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鏡城의 鏡에 대한 언어적 인식

        이정룡 한국지명학회 2013 지명학 Vol.19 No.-

        鏡城으로 불리는 옛 지명은 『東國輿地勝覽』(咸鏡道)에 나온다. 이 글은 옛 지명 鏡城에 표기된 鏡의 언어적 가치를 국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鏡城의 언어적 가치를 비교언학적으로 연구된 것이 李基文(1991)이다. 여기서는 여진어라는 관점에서 鏡城의 鏡이 *muləku로 이해되었다. 거울을 뜻하는 국어는 중세국어 문헌에서 ‘거우로, 거우루, 거올, 거울’ 등으로 확인되는데 음성적 변이관계이다. 이들의 어두표기 ‘거’는 銅에 해당하는 표기이고 이들이 銅鏡의 형태적 구조와 정연한 대응을 이룬다는 점에서 ‘거+우로, 거+우루, 거+올, 거+울’로 분석되는 것으로 보았다. 鏡을 뜻하는 말은 ‘우로, 우루, 올, 울’이 된다는 것을 ‘어루쇠’의 ‘어루(鏡)’의 확인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우로, 우루, 올, 울’과 ‘어루’의 기저형을 ‘ᄋᆞᄅᆞ(鏡)’으로 상정하고 이것이 고대형으로 소급되리라 생각하였다. 鏡城과 그 별칭으로 보아 왔던 于籠耳·雉城이 ‘鏡-于籠-雉’와 ‘城-耳’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고, 전자가 ‘ᄋᆞᄅᆞ~ᄋᆞᆯ’의 표기가치를 지니며 후자는 ‘*기(城)’를 뜻하는 표기로 파악하였다. 전자의 于籠은 음독하여 ‘우루’에 가까운 표기로 雉는 ‘ᄋᆞᆯ’로 파악되는 차자 解와 등가적 존재라는 것에 따라 판단하였다. 후자는 백제 지명에서 ‘城-己(只)’와 병행적이라는 점에서 그와 같은 판단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판단에 따라 鏡城의 鏡은 국어적 관점에서 ‘ᄋᆞᄅᆞ(鏡)’를 나타내는 존재임을 주장하였다. 鏡城의 鏡과 같은 언어적 가치를 지니리라 생각한 鏡驛을 제시하고, 安康驛을 계승한 것이 鏡驛이며 鏡驛과 파생관계에 있는 것이 於乙於山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상관적 관계를 통해 ‘安-鏡-於乙於’을 상정하여 이것이 ‘ᄋᆞᄅᆞ~ᄋᆞᆯ’을 매개로 하는 등가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리하여 鏡驛의 鏡도 鏡城의 鏡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논증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논증이 鏡城의 鏡이 ‘ᄋᆞᄅᆞ’를 뜻하는 표기임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 하나의 방증자료로서 鏡井宮을 발굴하여, 鏡井宮이 閼英(娥利英)과 밀접한 역사적 존재임 전제하여 언어적으로 ‘鏡-閼(娥利)’이 ‘ᄋᆞ리~ᄋᆞᆯ’로서 등가적일 가능성 아주 높다는 것을 인식하고 鏡城의 鏡이 ‘ᄋᆞᄅᆞ’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에 방증자료로 삼았다. 청동거울(銅鏡)이 있기 이전에도 거울(鏡)을 뜻하는 말이 있었고, 청동의 소재로 새로운 거울이 만들어지자 이것에 따라 생성된 것이 청동거울(銅鏡)이 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는데, 청동거울(銅鏡)의 이전의 거울(鏡)을 뜻하는 말을 ‘ᄋᆞᄅᆞ’로 상정하였다. 고대에 ‘ᄋᆞᄅᆞ(鏡)’라는 말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어원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는데, ‘ᄋᆞᄅᆞ(鏡)’의 어원은 ‘사물 등이 어리다(形成, 凝結)’의 속성을 가지는 도구이기에 이것을 개념화하여 ‘ᄋᆞᄅᆞ(鏡)’가 생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old place name of 鏡城(Gyeongseong) is found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Hamgyeong-d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linguistic value of 鏡(mirror) in the old place name of 鏡城(Gyeongse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The linguistic value of 鏡城(Gyeongseong) was studied in the method of comparative linguistics by Lee Ki-Mun(1991). By Lee’s study, 鏡 of 鏡城(Gyeongseong) was construed as *muləku(mirror), on the assumption that it was a component of Jurchen language. Korean words for mirror are identified as ‘거우로(geouro), 거우루(geouru), 거올(geool), 거울(geoul)’ in the text written in the mediaeval