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왕수인(王守仁)의 심학(心學)에서 식물(植物)과 광물(鑛物) 비유의 의의

        최재목 ( Jae Mok Choi ) 한국환경철학회 2011 환경철학 Vol.0 No.11

        흔히 왕수인(王守仁. 호는 陽明. 1472-1528)의 심학에서는 인간의 내면에 중점이 놓여 있어 생물에 대한 관심이 약화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이런 이유로 국내외의 학계에서도 왕수인의 심학이 생물이나 식물에 대해 어떤 관점과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별도로 논의한 적은 드물다. 그러나 실제로 왕수인의 저작을 통해서 보면 그는 식물, 광물과 같은 자연물에 대해서도 일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그것을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왕수인의 주저『전습록(傳習錄)』을 중심으로 초목과 같은 식물, 그리고 금(金)과 같은 광물에 대한 그의 관점이 어떠했으며, 그리고 그것이 어떤 방향에서 인용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구체적인 논의는 <식물을 매개로 한 사상 전개>, <초목 생장의 비유 - 윤리론, 수양·공부론의 모형 ->, <금의 순도 비유를 통한 인간 덕성의 설명> 순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왕수인은 초목과 같은 식물, 그리고 금(金)과 같은 광물에 대한 예를 주로 운용하면서 자신의 사상의 얼개를 짜거나 그 구체적 내용을 전개하고 있었다. 초목 생장의 비유를 통해서는 윤리론, 수양·공부론을, 금의 순도 비유를 통해서는 인간 덕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처럼 왕수인은 그의 사상을 전개하는 데서 나무와 풀과 같은 식물, 금과 같은 광물을 예로 들었다. 이것은 왕수인이 활동하던 당시 일상생활과 습속을 통해서 ``누구나가 인정하는`` 공인된 사물의 예를 통해 논의의 설득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 그가 자주 사용한 설명 방식이었다. 그의 이론 정립에서 자연만큼 큰 논거는 없었다. 그러나 그 자연은 의지나 힘을 가진 것이 아닌 가치중립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무한한 책임·사명감을 명확히 하게 된다. This study argue on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Here I try to suggest Wang Shouren how interests in plants and minerals related with his htoughts. It is easy to think Wang Shouren`(1472-1528) Sinxue is only focuses on the human mind, so we often did not pay attention to who or what he has interests in plants and minerals. But we can find out in his texts he actually has an interests in plants and minerals, that is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and description of his thoughts. Wang Shouren is actually citing the examples of a grass, trees and gold to explain and develop his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ethics. Perhaps at then a grass, trees and gold are universally recognized by anyone in china. This is a demonstration by the authority. For him, nature as like plants and minerals, was a mirror of human life and a large theoretical basis. So, he shall present human`s academic learning and life are basically based on principles of the nature. However, the nature does not have the power but only value-neutral. So he tried to suggest that human has the unlimited responsibility and mission for nature. Human must have a responsibility for maintaining and caring nature.

