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화 이산형 분포를 이용한 학습곡선의 모형화

        강민아,박만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학습현상은 2차 세계대전 이전에 항공 산업에서 항공기의 누적생산량 증가에 따라 항공기 당 직접노동시간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한다는 것이 Wright(1936)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어떤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 향상과 작업 절차 조정 및 사용 기계의 작업능력 향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학습곡선효과(learning-curve effects)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수형 변수가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경우 학습곡선 효과에 의해 발생건수가 특정한 형태로 줄어들고 변동성 역시 변화하는 자료를 적합하기 위해 일반화 포아송분포와 일반화 음이항분포를 고려한 학습곡선을 모형화 하고자 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형을 기존의 이산형 분포들(포아송분포, 음이항분포)과 비교하였다. 또한 실증연구를 통해 제안한 모형을 오렌지주스 캔 자료(Montgomery, 1991)에 적합하였다. The learning curve was first researched by Wright (1936), where direct work hour per aircraft decreased as a cumulative output per airplane increased in the aviation industry before World War 2. When a worker repeatedly performs a certain job, his production hour decreases. This phenomenon called ‘learning-curve effects’ results from the improvement of skill level of a worker and that of capacity for work by using machine. In this study, we propose modelling of learning-curve effects based on generalized Poisson distribution and generalize negative-binomial distribution in order to estimate both average number of events of interest and its variability. This paper examines features of our proposed models via simulation studies and real application.

      • 가산자료 회귀모형을 이용한 중소기업의 경영활동이 국내 특허등록건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용보증기금 기술평가 기업을 중심으로 -

        장홍진,홍승열,신지은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용보증기금에서 기술자산평가를 받은 중소기 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이 특허등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반응변수인 특허건수가 가산자료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그리고 일반화포 아송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특허건수는 자료의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대산 포가 존재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AIC로 평가한 결과 음이항 회귀모형과 일반화포아송 회귀모 형이 포아송 회귀모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이항 회귀모형과 일반화포아송 회귀모 형의 성능은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일반화포아송 회귀모형이 근소한 차이로 보다 우수했다. 일반화포아송 회귀분석결과 기술개발 조직이 전문화 되어 있으며, 기술개발 고급인력 비율이 높 을수록 그리고, 연구개발비용이 많을수록 특허등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영업현금흐름(EBITDA)은 특허등록과 음의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가산자료 회귀모형을 이용한 중소기업의 경영활동이 국내 특허등록건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용보증기금 기술평가 기업을 중심으로 -

        장홍진,홍승열,신지은 신용보증기금 2023 중소기업금융연구=Journal of SME finance Vol.4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mpany's activities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on patent registration for SMEs that received technology asset evaluation from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9. This study used poisson regress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patents, which are response variable is count data. In our case, the patent count data are highly overdispersed,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in AI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nd the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Model, but the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Model was superior with a slight difference. As a result of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the higher the ratio of high-quality personnel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higher the R&D cos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tent registration. On the other hand, operating cash flow(EBITDA)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tent registration.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용보증기금에서 기술자산평가를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이 특허등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반응변수인 특허건수가 가산자료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그리고 일반화포아송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특허건수는 자료의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대산포가 존재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AIC로 평가한 결과 음이항 회귀모형과 일반화포아송 회귀모형이 포아송 회귀모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이항 회귀모형과 일반화포아송 회귀모형의 성능은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일반화포아송 회귀모형이 근소한 차이로 보다 우수했다. . 일반화포아송 회귀분석결과 기술개발 조직이 전문화 되어 있으며, 기술개발 고급인력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연구개발비용이 많을수록 특허등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업현금흐름(EBITDA)은 특허등록과 음의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반향음과 잡음 환경을 고려한 실시간 소리 추적 시스템

        기창돈(Chang-don Kee),김강호(Ghang-ho Kim),이택진(Taik-ji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3

        소리를 이용한 위치 추적은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로 부터 마이크로폰 간의 신호 도달 시간차를 추정한 뒤 추정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소리의 발생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실내 환경에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잡음과 반향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제약이 따른다. 특히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계산의 효율성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 개의 저가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비용적인 측면과 계산량에서의 효율성을 모두 추구하였다. 네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간의 소리 도달 시간차를 구하는 계산량을 줄였고 GCC-PHAT(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강건성을 높였으며 iterative least square 방식을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Sound localization algorithm usually adapts three step process: sampling sound signals, estimating time difference of arrival between microphones, estimate location of sound source. To apply this process in indoor environment, sound localization algorithm must be strong enough against reverberant and noisy condition. Additionally, calculation efficiency must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real-time sound localization system. To implement real-time robust sound localization system we adapt four low cost condenser microphones which reduce the cost and total calculation load. And to get TDOA(Time Differences of Arrival) of microphones we adapt GCC-PHAT(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 which is robust algorithm to the reverberant and noise environment. The position of sound source was calculated by using iterative least square algorithm which produce highly accurate position data.