Korean, which show phonetic transformation. Since the prefix ‘거(geo)’ for the words corresponds to bronze(銅) and they squarely correspond to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銅+鏡’(bronze+mirror), the words can be broken down into ‘거+우로(geo+uro), 거+우루(geo+uru), 거+올(geo+ol), 거+울(geo+ul)’. Such words as ‘우로(uro), 우루(uru), 올(ol), 울(ul)’ are the mirror. it was prove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어루(eoru; mirror)’ in ‘어루쇠(eorusoe)’. Therefore, the underlying form for ‘우로(uro), 우루(uru), 올(ol), 울(ul)’ and ‘어루(eoru)’ was assumed to be ‘ᄋᆞᄅᆞ(ʌrʌ; mirror)’, which was believed to date back to its ancient form. The relationship between 鏡城(Gyeongseong) and its aliases 于籠耳(Urongi)·雉城(Chiseong) were confirmed to be like that between ‘鏡-于籠-雉’ and ‘城-耳’, with the transcriptive equivalent of the former being ‘ᄋᆞᄅᆞ~ᄋᆞᆯ(ʌrʌ~ʌl)’ and the latter is equal in transcription to ‘*ki(城; castle)’. 于籠(Uron) in the former is close to ‘우루(uru)’ in phonetic reading, while 雉(Chi) is equivalent to 解(hae), a borrowed character construed as ‘ᄋᆞᆯ(ʌl)’. Such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latter is parallel with ‘城-己(只)(castle-ki)’ among place names of Baekje. This finding led to the argument that 鏡 of 鏡城(Gyeongseong) has the linguistic value of ‘ᄋᆞᄅᆞ(ʌrʌ; mirr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While 鏡驛(Gyeongyeok), thought to have the same linguistic value as 鏡 of 鏡城(Gyeongseong), was presen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ccessor to 安康驛(angangyeok) was 鏡驛(Gyeongyeok), of which 於乙於山(Eoeuleosan) was derived. Through such correlative relationship, ‘安-鏡-於乙於’ was assumed, which was confirmed as equivalence mediated by ‘ᄋᆞᄅᆞ~ᄋᆞᆯ(ʌrʌ~ʌl)’. Hence, it became possible to demonstrate the value of 鏡 of 鏡驛(Gyeongyeok) as equal to that of 鏡 of 鏡城(Gyeongseong). As another circumstantial evidence, 鏡井宮(Gyeongjeonggung) was unearthed.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鏡井宮(Gyeongjeonggung) was a historical entity close to 閼英(娥利英)(ʌlyeong, ʌriyeong), it was recognized that linguistically, ‘鏡-閼(娥利)’ was equivalent to ‘ᄋᆞ리~ᄋᆞᆯ(ʌrʌ~ʌl)’, which was adopted as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鏡 of 鏡城(Gyeongseong) should be construed as ‘ᄋᆞᄅᆞ(ʌrʌ)’. Words meaning mirror(鏡) preceded bronze mirror(銅鏡). When a new mirror was made with bronze, people figured out that it was bronze mirror(銅鏡). The existence of the word ‘ᄋᆞᄅᆞ(ʌrʌ; mirror)’ in ancient times has been discussed from the etymological viewpoint. The etymology of ‘ᄋᆞᄅᆞ(ʌrʌ; mirror)’ is realized, the fact that it is used to state that ‘a thing forms’ led to the conceptualization that created ‘ᄋᆞᄅᆞ(ʌrʌ; mi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