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현대 중국어 "형(形)+빈(賓)(명(名))" 결구 성립 조건

        박종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8 인문학연구 Vol.36 No.-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취하기가 자유스럽지 않고 조건이 한정되어 있어 "形+賓(名)" 結構의 성립조건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어법(語法)과 의미[語義]에서부터 한계를 분석하였다. 어법 부분의 주요 분석은 "形+賓(名)" 결구 중 "形" 어법상의 조건과, "賓(名)"의 句法限制및 "形" 과"賓(名)" 조합시의 句法要求사항에 대한 조건을 설명하였고. 의미[語義] 부분은 "形"과 "賓(名)"의 의미[語義] 특징과 의미[語義]의 雙向選擇등의 문제를 중점 분석하였다. "形+賓(名)" 結構내부의 각 성분의 어법 묘사와 분석을 요약하면, "形+賓(名)" 結構성립에 필요한 어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음절 형용사가 목적어를 취할시, 일반적으로 어떤 보조성분이나, 보조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결합하는 방법이 聯合式, 偏正式, 動賓式, 主謂式, 述補式雙音節形容詞인 경우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둘째, "賓(名)"은 일반적으로 單個代詞, 名詞와 定中短語를 충당한다. "的"字短語, "所"字短語등 名詞性短語는 形容詞+"賓(名)"을 취할 수 없다. 셋째, 단음절형용사는 보통 단독으로 "形+賓(名)"을 취할 수는 없으나,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보조성분인 "著, 了, 過" 또는 보조수단인 형용사 중첩(AA, A一A, ABAB)이 필요하다. 漢語中,帶賓語的形容詞是指單純的性質形容詞,狀態形容詞不具有帶賓語的功能。帶賓語的性質形容詞包括單音節和雙音節的,而且單、雙音節形容詞帶賓語顯示出不同的選擇和限制條件。能구充當形容詞賓語的成分是有限的,常見的是體詞或體詞性短語,謂詞和謂詞性短語是흔少見的。通過對"形+賓(名)"結構內部各成分的語法描寫分析,可以得出"形+賓(名)"結構成立的語法條件爲:一是雙音節形容詞帶"賓(名)"時,一般雖不需要帶一定的輔助成分或輔助手段,但其構成方式多爲聯合式、偏正式、動賓式、主謂式、述補式雙音節形容詞一般不能帶賓語。二是"賓(名)"一般由單個代詞、名詞及定中短語充當, "的"字短語、"所"字短語等名詞性短語不能充當形容詞的"賓(名)"。三是單音節形容詞一般不能單獨帶"賓(名)",通常需要添加一定的輔助成分"著、了、過"或輔助手段"形容詞的重疊(AA、A一A、ABAB)"。

      • KCI등재

        現代韓語偏正式"形+名"結構

        박종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는 현대한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어법구조이다.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의 구성(構成), 기능(功能)과 운용(運用)은 많은 언어학자들이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적지 않은 학자들이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어법기능과 편정결구(偏正結構)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같다고 주장한다. 邢公原선생은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偏"이라 하였다. 그것은 어법기능상의 중심어기 때문이고, 전체 구(詞組)의 어법기능을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첨가하거나 혹은 취소하여도 어법기능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주덕희(朱德熙)、호명양(胡明揚) 선생들도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만약 좀 더 깊이 있게 분석을 해보면 명사성편정결구(偏正結構)중 관형어(定語)를 첨가하거나 취소하면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조금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호비기(好脾氣)" 이것은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술어(謂詞)의 어법 기능)이 있고, 술어가"타마마진비기(他瑪瑪眞脾氣)" 라면, 이것은 술어가 없는 어법기능이다. 본문은 주로 형용사(形容詞) +명사 (名詞)를 조합한 편정결구(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에 대해 논하였고, 형용사에 관형어를 첨가하거나 또는 취소 했을 때 중심어의 어법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現代漢語短語的句法結構功能有各種不同的類型. 如果把短語的功能分爲名詞性工能, 動詞性功能和形容詞性功能三類的話, 那馬短語中就不僅有單功能短語, 例如述賓短語和連動短語都只具有動詞性功能, 同位短語只具有名詞性功能;也有雙功能短語, 如述補短語機有動詞性功能("走進來", "洗得滿頭大汗"), 也有形容詞性功能("好得欣"、"淸楚極了");還有多功能短語, 卽包括名詞, 動詞, 形容詞三種功能的, 如聯合短語和偏正短語. 偏正結構是漢語中一種常用的語法結構, 他的構成, 功能和運用, 學者們已作了比較充分的硏究. 不少人認爲偏正結構的語法功能和他中心語的語法功能是相同的邢公原先生指出:"我們把定語、狀語稱爲``偏``, 是因爲他們在語法功能上屬於中心語的, 整個詞組的語法功能取決於中心語的語法功能, 定語狀語的增加或取消對語法功能沒有影響. "朱德熙先生也認爲, "從結構上說, 偏正結構的核心是中心語, 因爲偏正結構作爲一個整體, 語法功能和中心語是一致的. "胡明揚先生說"向心詞組是整個詞組的功能相當於詞組中心語的功能, 如偏正詞組的功能與中心語的功能相同". 這些學者的論述闡明了偏正結構在語法功能上的共同規律. 但是, 如果進一步分析, 我們會發現, 在名詞性的偏正結構中, 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的語法功能有時會産生一些影響. 如:"好脾氣", 這一偏正結構具有謂詞的語法功能, 能作謂語(他瑪瑪眞好脾氣), 但其中心語"脾氣"就不能作謂語(他瑪瑪眞脾氣), 沒有謂詞的語法功能. 本文主要討論形容詞加名詞組成的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 形容詞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語法功能的影響情況.