      • KCI등재

        코폴라를 이용한 이변량 일반화 음이항 모형에서 독립성에 대한 검정

        정병철,이동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2

        In this paper, we proposed a generalized bivariat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allowing negative dependence based on copula. In this model, we propose the score and LR tests for testing independence, and compare the efficiencies of the proposed tests using the Monte Carlo study. The Monte Carlo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score and LR tests prove to be efficient test for independence in the view of the significance level and power. However, the score test is easier to compute than the LR test and it shows slight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LR test, we suggest the use of score test for testing independence. In addition, an empirical example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음의 상관까지 허용하는 좀 더 일반적인 형태의 이변량 음이항 분포를 코폴라 함수를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아울러 이 분포에서 독립성에 대한 스코어 검정과 LR 검정을 유도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각 검정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스코어 검정과 LR 검정 모두 명목유의수준을 제대로 유지하고 검정력도 높게 나타나 독립성에 대한 효율적인 검정법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스코어 검정은 LR 검정에 비하여 계산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존재하고 LR 검정보다 약간 나은 효율을 보였으므로 독립성에 대한 검정에서 스코어 검정의 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불어 실제 사례에 두 검정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로절단된 이변량 일반화 포아송 분포에서 산포모수의 효과 및 산포의 동일성에 대한 검정

        이동희,정병철,Lee, Dong-Hee,Jung, Byoung-Cheol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제로절단된 이변량 일반화 포아송 분포에서 두 반응변수간 산포모수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두 반응변수가 서로 다른 산포를 갖는 경우 이를 무시하는 이변량 포아송 분포나 이변량 음이항 분포에 의한 모형적합은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이한 산포의 존재유무에 대한 가설검정에서 스코어 검정을 유도하고 우도비 검정과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spersion parameters between two response variables in zero-truncated bivariate generalized Poisson distributions. A Monte Carlo study shows that the zero-truncated bivariat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fit poorly wherein the zero-truncated bivariate count data has heterogeneous dispersion parameters on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we derive the score test for testing the equality of the dispersion parameters and compare its efficiency with the likelihood ratio test.

      • KCI등재

        자살테러 발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일반긴장요인과 상대적 박탈감 요인을 중심으로 -

        홍승표 ( Hong Seung Pyo )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자살테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살테러리스트 또는 자살테러 단체의 출신 국가와 소속 국가를 확인하여 출신국가와 미 출신국가의 사회적 지표를 비교한 뒤 일반긴장요인과 상대적 박탈감 요인을 중심으로 자살테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세계평화지수(GPI) 중 일반긴장요인과 상대적 박탈감 요인에 해당되는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자살테러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살테러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해당 국가의 정치적 테러수준, 국내분쟁으로 인한 사망자 지수, 군비 지출액 요인이 자살테러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테러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우선 정치적 테러와 관련하여 이념과 종교, 인종과 민족 등을 이유로 고문과 같은 정치적 테러를 금지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며, 군비 지출액을 줄이도록 노력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factors for influencing suicide terrorism. Specifically, comparing the social index of nations where the suicide terrorists or organizations are born and not born. Based on this comparison, I confirm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suicide terrorism.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n suicide attacks by setting variables corresponding to general tension and relative deprivation factors in the Global Peace Index (GPI).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vel of political terrorism in the country, the index of deaths from domestic conflicts and the amount of military spending affected the occurrence of suicide attacks. Based on these findings, a policy proposal was mad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icide attack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have institutional measures to ban political terrorism, such as torture, on the grounds of ideology, religion, race and ethnicity, in relation to political terrorism. In addition,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resolve domestic disputes in a peaceful manner rather than in violent ways, and efforts are needed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by trying to reduce military spending.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의 영향 요인 검증

