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신현승 ( Shin Hyun-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중국 명청시기 유교 학술공동체로서의 서원과 강학 네트워크는 획일적 같음을 지양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함께 학술과 정치를 자유롭게 논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중국 명대 중기부터 본격화된 서원과 강학 제도의 발전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담약수(湛若水, 1466-1560)와 왕수인(王守仁, 1472-1529) 등 양명심학(陽明心學) 계열의 학자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또 명대 말기 양명학 진영에서의 활발한 학술 논쟁과 여러 학술 유파의 등장에 관해서도 이 둘의 존재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확실히 명대 중기 이후 서원 강학의 제도화에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역시 양명학파, 즉 왕수인과 그의 제자들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양명학 좌파)과의 격렬한 학술 논쟁을 전개한 주자학 계열의 동림학파 및 주자학·양명학의 절충과 융합을 시도한 즙산학파의 유종주를 빼놓고서도 명말청초의 중국 유교사상사를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논고는 중국 전근대의 서원과 강학의 전통을 연구범위의 시야에 넣으면서 명대 말기에 이르러 활화산처럼 흥성한 서원과 결사 및 강학의 유교 학술적, 정치적 양상 등에 관하여 동아시아 전근대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국 송명대 서원과 강학의 제 양상에 관하여 유교 학술공동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대의 서원과 강학의 양상이 어떠했는지, 또 명대 서원의 존재 의미 및 강학의 주요 내용인 유교적 학술 담론과 현실 정치적 담론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에 더해 명대 말기 주요한 학술·정치 네크워크로서 동림학파와 소동림(小東林)이라는 불리는 복사(復社)의 전개 양상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cademies as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Networks during the period of Ming and Qing, China did not aim at the uniform sameness. Rather, they freely discussed studies and politics altogether.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cadem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which became earnest since the mid-Ming Dynasty of China, it is no doubt that we cannot skip the figures in the lin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like Zhan Ruoshui (1466-1560) and Wang Shouren (1472-1529).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mention the two persons either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active academic debates and various academic schools from the camp of Yangmingism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Definitely, those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ademy since the mid-Ming Dynasty was Yangming School, that is, Wang Shouren and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f Chin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and the early Qing period without Donglin School in the line of Zhuxiism, who actively developed fierce academic debates with them (Left-wing of Yangmingism)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who attempted the compromise and fusion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fucia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academy, incorpo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lourish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late Ming Dynasty as an example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during the pre-modern times in East Asia, putting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s during the pre-modern times of China into the scope of research. Thus, this study recognized all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Song and Ming Dynasties, in terms of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Ming Dynasty and the raison d'etre of the academy during the Ming Dynasty and Confucian academic discourse and the real political discourses,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Donglin School as an important academic and political network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Fushe, which is also called Xiaodonglin.

      • KCI등재

        일반 : 명대(明代) 말기(末期)의 유교(儒敎) 강학(講學)과 유종주(劉宗周)의 강학(講學) 활동

        신현승 ( Hyun Seung Sh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이 논고는 중국 明代 末期 講學의 다양한 양상을 시야에 넣으면서 이 시기에 활동한 즙山 劉宗周(1578~1645)의 유교 講學 활동에 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劉宗周 자신의 학문 발전단계 및 講學 시기를 초기와 중후기로 나누고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劉宗周가 陽明學 좌파의 이론을 배제하면서 ‘주자학·양명학 절충론’이라는 학문세계를 어떻게 구축하게 되었는지, 또 그 자신의 그와 같은 학문세계 구축의 토양을 講學 활동 참가 및 지역의 학술교류라는 시점으로부터 생각해 보았다. 講學 시기 劉宗周의 활동 양상과 인적 네트워크 혹은 학술 네트워크는 후대 즙山學派를 형성케 해준 하나의 계기가 된 것만은 사실이다. 또 명말청초기 劉宗周 후학들이 江南 浙東學派의 연원 및 계보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문제의식을 양성한 토양으로서 劉宗周의 講學 활동을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우선 明代 末期의 유교 講學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미리 살펴보고, 劉宗周의 講學 시기를 초기(1604년 전후)와 중기(1622년 전후) 및 후기(161년 전후)로 나누어 초기(東林書院 시기)와 중기(首善書院 시기)에서의 講學 참가 경험과 제 양상 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후기의 證人書院 시기를 다루면서 그 講學의 제 양상과 증인서원의 두 주역 劉宗周와 陶奭齡의 학문적 성향, 그리고 그와 같은 학술적 경향에 따른 최후의 결별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aimed to revie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by Jishan Liu Zongzhou (1578~1645) active in this period. In other words, it divided the stages of his own academic develop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middle and later stages and inquired into each stage. Through this, it inquired into how Liu Zongzhou constructed an academic world of ‘a compromise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excluding the theory of the left wing of Yangmingism and the soil for him to build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cal academic exchange. It is true that, during hi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at least, the aspects of Liu Zongzhou’s activities and social or academic network were an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formation of the Jishan School to posterit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Liu Zongzhou as the soil that cultivated a critical mind in Liu Zongzhou’s younger students so that they can secure legitimacy of the origin and genealogy of the Jiangnan Zhedong School during the Mingmo-Qingchu period. Thus, this study, first, inquired into ho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developed in the late Ming dynasty, divided Liu Zongzhou’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stage (around 1604), middle (around 1622) and the later part (around 1631) and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and various aspects in the early stage (Donglin Academy period) and the middle stage (Shoushan Academy period). Then, dealing with the Zhengren Academy period in the later stage, it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its teaching and learning, academic tendencies of two leading figures, Liu Zongzhou and Tao Shiling of Zhengren Academy and the process of their final breakup due to such academic trends.