      • KCI등재

        王守仁의『大學』觀 硏究

        임홍태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왕수인 철학의 개념과 구조는 대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왕수인 심학의 체계성은 대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심⋅의⋅지⋅물이라는 네 가지 개념의 관계상에서 구축된 것으로, 「대학문」은 사구교와 마찬가지로 대학의 8조목 가운데 특히 심⋅의⋅지⋅물이라는 네 개의 개념을 체계로 하는 일련의 공부과정이다. 대학 공부론에 대한 왕수인의 사고를 더듬어보면, 초기의 격물 중심에서 성의에로, 다시 성의에서 치지로 그 공부방법이 바뀌어 감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사상의 심화과정이자 교학사상의 변화과정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는 또한 왕수인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이기도 하다. 왕수인은 초기에 주희의 격물론에 심취하여 내 마음 밖에서 이치를 구하는 방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외향적인 공부방법은 이후 용장오도를 통해 ‘심즉리’를 주창하면서 점차 내향적인 방법으로 전환하기에 이른다. 왕수인은 「대학문」에서 대학의 정심⋅성의⋅치지⋅격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심⋅의⋅지⋅물을 일물一物로, 정⋅성⋅치⋅격을 일사一事로 파악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격물 중심의 공부에서 성의 중심의 공부로, 다시 성의 중심의 공부에서 치지 중심의 공부로의 변화과정을 총괄하여 모든 공부의 합일을 주장하기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大學問」 이전과 「大學問」 이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왕수인의 대학관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각 과정에서의 공부의 중점은 어디에 있으며, 이는 왕수인사상의 변화과정 가운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왕수인의 대학관에 대한 전반적인 조명이 가능할 것이다. A general idea and the structure of Wangshouren's philosophy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Daxue. Systemicity of Wangshouren's Xinxue stand on the basis of a mind, intention, innate knowledge and things. 「Daxuewen」is a series of a process of gongfu. It stand on the basis of a mind, intention, innate knowledge and things, same as Four-Sentence Teaching. Wangshouren's gongfu theory of Daxuechanges from gewu to chengyi, from chengyi to zhizhi again. It is deepening of Wangshouren's philosophy and is the change of education. It is also that Wangshouren's gongfu theory internalize anything. He spent his younger life in pursuit of Zhuxi's gewu. Through a lecture of LongChang, Wangshouren's gongfu theory of Daxuechanges from extroversion to introversion According to Wangshouren' opinion, 「Daxuewen」is the tenet of the XinXue, same as Four-Sentence Teaching. This papers mainly emphases two points: one, to analyze the thinking system of Wangshouren's 「Daxuewen」, make a comparative study of befour「Daxuewen」and after「Daxuewen」. another, through this work we can understand thoroughly Wangshouren's viewpoint of Daxue.

      • KCI등재

        왕수인이 제시한 마음공부의 도덕교육적 해석

        김민재(Kim, Min-Jae)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들에 기술된 왕수인 사상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가 제시했던 마음공부의 강령들을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작업들을 통해 도덕교육에서 양명학이 지니는 가치에 대해 드러낼 것이다. ①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과 『윤리와 사상』 교과서 내에 기술된 왕수인의 사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사상이 정형화된 배경을 추측하였다. 현행 『윤리와 사상』 교과서들은 5종에 이르는데, 모두 왕수인 사상과 주희 사상의 대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심즉리⋅치양지⋅지행합일의 소개에만 내용을 할애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근본적으로는 교과서 집필의 보수성 때문이고, 이로 인해 양명학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석들이 제대로 유입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②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왕수인이 설파했던 여러 개념들을 도덕교육의 관점과 결부시켜 마음공부의 강령으로 표현하였는데, 첫 번째는 ‘자신이 본래부터 소유한 주체성과 도덕심을 믿으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내 마음의 도덕심이 사사로움과 물욕에 가리지 않도록 언제나 그리고 철저히 공부하라.’는 것이며, 세 번째는 ‘내 마음의 도덕심을 믿고 실천하되, 악념은 떠올리기만 해도 그릇된 것임을 명심하라. 그리고 나를 둘러싼 존재들의 고통을 느끼기 위해 노력하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마음공부의 강령들이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 원리 등에 있어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도 밝혔다. ③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왕수인이 제시한 마음공부가 도덕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와 관련해, ‘입지의 도덕 수업’, ‘정좌의 도덕 수업’, ‘치양지의 도덕 수업’이라는 3단계로 구분하여 시론적인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도덕 수업 단계에서 유의해야 할 측면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Wang Shouren´s thoughts contain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nd textbook of 『Ethics and Thoughts』 and also to interpret codes of mind study suggested by him in the perspective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value of the philosophy of Yang-Ming studies in moral education would be revealed.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Wang Shouren´s thoughts contain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nd textbook of 『Ethics and Thoughts』. Next, this study expressed many concepts emphasized by Wang Shouren into codes of mind study by connecting them with the perspective of moral education. First, it is to ‘believe your original independence and moral mind’. Second, it is to ‘thoroughly train yourself all the time, so that your moral mind is not hidden by greed’. Third, ‘on top of believing/practicing your moral mind,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just thinking of bad thoughts itself is something wrong. Also you should try to feel pains of beings around you’. This study also revealed the implications of such codes of mind study for the goal, direction, and principle of moral education. La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lication of Wang Shouren´s mind study to moral education in the exploratory level by dividing it into a few stages.

