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의 소통과 교양의 형성

        송효섭(Song Hyo sup)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이 글은 독자의 교양 형성에 실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고전문학의 독해 방식이 무엇인지를 소통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특히 그간 한국고전문학 독해를 지배했던 알레고리적 소통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시적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전의 독해를 축자적 독해, 수용적 독해, 반성적 독해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퍼스가 말한 삼항성의 범주로 해석함으로써, 이들 독해의 과정이 일종의 세미오시스의 기호작용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이들 독해가 각각 독자적인 독해 방식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독해의 행위 안에서 지향성을 통해 진행되는 일정한 과정 안에 존재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 글은 야콥슨이 말한 소통의 여섯 가지 요소 가운데, 발신자, 수신자, 콘텍스트가 초월적 기원으로 작용하는 알레고리적 소통이 수용적 독해에 머무는 반면, 소통에 참여하는 모든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추론되는 시적 소통은 반성적 독해에 이르게 됨을 밝힘으로써, 이러한 과정 안에서 일어나는 신화화와 탈신화화에 주목하였다. 한국고전문학의 독해가 교양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단순한 수용적 독해로부터 발생한 신화에 대한 탈신화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것이 텍스트의 시적 소통에 이르러야만 달성될 수 있음을 이 글에서 분명히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how we have to rea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order to cultivate ourselves. Especially, calling into the question about the allegorical communication hitherto having dominated the reading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 suggests the poetic communic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ading. By classifying the reading of Classics as literal reading, receptive reading and reflexive reading, and interpreting them as Peircean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respectively, I show that they construct the signifying process that is called semiosis. It means that they exist not by themselves in respect but exist as actual progressive stages in the act of reading. While the allegorical communication, where sender, receiver and context become transcendental origin, raises only the receptive reading, the poetic communication, where signification happens by diverse interactions among every elements participating in communication, raises the reflexive reading. In this article, I focus on the mythologization and the demythologization that came from these two readings, and make clear that, for self-cultivation through rea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yths that came from receptive reading have to be demythologized by reflexive reading in poetic communication.

      • KCI등재

        한문고전 독해(讀解)와 표점(標點) -감단지보(邯鄲之步)와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사이-

        진재교 ( Jay Kyo Jin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標點은 어떠한 경우라도 훌륭한 고전 번역을 넘어서지 못한다. 표점은 근대 이후 중국이 자국의 고전 문헌을 독해하기 위하여 주목한 방식이다. 일본의 경우, 그들은 한문을 독해하기 위하여 우리가 고안한 구결을 원용하였지만, 구결과 언해로 한문을 독해하는 우리 전통과 사뭇 다르다. 근대 이후 중국은 표점의 방식으로, 일본은 전통적인 훈독으로 우리는 번역을 통해 한문을 독해하였다. 우리의 경우 한문 고전을 번역하였다. 현재 우리는 한글 전용의 어문체계로 어문생활을 하고 있다. 한문고전 번역은 다중의 독자를 위하여 한글로의 전환이 우선이며 여기에 치중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표점과 번역은 상호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은 아니다. 표점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번역을 하지 못한 것이라는 논법은 성립하지 않는다. 표점은 번역에 비해 부수적이다. 전통적인 한문 독해 방식의 고려 없이, 근대 이후 중국에서 정립한 표점을 수용하는 인식과 자세는 문제다. 우리는 타자의 학술적 전통과 현실적 요구에서 나온 것을 단순히 수용하여 이를 확대할 것이 아니라, 주체의 학술 전통을 진지하게 되돌아보고, 그 전통의 자양분 위에서 한문 고전을 지금 실정에 맞게 번역하는 것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 안의 학술 전통에서 나온 다양한 한문 독해 방식을 고민하지 않고, 기능적 차원이나 현실적 당위성에만 강박되거나, 저 거대한 타자의 의도를 고민하지 않은 채, 단지 효율성과 기능을 앞세워 표점과 중국식 표점을 전면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邯鄲之步에 지나지 않는다. The so-called "marking system" is not better than the excellent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every possible case. "Marking system" as a way received attention from Chinese scholars when they tried to read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rom the modern times. In Japan, even though Japanese scholars quoted "Gugyeol" when they tried to read Chinese classics, their way is quite different from our Korean tradition, which has used "Gugyeol" and "Enhay"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when annotating Chinese classics. Since the modern times, Chinese scholars have read Chinese classics with "marking system", Japanese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he traditional "ideographical system", and our Korean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ranslations". We, Korean, have translated the classic Chinese literature into Korean. We live now in the era of exclusive use of "Hangul (Korean alphabet)" in both the written and the spoken language. Thus, our goal of the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have to give a priority to translate them into Hangul for many readers. As a result, we do not restrict our goal just to accept other`s academic tradition and the practical demands and expand the value of them. However, we earnestly review our academic tradition and under the flag of the heritage of our academic tradition, we have to focus on translat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the realistic context. Without considering our academic tradition derived from various ways of reading classical Chinese and without reconsidering the huge other`s desire, if we are swept along the practical usage and the realistic obligation and if we adopt "marking system" which is the reading style in China for the practical reason, this academic attitude is no more than what the maxim "Handanjibo(邯鄲之步)" says.

