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유 플랫폼 경제로 가는 길

        김예지,김애선,주강진,윤예지,신영섭,조명철,이민화,조산구 KCERN 2018 포럼보고서 Vol.- No.43

        1.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스타트업의 70%가 공유 플랫폼 경제를 표방하고 있을 정도로 4차 산업혁명 시대로 가는 변화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 2. 공유경제는 가치 창출에 중심을 두고 있는 Sharing Economy와 가치 분배에 초점을 둔 Shared Economy로 확산되고 있는데, 두 얼굴의 공유경제는 궁극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인터넷 2.0의 분산 공유 플랫폼에서 통합될 것임 3. 공유경제는 오프라인의 현실 세상에서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때문에 제한적이었던 반면, 온라인 세상에서 네트워크 효과와 거래비용(연결비용) 극소화로 인해 공유가 사회전체의 부를 창출하는 수단으로서 확산되고 있음 4. KCERN은 정보, 물질, 관계의 공유를 영리 혹은 비영리 목적에 따라 소비, 시장, 생산으로 분류하여 공유경제를 3*3*2 입체적 모델에 입각하여 정의내림 5. 공유경제를 뒷받침하는 하는 인프라는 플랫폼이며, 플랫폼 전체는 개방된 거버넌스하에서 상호경쟁하는 공유 플랫폼을 통해서 공진화하는 공유와 협력의 체계화된 공간이 될 것임 6. 가치 창출과 가치 분배가 지속적으로 선순환하는 관계가 공유경제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방향이며,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3대 국가 로드맵을 제시함 1) 정보의 공유: 공공 데이터 개방과 오픈소스 생태계 조성 2) 물질의 공유: 클라우드 활성화, 개인정보 활용 촉진, 공정 생태계 조성 3) 관계의 공유: 프로슈머 활성화, 긱 플랫폼 구축, 사회 안전망 구축 7. 공유플랫폼경제 국가 로드맵은 공유 플랫폼으로 자기 조직화하는 선순환 공유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나침반이 될 것임

      • [KCERN 57차 포럼 보고서]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

        유효상,김애선,주강진,윤예지,김예지,신수진,장상필,박귀주 KCERN 2019 포럼보고서 Vol.- No.57

        1. 55차 공개포럼의 유니콘 정책에 이어 57차 포럼은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함 2. 글로벌 선도기업과 유니콘 기업의 70%가 O2O 영역에서 탄생하며, 이는 유니콘 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미래 기업 모델의 전령사임을 의미함 3. 글로벌 유니콘의 비즈니스 패턴은 플랫폼 연결 서비스에서 인공지능 맞춤 서비스를 거쳐 커뮤니티화하는 3C(Communication, Curation, Community)의 구독 서비스로 진화 중임 4. 글로벌 유니콘은 기업의 프로세스를 분해하여 고객 중심으로 재융합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존재 이유가 가치사슬이 아닌 고객가치이기 때문임 5. KCERN은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로 Value-Price-Cost의 3개 컬럼(Column)의 순환 모델인 10 블록 비즈니스 모델과 유니콘 기술 구현 모델로 4단계 스마트 트랜스폼 모델을 제시함 6. 한편 벤처투자자 미팅을 통해 도출한 유니콘 투자 전략은 1) 클럽 딜이 아닌 리딩투자, 2) 확률 전략이 아닌 기댓값 전략, 3) 글로벌 경쟁을 통한 시장화, 4) 기업가정신 리더십 5) 해외판 모태펀드 6) 통제와 관료화 문제 극복 등임 7. 한국의 유니콘 3대 전략에 기반한 3대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 8. 첫 번째, 「카피타이거 전략」으로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 연구, 카피 타이거 해커톤 개최, 액셀러레이터 네트워크 확산을 제시 9. 두 번째, 「탈 갈라파고스 규제 전략」으로 한국 유니콘 클럽 조직화 및 원스톱 규제창구, 규제 샌드박스 및 테스트베드 적극 활용, 본 글로벌 전략을 제시 10. 세 번째, 「흥 산업 전략」으로 한류와 한품 플랫폼화, 팬덤의 어벤져스 융합, 흥 산업 서비스 규제 개혁을 제시

      • 지역혁신생태계

        이민화,백훈(사회자),김선우(토론자),김희대(토론자),송병선(토론자),안건준(토론자),임종태(토론자),김예지,김애선,주강진,윤예지,윤혁준 KCERN 2018 포럼보고서 Vol.- No.52