      • KCI등재

        왕수인 심즉리의 현상학적 의미

        양선진(Yang, Sun-Ji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후설은 자신의 명제인 사태 그 자체로 가자고 했지만 인간의 인위적 기획에 따라서 인간의 몸이 배재된 의식이 세계를 구성했다면, 반면에 메를로-뽕띠는 외부 세계의 의미를 부여하는 의식은 신체 없는 의식이 아니라 신체를 가진 의식, 즉 몸의 의식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신체를 가진 의식을 인정해야 외부 세계의 사태를 정확히 그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양철학에서 인간의 심신은 형이상학적 요소인 혼과 형이하학적 요소인백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동양철학에서는 정신을 배제한 신체란 불가능하며 신체를 배제한 정신 또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몸의 철학은 바로 서양철학이 아니라 동양철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동양철학은 인간과 자연의 분리불가능한 하나라는 일원론이다. 따라서 인간이란 자연을 떠나서는 존재론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존재이며 신체와 정신과의 관계도 분리될 수 없는 기로서의 몸의 일원론이다. 현상학의 중심적인 개념인 지향성(Intentionalität)에서 의식이란 항상 무엇인가의 의식이라는 것, 즉 의식 주체(Cogito)는 의식대상(Cogitatum)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후설의 현상학은 칸트의 구성주의 철학처럼 주어진 것보다 더 많이 생각함으로써 현상학의 명제인 사태자체에서 멀어지게 된다. 주희의 입장은 인간의 의식이 인식하기 전에 사물의 이치인 리의 선재성을 강조한 표현이라면, 왕수인은 사물의 이치란 인간의 인식과의 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현상학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 주희의 철학은 인식주관을 초월한 존재원리이자 당위원리로서의 리를 상정한다. 반면에 왕수인은 인간의 마음은 이미 외부 사물과 지향적 관계에 있는 마음이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과 외부 사물을 나눠서 구분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주희의 사물 속에 이치가 내재해있다는 격물론을 비판한다. 왕수인에게 인간의 마음은 이미 외부 사물과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은 외부 사물과 지향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왕수인의 심즉리에서 리는 인간 의식을 초월한 선험적이며 외재적인 리가 아니라 인간의 마음이 외부 세계와 끊임없는 관계 속에 살아있는 지향성의 세계를 의미한다. 왕수인의 경우에는 주희의 격물설과 달리, 인간의 의식은 세계와 끊임없는 관계 속에 있는 것이지 판단중지를 통해 생활 세계를 배제한 초월 세계를 상정하는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을 거치지 않는다. 왕수인은 인간 의식에서 벗어나서 외부 사물에 나아가는 방법이 아닌 인간 의식 속에 내재된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수정하면서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왕수인의 현상학은 인간의 윤리적인 마음의 상태를 악에서 선으로 이행하도록 인도하는 윤리적 현상학을 의미한다. Husserl’s phenomenology proposition is away from the situation itself by thinking more than given as a constructivist philosophy of Kant. Chu-Hsi argues for a pre-existing principle of things before human recognition, whereas Wang Shouren has a phenomenological attitude that the principle of things is possible only in the relationship with human perception. Chu-Hsi’s philosophy assumes the existence of Li(理) as a principle both of existence and of value that transcends subjective awareness, whereas Wang Shouren think that it can not distinguish the human mind and the external things, because the human mind are already oriented relationship with external things. Wang Shouren criticizes Chu-Hsi’s the idea of principle in things. According to Wang Shouren’s idea, The human mind has formed an oriented structure with external things. He does not refer to the a priori and extrinsic Li(理) constantly transcending human consciousness but refers of the human mind to be constantly in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Human consciousness is in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t is not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duction excluding the living world Wang Shouren’s phenomenology proposition refers to the ethical attitude that leads from the evil to the good. In this sense, It is called the really ethical phenomenology.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전수연 ( Jeon Su-yeon ),김민재 ( Kim Min-jae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 (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 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 KCI등재