      • KCI등재

        한국 대학에서의 중국고전시가 교육방법

        주기평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2 No.-

        本考的目的是爲了在韓國大學內探討有效的中國古典詩歌敎育方法。 在本考中, 首先槪括了韓國中學的漢文敎育課程、 漢文課的地位、 漢文課本內漢詩分量等, 而且考察了這樣中學的漢文敎育的在大學中國古典詩歌敎育的影響。 韓國中學漢文敎育的重點原在于培養字句了解能力和鑑賞古典詩歌的兩方面。 可是由于成爲自由課、 萎縮學習分量、 針對高大等現實的限制, 只處于培養字句了解能力的階段, 沒達到鑑賞古典詩歌的方面。 所以大學中國古典詩歌敎育也受了那個影響, 沒進向更高級的、 專門的以爲文學學習的中國古典詩歌敎育。 所以在本考中首先提起了大學的中國古典詩歌敎育不但應該培養字句了解能力和鑑賞古典詩歌, 而且把能寫古典詩歌應該作爲?的目標。 然後爲了達到那個目標, 提示了能考慮的幾個具體的實行方案。

      • KCI등재

        《논어(論語)》를 통해 본 고전독해(古典讀解)의 한 방법론(方法論)-“미지(未知), 언득인(焉得仁)”구(句)를 일례(一例)로-

        홍광훈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1

        後人解讀古書, 談何容易? 其時代愈遠, 其難解愈甚. 故於同一古書, 後代注家之說互異者, 屢見不鮮. 如於《論語》公治長篇“未知, 焉得知”一句, 歷代注家各持異見, 聚訟紛?, 莫衷一是. 其中‘知’之一字, 鄭玄等兩漢以前學者, 均以智字讀之; 而何晏等魏晋以後學者, 則大率以後代之‘知’字解之. 竊謂: 以‘智’字讀之, 文理自然, 與其前後文脈絡貫通, 殊無問題. 而以‘知’字解之, 則文理不順, 亦與《論語》之語法體系, 有所??. 更有悖於孔子平日之言行, 未免斷章取義望文生訓之病. 其中朱熹等新儒家尤變本加?, ?欲自圓其說, 而借題發揮其理學理論, 與孔子本意愈遠矣. 有鑒於此, 本論文細考《論語》全書之敍述編輯體例與其語法, 以分析此句. 其方法則先由孔子之論人原則入手, 其次由《論語》之敍述編輯體例考察, 而後又論仁與知之關係, 最後由《論語》全書之語法體系考察之。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문 교육 진흥을 위한 독일의 라틴어와 한문 교육 사례 검토

        유명인 ( Myoung In Yu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수업 목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 교육이 전통의 계승과 인성의 계발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으나 이것만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들다. 문어라는 한문의 특성을 잘 살려 한문 교육에 실용성과 미래지향성을 부여해야만 한다. 한문 교육이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독해력 향상과 모국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유구한 한문 문학의 전통이 한국어 문학의 진흥에 필요한 비옥한 토양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문 교육의 목표가 단순히 한문의 습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위상정립에도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야 한다. 이런 방향으로 한문 교육의 기능을 강화하고 한문 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교육 방법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이 단지 전통의 寶庫만이 아니라 언어의 보고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언어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문법을 중심으로 한 수업 방법과 한문의 제이 외국어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문법의 정리를 위해서는 한국과 주변국에서 나온 성과뿐만 아니라 서구 중국학계에서 나온 성과도 함께 참고해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가 중요하다. 한문 교육의 미래지향적인 방향 설정을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학교의 라틴어 교육과 독일 대학의 고전 중국어 교육을 사례로 검토했다.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the Hanmu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 is an urgent need to question the purpose of the Hanmun curriculum. Hanmun education, as is widely held, is probably conducive to keeping tradition and developing personality, yet this is not enough to create a broad consensus about the need of learning Hanmun. Its nature as a written language will shed light on the fact that learning Hanmun is not only of practical use but also future-oriented. More emphasis must be put on the possibility that it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as well as other language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own native language. It must also be emphasized that the long tradition of Hanmun literature can provide a favourable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regard,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propagate the idea that the Hanmun education also aims at achieving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 the literary language. In order to strengthen these functions and reach a consensus of that type, of course,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Hanmun. Besides, the fact that Hanmun is a repository of language (resources) rather than one of the traditions will have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The traditional methods have reached their limit. In this respect,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lication of modern linguistic methods based on the grammar of Hanmun. Furthermore, it might be more adequate that students have an option to learn Hanmu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research results from Korea and her neighbours as well as from the field of sinolog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hould be consulted. The latter, amongst others,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to methodological innovation. In view of all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course of the Hanmun curriculum and makes suggestions to the effect by giving some examples from the Lati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n the college level in Germ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