      • KCI등재

        現代漢語"形+賓(名)"結構成立的條作

        朴種任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인문학연구 Vol.36 No.-

        淡培中, 帶蒸崙的形審피是指詞難的性墳形容河, 狀恣形審詞不異靑츄滯的功能. 帶奚滯的性添形容減包括準音和承音的, 而且卓. 覆音形容詞希奚滯星示出不同的進擇和眼制奈件. 龍輕充形審浦寅滯約成鈴是街眼的, 常見的是休潤業休河性短滯, 漏漏和漏性短崙是襤少見的÷ 遲述"形·業(名 )"鈴補內部各成鈴的崙法描琴鈴析, 可狀得形+業(名)'梅成立的湯法奈件 一是 載音形容洞帶"蒸(名)"吟, -般星不需要-定的補助成券業補助手段, 但其梅成方式多冷戰合式. 傭正式. 凉業式. 主濕式. 述朴式左音形容詞-般不龍帶奚崙. 二是 "寅(名)"一般由準少代謝. 名洞及定中短崙充, "的"字短沿. "所"字短滯等名減 除短崙不能克골形審콘的"蒸(名)" 三是 準音쳔形容洞一般不能準獵帶"寅(名)", 遲常需要添加一定的補肋成針', 7, a'補驗手段"形容v\的重臺(AA, AUA, ABAB)"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취하기가 자유스럽지 않고 조건이 한정되어 있어 “形+賓(名)” 結構의 성립조건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어법(語法) 과 의미[語義]에서부터 한계를 분석하였다. 어법 부분의 주요 분석은 “形+賓(名)” 결구 중 “形” 어법상의 조건과, “賓(名)”의 句法 限制 및 “形” 과“賓(名)” 조합시의 句法 要求 사항에 대한 조건을 설명하였고, 의미[語義] 부분은 “形”과 “賓(名)”의 의미[語義] 특징과 의미[語義]의 쌍向選擇 등의 문제를 중점 분석하였다. “形+賓(名)” 結構 내부의 각 성분의 어법 묘사와 분석을 요약하면, “形+賓(名)” 結構 성립에 필요한 어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음절 형용사가 목적어를 취할시, 일반적으로 어떤 보조성분이나, 보조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결합하는 방법이 聯合式, 偏正式, 動賓式, 主謂式, 述補式 쌍音節形容詞인 경우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둘째, “賓(名)”은 일반적으로 單개代詞, 名詞 와 定中短語를 충당한다. “的”字 短語, “所”字 短語 등 名詞性 短語는 形容詞+“賓(名)”을 취할 수 없다. 셋째, 단음절형용사는 보통 단독으로 “形+賓(名)”을 취할 수는 없으나,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보조성분인 “着, 了, 過” 또는 보조수단인 형용사 중첩(AA, A-一A, ABAB)이 필요하다.

