 2족지 근위 지골에 발생한 저악성도의 골육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광범위 절제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reported incidence of osteosarcoma of the foot varies between 0.2-2% of all osteosarcoma. Low grade osteosarcoma of the long bone represents only 1.9% of all osteosarcoma. A 38-year-old female had suffered painful mass in the proximal phalanx of the second toe for 1 year. Radiographic finding showed enlarged osteloytic mass which had penetrated thin cortex of the second toe and apparent increased uptake in bone scan was seen. Mass resection with autogenous bone graft using rib was performed. Histologically, the tumor was compatible with "low grade osteosarcoma". Second stage wide resection was performed. Because low grade osteosarcoma located in the proximal phalanx of the second toe is very rare, we report this unusual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과 환자-대조군 분석

        조완형,이수용,송원석,공창배,원호현,홍윤석,전대근,Cho, Wan-Hyeong,Lee, Soo-Yong,Song, Won-Seok,Kong, Chang-Bae,Won, Ho-Hyun,Hong, Youn-Seok,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Purpose: Compared to soft tissue sarcoma, the relative risk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is still no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rate between two soft tissue 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extraskeletal osteosarcoma were analysed. For retrospective matched case-control study, we selected 72 patients who were confirmed as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and had similar tumor location, tumor size and age to extraskeletal osteosarcoma. Results: Median age was 50 years old. Five cases were located in upper extremity, four in the buttocks, three in the lower extremity. Overall survival rat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group and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group at 5 years were 52% and 5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8). Local recurrence rate and metastasis rate were 58%, 67% in extraskeletal osteosarcoma group and 36%, 51% in soft tissue sarcoma group, which were not stastistically significant(p=0.2, p=0.4). Conclusion: Extraskeletal osteosarcoma have similar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compare to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The number of patients of this study were too small to identify outcom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Further multi-institutional study should be attempted. 목적: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종양으로 연부조직육종에 비해 어느 정도의 치료 성적을 보이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두 악성 연부 육종의 치료결과를 비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12례의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 환자와 짝짓기 환자-대조군 분석을 위해 악성도 3등급의 연부조직 육종 중 골외성 골육종 환자와 유사한 위치, 크기, 나이를 가진 환자 6배수를 선별하였다. 결과: 골외성 골육종 환자 나이는 35~77세 (중간값 50세)였다. 위치는 상지 5례, 둔부 4례, 하지 3례 였다. 5년 생존율은 52% 였다. 대조군인 연부조직육종의 5년 생존율은 55%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 국소재발율은 골외성 골육종이 58%, 연부조직육종이 36%이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 전이율은 각각 67%, 51%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 결론: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연부조직종양과 비슷한 전이 및 국소재발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골외성 골육종의 증례가 적으므로 다기관 연구를 통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