        명(名)과 호(號)를 통해서 본 왕양명(王陽明)

        崔在穆 ( Choi Jae-m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8 No.-

        이 논문은 名과 號 등의 별명을 통해서 陽明 王守仁(1472~1528)(이하 왕양명)이라는 인물과 그의 사상적 성향을 재검토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문학에서는 문학가의 작품 자체에 주목하는 작품론과 그 작품을 만들어 낸 작가에 주목하는 작가론이 있다. 이렇듯, 왕양명의 경우에도 그가 남긴 ‘자료(학술 자체)’를 검토하는 방향이 있고, 다음으로 왕양명이라는 ‘사람(사상가 자신)’을 살펴보는 방향이 있을 수 있다. 후자에 주목하는 경우에는 보통 삶(=생애)을 살피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왕양명의 名(초명 포함)과 별명인 ‘字’, ‘號’, 諡號에 주목하여 그의 인물과 사상적 성향을 재검토하는 방식으로 양명학을 또 다른 측면을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왕양명의 생애라는 역사적 사실만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상적 특징이 그의 이름과 호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 점을 집중적으로 다룬 적이 없다. 이름과 호에 숨은 왕양명이라는 인물과 그 사상적 성향을 밝힘으로써 학문적 체계내의 논리를 넘어서는 왕양명의 은유적 면모를 새롭게 조명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논문에서는 왕양명의 인물과 그 사상적 성향을 ‘이름’[=初名과 名(본명)] 또는 별명이나 호[=字, 號, 諡號]에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서 왕양명의 傳記를 배경으로 하되, 다양한 해석을 곁들여 평이하게 풀이하는 식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 논문의 서술은 <출생배경 및 지역적 특성>, <초명, ‘雲’ >, <본명, ‘守仁’>, <字, 伯安>, <號, 陽明>, <諡號, 文成公> 순서로 서술되었다. 그래서 왕양명의 초명-본명-자-호-시호에는 각각 그의 성격, 사상적 지향점 등이 잘 은유되거나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들은 그의 인물됨뿐만 아니라 철학사상의 전개에 하나의 배경음으로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person named Wang Shouren (hereafter Wang Yangming) and his ideological tendencies through name and nicknames. In literature, there is a two methode that pays attention to the work of the writer itself and the author who created the work. As such, in the case of Wang Yang-myeong, there may be a direction to examine the ‘data (scholarship itself)’ he left behind, and then there may be a direction to examine the ‘person (the thinker himself)’ named Wang Yangming.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latter, it is common to look at life. So far, research on Wang Yangming has not focused on his name and nicknames. However, by this study we able to revealing the character of Wang Yangming and his ideological tendencies hidden in his name and title. So, I think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hed new light on the metaphorical aspect of Wang Yangming that goes beyond the logic within the academic system. In this study, I will describe Wang Yangming's name immediately after birth(初名), his real name(本名=名), his name after becoming an adult(字), his pen name(號), and his nickname given by the king after his death(諡號). And to help understanding, based on the biography of Wang Yangming, various interpretations will be added and explained in a plain manner. I think that Wang Yangming's name and nicknames not only express his character, but also act as a background sound that determines the development of his philosophical thought.