      • KCI등재

        언해문(諺解文)을 활용한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時’ 구문(構文) 연구(硏究)

        소열녕 ( Seow¸ Yuening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6

        語言學界很早就有人發現近代漢語中的“時”字句能表示假設。這類用法見於元末明初的中國小説, 在朝鮮時代刊行的漢語教材裡亦頻繁出現。本文以≪翻譯老乞大≫和≪老乞大諺解≫爲研究對象, 利用其諺解文 (韓文譯文) 來分析“時”字句在韓語中的對譯情況, 借此考察當時的朝鮮譯官及其他漢語學習者是否準確掌握“時”字句的功能。筆者從漢文原文中一共找到199條帶“時”字結構的例句, 根據其韓文對譯進行分類、統計。結果發現, 這類譯文大致上可以分成三類:甲類表時間, 乙類表示假設或條件, 其餘的則列入丙類。三種“時”字句中, 乙類所占百分比最高, 在≪翻譯老乞大≫和≪老乞大諺解≫中分別為84.5%及85%。這顯示當時的朝鮮譯官能較好地掌握“時”字句表假設的功能, 沒有一律按照字面理解爲時間義。本文根據語法化程度, 將這三類的“時”進一步細分為五類, 分別是:“時₁”, 語法化程度最低, 用於表示時間的甲類;“時₂”, 語法化程度高於“時₁”, 可在已發生的事情被當作條件時使用;“時₃”, 比“時₂”更加虛化, 可用於表示現實的條件;“時₄”則比“時₃”更加語法化, 用來表示説話人的推測。以上“時₂”、“時₃”及“時₄”均屬於乙類。最後一個“時₅屬於丙類, 語法化程度最高, 既不表示時間, 也和假設、條件無關, 其功能較接近語氣詞。 Contrary to Modern Chinese, ‘shi’ (時) can be used in conditional statements in Early Mandarin. This usage is widely found in texts written during the Early Mandarin period, including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studies the ‘shi’ (時) sentence in Beonyeok Nogeoldae (翻譯老乞大) and Nogeoldae Eonhae (老乞大諺解) by referring to the Korean translation text. There are 199 ‘shi’ sentences found from the Chinese original text. These sentences a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ir Korean equivalents and divided into 3 categories. Category A is ‘shi’ that shows the time, while category B referred to ‘shi’ that shows conditions. ‘Shi’ sentences with other usage are included in category C. ‘Shi’ from category B which is used in conditional statements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with 84.5% in Beonyeok Nogeoldae and 85% in Nogeoldae Eonhae. The ‘shi’s can also be divided into five stages to show their different level of grammaticalization. ‘Shi<sub>1</sub>’ with the lowest level of grammaticalization, is one that is used to show the time. ‘Shi<sub>2</sub>’ is more grammaticalized than ‘shi<sub>1</sub>’ because it appears in sentences that refers to something that already happened. ‘Shi<sub>3</sub>’ is used to show a ‘realistic condition’ while ‘shi<sub>4</sub>’ expresses guessing. Finally ‘shi<sub>5</sub>’ which is used directly after the noun phrase, seems to be the most grammaticalized one and is quite similar to a mood marker.

      • KCI등재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이재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This study focus on improving the text language proficiency regarding users' written text. In order to tone up accuracy improvement in writ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CALL) can be primarily used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tools. This study proposes a English Grammar Checking Application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ver the current applications. The proposed system is capable of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 Noun and a Noun Phrase which is critical in improving grammar accuracy for those who use Englilsh as a foreign language in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영어텍스트구문을 작성하는 사용자들의 영어작문능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컴퓨터와 IT기술의 발달로 영어작문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보조언어학습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일부 단어의 철자, 접속사의 필요성, 주어-동사의 수일치 등과 같은 몇몇 문법오류사항을 인식하여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성한 영어문장의 적절성에 대한 소수의 오류사항을 알려주고 있지만 영어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명사구성립의 적법성에 대한 오류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워드프로세서의 문장오류인식 프로세스에 명사구성립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더 나은 오류인식기능을 갖추도록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문장적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문장 내에 사용된 명사를 추적하여 해당 명사가 문장요소로 사용되기 위한 최소단위인 명사구성립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오류표기를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는 오류사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의 문장 적법성을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문장작성 능력 및 적절한 어법의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