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례관리 매뉴얼 비교분석 -서울시복지재단, 지역아동센터, 경기복지재단 매뉴얼을 중심으로-

        조지혜 ( Ji Hye Jo ),이희진 ( Hee Jin Lee ),백종림 ( Jong Leem Back ),김예솔 ( Ye Sol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에 대하여 서울시복지재단,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경기복지재단에서 발행한 매뉴얼을 가지고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그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특히 각각의 사례관리 과정(절차)과 내용, 양식에 대해 중점적 보았는데 사례관리 과정(절차)에서 서울복지재단이 가장 정형화된 과정을 제시하였으나, 내용과 양식은 각각의 기관 모두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개발되어질 지침은 통일된 사례관리 개념의 이해와 양식의 통일성 등이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management guidelines,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 Gyeonggi Welfare Foundation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each case management process and the content, form, case management processes in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presented the formal process, but it turned out that the content and form were differently from each agency. It signifies that further guidance for case management will be included it``s a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case management concept and the unity of form. etc.

      • KCI등재

        광역 예술인지원센터 사업의 차별화 방안고찰

        강석태,김선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study wanted to discuss ways to differentiate the project of the wide-area art support centers, which have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line with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support for artists themselves is spreading.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ort center and support projects were compared with the cases of the support project of the Korea Artists Welfare Foundation and the Gyeonggi Arts Support Center. As research methodology does not have much relevant statistics and existing research data, deep interview methodology was used as an exploratory stud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ne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rt support policies centered on project unit support and to prepare artist support policies specialized to metropolitan governments is emerging. In addition, a new change in artist support policy is required in the post-corona era, and most of all, the arts support center in the metropolitan area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Artists Welfare Foundation, which focuses on life security. To this end, it is hoped that various projects will be established, such as activating networks of artists specialized in each region, supporting the operation of cooperatives, and protecting copyrights by region. 본 연구는 예술인 자체에 대한 지원이 확산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최근 설립이증가하고 있는 광역 단위 예술인지원센터의 사업을 중앙과 차별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예술인복지재단과 경기예술인지원센터 등 광역단위 예술인지원센터들을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기존 연구 자료가 많지 않아 탐색적 연구로서 심층인터뷰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자체일수록 프로젝트 단위 중심의 지원보다는 예술인 자체에 대한 지원에 집중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역 단위의 예술인지원센터는 예술인의 자립 지원에 집중함으로써 현재 예술인 생활보장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과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예술인 자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역 예술인 네트워크 활성화, 전 생애 주기별 지원체계 구축, 아카이브 구축, 교육의 강화, 협동조합 설립 및 운영 지원, 권역별 저작권 보호등의 사업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광역단위 예술인지원센터의 역할과 사업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논의의본격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