        이승우,이정덕 한국치안행정학회 2016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의 가해와 피해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포함하여 해당 이론들 간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사이버불링 관련 기존의 연구들은 사이버불링에 대해 단편적인 이론들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있다. 그러나 범죄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의 산물이기에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기엔 한계가 존재하며, 또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계량적인 분석을 활용하여 접근하고 있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이버불링에 대해 보다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청소년 비행관련 범죄학 이론들인 사회유대이론 중 애착, 관여, 참여, 신념을, 일반긴장이론 중 부정적 감정을, 그리고 정책적 제언을 위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유무를 독립변인으로 포함하였다. 반면 종속변인은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고, 동시에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 학교폭력의 특성을 모두 포괄하는 사이버불링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사이버불링 가해와 피해의 두 가지 형태를 모두 포함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3)에서 실시한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인이 과도분산된 포와송분포를 띄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이항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으며, 해석상의 용이함을 위해 한계확률효과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은 부정적 감정이 많을수록, 사회유대요인들이 적을수록, 사이버불링 예방교육을 받지 않을수록 가해와 피해를 보다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사이버불링 가해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확대실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강화 등의 재고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2차 자료의 활용으로 인해 가해와 피해에 대한 시간적 우선성을 살펴보지 못했으며, 또한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사회학습이론을 포함하지 못했다. 그리고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변인이 단순히 유무로 구성된 하나의 변수로만 구성하여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ubstantial impact of existing criminological theories on cyberbullying of adolescent. the most existing studies related to cyberbullying have been verified by applying fragmentary theory. But, crime is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factors, and thus there is a limit for explaining it in just one theory. In addition, though the importance of cyber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this is the situation that quantitative access is nonexistent. In order to compensate the defect of previous studies and understand cyberbullying more widely, this study includes the factors of Attachment, Commitment, Involvement, Belief on a social bond theory, and Presentation of Negative Stimuli on a general strain theory, and Cyber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for policy proposal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up as victimization and offending experience of cyberbullying because of reflecting the feature of cyberbullying which overlaps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This study utilized a secondar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d examined the hypotheses using the method of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because dependent variable has a Possion’s distribution of overdispersion. Furthermore, the marginal effect was used to interpret the findings clea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such as more negative emotions, less social bond, and less cyber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cause the more experience on both victimization and offending of cyberbullying. Therefore, it should be needed that expansion of youth's anger management program and reinforcement of cyber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both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However, despite these meaningful finding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emporal order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was not considered due to the use of secondary data. Also, it did not include a social learning theory which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ies explaining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variable of Cyber Bullying Prevention has a limit on verify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it was measured in nominal variable.

      • KCI등재

        공간적 연관구조를 고려한 총범죄 자료 분석

        최정순,박만식,원유복,김학열,허태영,Choi, Jung-Soon,Park, Man-Sik,Won, Yu-Bok,Kim, Hag-Yeol,Heo, Tae-Young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2

        공간자료분석에서 공간적 상관성을 배제한 일반적인 회귀모형을 통한 모수 추정값들은 신뢰성의 문제가 지적 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자료의 상관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일변량 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베이지안 기법을 통하여 모수를 추정하고 공간상관성이 고려된 공간 가산자료모형과 고려되지 않은 일반 가산자료모형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의 25개 행정자치구별 총범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통하여 도시계획과 같은 국가 정책의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Reliability of the estimation is usually damaged in the situation where a linear regression model without spatial dependencies is employed to the spatial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in order to construct spatial association structures and estimate the parameters via the Bayesian approaches. Finally, we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the models with spatial effects and the ones without spatial effects. We analyzed the yearly total crime count data measured from each of 25 districts in Seoul, South Korea in 2007.

      • KCI등재

        인장 좌굴 현상을 수반하는 음의 포아송 효과를 가지는 구조물 해석을 위한 비선형 트러스 유한요소 모델

        김태완,김준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6 No.3

        본 논문에서는 인장 좌굴 현상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음의 포아송 효과를 가지는 구조물에 대한 분석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좌굴은 압축하중 하에서의 안정성 문제임에 반하여, 인장 좌굴은 인장에 의해 국소적으로 압축력이 생겨 발생하는 좌굴이다. 고전적인 좌굴에 비하여 비교적 최근의 연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인장 좌굴 현상을 에너지 관점에서 고찰하고, 해석을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을 가지는 비선형 트러스 유한요소의 정식화를 수행하였다. 비선형해석을 통해 후좌굴 거동을 분석하고 비틀림 스프링이 주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후좌굴 거동은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는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 스위치 등의 장치에 적용할 가능성을 보였다. 얻어진 결과들의 정확성 확인을 위하여 해석해와 상용 유한요소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개발된 유한요소 모델이 기초 설계에 유용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