      • KCI등재

        양명 사구교 해석을 둘러싼 본체⋅공부 논쟁의 전개과정 - ‘무선무악심지체’ 해석을 중심으로

        임홍태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28

        왕수인이 말년에 제출한 사구교는 왕문의 일대 공안이었을 뿐만 아니라, 왕학 분파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왕수인 사후에 왕학은 사구교의 해석을 둘러싸고 분화한다. 그 중 왕기를 중심으로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는 일련의 학자들이 나타나게 되니, 이들은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여 상대적으로 공부에 대해서는 등한시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명말 학술계의 병폐에 대하여 일련의 학자들은 왕학말류가 주장하는 ‘무선무악’에서 그 단서를 찾고 있었으니, 이는 자연스럽게 왕수인의 사구교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왕수인의 사구교를 계승 발전시킨 왕기의 사무설을 둘러싸고 이를 지지하는 학자와 이를 비판하는 학자 간의 논쟁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마침내 심체의 ‘무선무악’에 관한 문제는 명말 사상계에 있어서 핵심논제로 자리잡게 된다. 당시 왕학말류의 폐단이 극심했던 시기에 허부원과 고헌성은 성선설의 입장에서 심체의 무선무악 문제에 대해 격렬하게 반론을 펼쳐 왕학후학의 폐단을 극복하려 하였다. 이후 유종주는 사구교 자체가 양명의 사상이 아니고 왕기의 사상이라고까지 하였다. 유종주의 제자인 황종희는 {명유학안}을 통해 비록 사구교가 왕수인의 견해라고 인정하면서도 이에 대해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왕기의 사무설에 대해서는 항상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그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러한 폐단의 원인을 직접 양명사상 자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 KCI등재

        왕수인 치양지(致良知) 사상에서 본 ‘아동 교육론’ : ‘선천적 앎’에서 ‘체인(體認)된 앎’으로

        김준승(Kim, Jun-Seu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치양지(致良知) 사상을 고찰하여, 아동 교육론에서 인간에게 품부된 양지가 각자의 경험과 실천 속에 성장하며 궁극적으로 ‘체인(體認)된 앎’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다. 왕수인의 양지론은 모든 사람에게 가치를 부여하며 가능성을 만들어 주었다. 그 양지는 모든 이들에게 획일성이 아닌 자신의 주체성을 심어주며 성인의 개념을 넓혀 놓았다. 왕수인이 말하는 세계는 바로 실천 철학으로서 자신이 마음과 몸(心身)을 통해 경험한 것을 스스로 해석하는 주관의 세계이기에 체인은 양지의 지극한 실천을 통해 실현되며, 그것은 주위 환경을 고려한 객관자를 포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아동 교육은 어떠한 경험과 체득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가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왕수인의 사상에 등장하는 ‘지’ 개념을 분석해보고, 왕수인이 양지를 있는 그대로 완벽하다고 한 부분과 치양지를 언급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왕수인의 아동 교육론에서 체인 위주의 수업을 통해 주체적 자율적 능동적인 존재로서 양지를 실현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아동 교육론 속에 아이들의 양지의 실현[致良知]의 장(場)을 적극적으로 만들기 위한 환경과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emplate about the thought of Chiyangzhi (致良知) to study about the process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in which the innate “Liangzhi (良知, innate knowledge of the good)” is nurtured through a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practices to eventually reach the state of “Ti-ren (體認, learned knowledge)”. The theory of Liangzhi by Wang Yangming granted value to each and every person and created possibilities. The theory of Liangzhi (良知) broadened the notion of adulthood by instilling everyone, not with uniformity, but rather with their own independence. As the world that Wang Yangming refers to is the world of subjectivity, in which one interprets one’s own experiences gained through one’s mind and body (心身) as a part of the philosophy of practice. “Ti-ren (體認)” is realized through the utmost practice, and the realization comes in a way that includes the objective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kind of experiences and methods of learning compose the child education, as it takes place in one of the crucial periods of one’s life. Therefore, this study has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notion of “Zhi (知)” in Wang Yangming’s ideas and examined where he referred to “Liangzhi (良知) as being perfect as it is” and where “Chiyangzhi (致良知)” have been mentioned; Second,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proposed by Wang Yangming, the study examined the learners’ realization of Liangzhi (良知) as the independent, autonomous, and active beings through the lessons centered around “Ti-ren (體認)”; Finally,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the study looked at the environment and educators’ roles for the active creation of the place (場) for the children’s realization of Liangzhi (良知), in other words, Chiyangzhi (致良知).