      • KCI등재

        명대 말기 유종주와 동림당 사건에 관한 일고찰

        신현승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이 논문에서 다루는 명대 말기의 유학자 유종주(劉宗周, 1578-1645)는 그의 제 자 황종희(黃宗羲)의 명유학안(明儒學案)에 의해 양명학파로 분류되었지만, 실상 은 주자학적 경향과 양명학적 경향이 모두 엿보이는 유학자였다. 따라서 단순히 황종희의 주장에 근거하여 양명학자로 단정 짓기에는 부적절하다. 그것은 유종주 가 보인 주자학 계열의 동림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동림파 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취했으며, 심지어는 적극적으로 그들의 주 장을 옹호하고 지지하는 당대의 명망 있는 유학자였기 때문이다. 동림파는 송대 강소성 무석(無錫)에 건립된 동림서원이 그 기원이며, 명대 말기에 이르러 고헌성 (顧憲成, 1550-1612)과 고윤성(顧允成) 형제 및 고반룡(高攀龍, 1562-1626) 등에 의 해 개축되었다. 그로부터 이 서원을 중심으로 당시의 유교 지식인들이 끊임없이 모여들었는데, 이곳에서는 유교적 학술 및 정치적 비판 담론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명대의 조정에서는 이들을 위험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고, 마 침내는 정치적 탄압이 시작되어 그 유명한 동림당 사건이 발발한다. 따라서 이 논 고에서는 주자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지역의 여론과 정치적 의견을 과감히 피력한 동림파 인사 및 동림당 사건에 관하여 황종희에 의해 양명학자로 분류된 유종주의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 양상이었는지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즉 당시 유종주가 동림파 인사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취했는지에 관하여 일련의 동림당 사건, 더 구체적으로는 ‘이삼재(李三才) 사건’에 근거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또 여타 동 림파 인사와의 적극적 교유에 의한 결과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어서 또 다 른 동림당 사건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는 ‘강웅(姜熊)의 옥(獄)’과 관련하여 그 전개 양상 및 유종주의 인식과 태도가 어떠했는지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Late Ming Dynasty Confucian scholar Liu Zongzhou(1578-1645) dealt in this study was classified as a Yangmingist by his disciple Huang Zongxi’s Records of Ming Scholars, but in fact, he was a Confucian scholar who had both Zhuxiist tendency and Yangmingist tendency. Thus, it is inappropriate to define him a Yangmingist simply based on Huang Zongxi’s opinion. That is shown well in Liu Zongzhou’s recognition and attitude to Zhuxiist Donglin School, for he took very posi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Donglin School, and he was a renowned Confucian scholar of the times, who even advocated and supported their arguments. Donglin School was originated in Donglin Academy established in Jiangsu Wuxi during the Song Dynasty, and entering the Late Ming Dynasty, it was remodeled by the Gu Brothers, Gu Xiancheng(1550-1612) and Gu Yuncheng and Gao Panlong(1562-1626). Since then, the then Confucian intellectuals continuously gathered in this Academy, where there were active discourses for Confucian studies and political criticism. Accordingly, the Royal Court of the Ming Dynasty could not but look at them as dangerous forces, and finally, political suppression began, so the famous Donglin Party incident took place. Thus,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Liu Zongzhou, classified as a Yangmingist by Huang Zongxi toward the people in Donglin School, who boldly expressed local opinions and political opinions focusing on Zhuxiist discourses and the Donglin Party incid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Liu Zongzhou’s recognition and attitude to the people in Donglin School, based on a series of Donglin Party incidents, more concretely, ‘Li Sancai Incident.’ Also, the consequences of the active social intercourses with the other people in Donglin School were analyzed.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Jiang Xiong’s Prison’ recorded as another incident of Donglin Party and Liu Zongzhou’s recognition and attitude to that.

      • KCI등재

        论冯梦龙“三言”中自然良知的近代化转变

        장정,권현준,왕호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1 No.-

        “三言”作为中国文学史上一座白话短篇小说集的丰碑,兼收并蓄、多元杂糅地表现了晚明时期中国近代化转变中的社会生活和人们的思想感情;其描绘的世情风貌中蕴含着本乎天性的慕色之情、发自肺腑的不忍之心、忠于内心的赤诚之心、面向实际的坦率之心和超越尊卑的平等之心;普通人不再盲从理法和礼教的规训,而以自己朴素的“良知”来区分善恶美丑。这种主体意识的觉醒具有近代精神的意味,其鲜明的主体性、个体性、世俗化、平等意识、民主萌芽、朴实博爱,无不呈现出晚明社会向近代转变的历史大势;也以文学文本的丰富生动确证着中国近代化转变的内发原生性及其中庸、浑融和弹性的民族特色。而“三言”的编撰者冯梦龙则在阳明心学“心即理”、“致良知”打开的主体性空间中,以“情教”和“通俗”带给这个世界以新市民的新认知、新价值以及体验个体生命的“情”的新方式;从底层一点点转化着世人的思想观念,推进着文化土壤的质地更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