        1. 국민소득 3만불 이후의 성장전략은 혁신과 분권의 탈추격 전략에 입각해야 하며, 지역혁신은 지역의 지자체와 사회 파트너가 참여하는 구조로 변경되어야 할 것임 2. 전국적으로 혁신 생태계는 양적인 성장을 하고 있지만 지역 혁신 생태계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집중 등 양극화 되고, 지역 간 GRDP 격차는 확대되고 있어 중앙정부 중심의 발전 전략은 한계가 있음을 입증 3. 전국 지역별 혁신생태계 간담회를 통해 지역 간 격차, 사전규제와 사일로규제, 스케일업과 스타트업의 불균형의 문제와 중앙정부 중심의 중앙-지방의 거버넌스, 협력과 정보 공유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논의되었음 4. 또한, KCERN의 Quad Cyle 모델(2014) 기반 지역별 혁신생태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수도권에서는 혁신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서 개방문화와 협력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비수도권에서 공공기관 지원이 혁신의 자원으로서 중요하며, 시장과 연계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음 5. 이에 따라 KCERN은 지역 중심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3대 전략으로 1)국가 거버넌스, 2)지역 거버넌스, 3)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제시하고자 함 ① 국가 거버넌스: 개방플랫폼정부, 중앙정부는 공유와 협력 구조, 지방정부는 지원과 혁신생태계의 구축 ② 지역 거버넌스: V(가치).I(정보).P(이익)을 공유하는 O2O 오케스트라 거버넌스 구축 ③ 혁신생태계: 스타트업과 스케일업의 균형화, 원칙적 재도전 허용, 기업가정신 활성화 6. 중앙 중심의 통제와 보호에서 지방 중심의 자율과 경쟁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지역과 국가 혁신의 관건임

      • 4차 산업혁명의 전제조건 클라우드 데이터 혁신 전략

        편집부(편집자) KCERN 2017 포럼보고서 Vol.- No.-

        1.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을 위한 현실과 가상의 융합’이라고 정의하며, 융합을 위한 제도는 정부가 기술은 민간이 주도한다. 2. 4차 산업혁명의 척도는 클라우드 데이터 트래픽인데, 한국의 클라우드 데이터 트래픽은 2% 미만이라는 세계 최저 수준에 불과하여 4차산업혁명의 후진국으로 전락했다. 3. 1) 세계 최악의 개인정보보호법, 2) 보안논리에 갇힌 공공데이터, 3) 과도한 클라우드 규제를 다음과 같은 3대 프로젝트로 신속 개혁해야 4차 산업혁명 동참이 가능해 진다. 4. 〈개인정보혁신 프로젝트〉 개인정보의 보안과 통제권의 균형을 위하여 개인정보보호는 Opt-in(사전동의)을, 비식별화 정보는 Opt-out (사후규제)을 촉구한다. 5. 〈공공 데이터 90 프로젝트〉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보안의 균형을 위하여 영국을 벤치마킹하여 3년 내 90% 이상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촉구한다. 6. 〈클라우드 50 프로젝트〉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하여 3년 이내에 클라우드 트래픽 50%라는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4대 플랙십 프로젝트(개방 정부,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글로벌 교육)를 제안한다. 7. 클라우드 데이터 활성화라는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전제조건이 충족될 때 제조업 혁신, 서비스 혁신, 교통, 환경, 국방 등 현실과 가상을 융합하는 한국의 4차 산업혁명 혁신이 시작될 수 있다.

      • 4차 산업혁명과 지역 혁신

        편집부(편집자) KCERN 2017 포럼보고서 Vol.- No.-

        1. GDP 3만 불이 넘는 일류 국가는 연방제와 단일국가에 관계없이 지방 분권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을 추진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한국도 중앙주도의 지역발전에서 지방주도의 지역발전으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요구됨 2. KCERN은 4차 산업혁명적 지역혁신을 위하여 권한의 지방분권인 개방플랫폼, 재원의 재정분권인 법인세의 지방세화, 경제의 산업분권인 혁신도시 4차 산업화라는 3대 추진 전략을 제안함 3. 중앙의 효율과 지방의 혁신을 융합하는 플랫폼 정부가 지방간 자율경쟁의 심판과 공통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4대 과제 추진을 제안함 3.1 예산과 인사의 포괄적 이전과 자율경쟁의 사후 평가 체계 구축 3.2 보충성 원칙에 입각하여 중앙부처 지방조직의 지방 일괄이양 3.3 중앙-지방간 협력을 위한 개방 클라우드 센터 구축과 클라우드 우선화 3.4 지방정부간 개방 경쟁 체제 구축과 베스트 프랙티스 확산으로 국가혁신 4. 지방정부의 디지털 거버넌스를 온·오프라인 시민참여의 확산으로 해결하는 지방 행정의 블록체인화를 제언함 5. 재정분권의 획기적 대안인 법인세의 50% 지방세화로 1) 지역과 산업의 선순환 발전과 2) 지방재정 자립도의 OECD 평균 수준을 달성하되, 대기업 법인세는 지역공통 재원화하여 지역 불균형 해소의 성과로 제공함 6. 한계에 도달한 중앙정부 주도 지역발전 정책의 산업분권의 대안으로는 1) 혁신도시의 플랫폼화와 2) 지역 산업의 4차 산업화를 제시함 7. 혁신도시는 온·오프라인의 연결을 촉진하는 정보, 사람, 산학연을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로 추진될 것을 제안하며, 혁신의 본질이 초연결 구조에 있다는 점에서 도시와 인간의 만남을 강조함 8. 공기업의 개방혁신과 개방 플랫폼화를 위하여 혁신도시와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규제프리존의 재편을 촉구함 9. 지역 산업이 자동화를 넘어 지능화로 가는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공장과 제품-서비스 융합(PSS)으로 4차 산업화하는 3단계 대안을 제시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