      • KCI등재

        王守仁과 曺植의 知行合一의 실천적 성격연구

        박종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陽明 王守仁, 1472~1528) and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mmon elements in a discipline way of the concept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The extreme reflection means that the discipline way that controls oneself strictly to preserve conscience and resist private greed. The various and individual desires can be inclined to break the operation of the conscience. The extreme reflection of Wang, Soo-In was a way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and the extreme reflection of Jo, Sik was a way of defeating the greed and preserving the divine principle. Wang, Soo-In attempted to achieve the extreme knowledge of conscience through the method of the extrem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the main structure of mind. Jo, Sik suggested a method of studying 'the loyalty of reverence'. The loyalty of reverenc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can be achieved by the reverence through the extreme reflection from reverence by training into mindfor 'the control human greed and seeking of divine principles'. Both of Wang, Soo-In and Jo, Sik had suggested the extreme reflection as a wa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onfucianism. And it shows the common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Yang Myung-knowledge. In addition, their studies of both can lead to a practical and existential direction. Although Wang, Soo-In and Jo, Sik have different backgrounds of study such as the Yang Myung-knowledg and Neo-Confucianism, they have commonalities of the extreme reflection. These commonalities not on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but also inspect and find out and remove the elements that are about to flow into the evil. They were worth comparing as the value of humanities in the meaning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in their thoughts. 본고는 양명 왕수인(陽明 王守仁, 1472~1528)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지행합일의 실천적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왕수인과 조식이 ‘省察克治’라는 개념의 수양법을 사용하는 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省察克治’는 자신을 엄격히 다스려 良心을 보존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물리치는 수양법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 마음속에는 양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욕망과 사심이 용솟음치면서 양심의 활동을 훼방하고 있다. 왕수인의 省察克治는 良知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고, 조식의 省察克治는 人欲을 물리치고, 天理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었다. 즉, 왕수인은 본래 가지고 있는 心의 본체인 良知를 외부로 실현하는 과정에서 성찰극치라는 방법을 통해 致良知를 이루고자 했으며, 조식은 遏人欲存天理를 위한 내면의 敬공부에서 비롯하여 성찰극치 하여 敬을 지극히 한 후 義로써 知行合一하는 敬義 공부 방법을 제시하였다. 兩者는 儒學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省察克治를 제시하여 성리학과 양명학의 접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의 공부는 실천적이면서도 실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왕수인과 조식이 陽明學과 性理學이라는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공통점을 드러내는 점은 인문정신의 실천적 함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일에 흐르려고 하거나 惡에 빠지려고 하는 요소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뿌리째 뽑아내어 제거하려는 ‘성찰극치’에 있어 상호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왕수인(王守仁)과 대진(戴震)의 중화론(中和論) 비교 연구

        정빈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4 No.-

        신유학적 중화론은 정감과 욕구의 조절을 통한 도덕적 삶의 구현을 목표 로 삼는다. 본문은 왕수인과 대진 중화론의 주체와 내용을 고찰하며, 양자의 내적 차이와 외적 공통점을 비교한다. 왕수인은 내적 정감과 도덕 실천을 ‘체용일원’으로 보는 중화론을 제창한다. 그의 중화론은 피지배층을 도덕적 실천의 주체로 인정하 고 그들의 욕구와 정감을 다스리려는 목적을 가진다. 대진은 주희와 왕수인의 중화 론을 내면에 치우친 독단으로 본다. 그는 중화론의 내용을 내적 정감의 조화에서 외적 존재자들의 정위로 재정의하여, 사회구성원들이 갖는 욕구의 소통과 조화를 도모한다. 중화의 주체와 방향성에 있어 나타나는 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왕수인 과 대진의 중화론이 갖는 외적 공통점은 일원성과 개별성, 일상성이라는 키워드로 요약된다. 양자의 중화론이 외적 공통점을 드러내는 요인은 각자의 시대가 겪은 공 통적 상황에 대한 응전에 있으며, 둘의 관계는 단순한 대립만이 아닌 시대적 변화 에 따른 비판적 계승의 측면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