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한국 사회과학 바로세우기 : 반성과 과제 Tasks for Identity Formation

        林玄鎭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199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 No.-

        이 글에서는 21세기 한국 사회과학의 바람직한 자아상을 찾기 위해 우리 사회과학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이의 극복방안을 살펴보고, 사회과학의 한국화를 위한 방법론적 과제를 탐색한다. 그 동안의 사회과학의 자기정체성의 결여는 중심부 사회과학의 아류로서 전개되어 오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성의 당연한 결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의 한국화라는 문제는 바깥 것과 안의 것, 혹은 남의 것과 나의 것이라는 단순한 평면적 대비에서 접근되기 보다 주변적 자기정체성을 몰고 온 지식산업 전반에 걸쳐 발견되는 종속의 문화적, 제도적 기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21세기 한국 사회과학의 올바른 자리 매김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사회과학과 과학으로서의 사회과학을 뛰어넘는 ‘홀로서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그 관건이 있다. 한국 사회과학의 도약을 위해서 필자는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총합적 접근을 시도할 것,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한국사회에 관한 부분사적·전체사적연구를 축적할 것,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배전의 노력으로 강화할 것 등을 제언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social sciences, and consequently explores the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the indigenization of Korean social sciences. The lack of identity of Korean social sciences has been inevitably resulted from the developing process influenced by the western social sciences. Therefore, Korean social sciences need to analyze throughly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grounds of its peripheral identity, rather than continuing to define it in terms of “we-they” schematics. It is critical for Korean social sciences to develop their methodology and logic. The author presents three recommendations: (1)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ubjects peculiar to Korean society; (2) accumulation of studies on the period-specific agenda or total Korean history by strengthening joint work with the historical studies; (3)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nations, cultures, and regions.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김미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8 No.-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전문사회복지사로 일할 가능성이 큰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연령별, 성별로 조사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인 지역 12개 학교의 사회복지 전공자 3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연구결과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전반적으로 중립적이고 약간 긍정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와 비교한다면 한국의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미국에 비해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6개 연령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 대학생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 대학생들이 고령의 여성노인에 대해 여자대학생들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노인과 동거경험, 친인척 및 일반노인에 대한 경험, 노인분야 구직욕구, 노인분야 교육계획 등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각도의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사회복지학과의 전반적인 교과과정에 노인관련 수업, 훈련과 관련된 교과목이 증가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방향으로 유도하는 내용이 사회복지 전 교과과정에서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삶에서 노인과 건강하게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기회가 증진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students toward older adults. A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as used to examine the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6 target groups of elderly individuals: males & females, aged 65-74, 75-99, & 100+. Data were obtained from 310 students from an accredited undergraduate social work program in 12 universities in mainly Seoul and Kyungkido province. The data revealed that overall student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were generally in the negative range and these attitudes were more negative toward older age categories. Male student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 attitudes. Students who indicated that they were close to older adult relative and older adult in general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e stud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who had plan to take field in geriatric setting and plan to work primarily with older adult had more positive attitudes. Finally study findings suggest educators, administers, and policy makers eliminate students’ negative attitudes by means of offer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ies of building knowledge base on aging and aged as well as practicing with older adults. In addition, social work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infuse the middleic of gerontology into the general social work curriculum.

      • KCI등재

        역사성과 비역사성의 사이에서 : 사회과학사 연구이념의 정립을 위한 하나의 시론

        양승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may in a sense be characterized as the age of the social sciences. It may be so, primarily because during the age of the social sciences a new system of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have outgrown or sometimes taken the place of the traditional field of humanities. But the question still remains, whether or not such a secular prosperity of the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would also signify a success as a genuine system of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The question becomes more acute by the fact that there exists virtually no unified idea of social science although there do in many different, in some cases mutually exclusive social sciences, each claiming for an equal title as a social science. This is a monstrous scene in the history of science. When our judgement fluctuates or falls into aporia in front of equally plansible but conflicting claims or arguments, the only one safe and legitimate way to get out of such a state is to go into the root of the case. And the root in the case of the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is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simply and essentially as the history of men's intellectual efforts to know themselves and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In it must be comprised not onl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odem social sciences but that of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and medieval theology. The recognition of the inherent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has not as yet been sufficiently appreciated.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one scholarly journal by the name of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Since its birth in 1994 it has produced many articles that approached the history of the human sciences from the prospective Foucault's idea of 'achreology of knowledge' The proper study of the history of social science must go beyond the horizon. While taking advantages of Foucault's idea as well as the conventional history of ideas and the 'Begriffsgeschichte', it must aim at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historical dialectic between the knowledge about man and society in one era and its social reality. 사회과학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자신과 사회에 대한 앎의 추구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현대사회과학은 그 앎의 역사적 표현이며, 사회과학적 앎의 전부로서 독단적으로 전제되어서는 안된다. 고대정치철학이나 중세신학 역시 그러한 앎의 역사적 형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대사회과학의 지식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나 그것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극복은 인간의 자신과 사회에 대한 앎의 추구라는 보편적인 역사적 맥락에서의 접근이 필수적이며, 여기에 사회과학의 본질적 측면으로서 사회과학사가 연구되어야할 학문적 당위성이 있다. 그러한 사회과학사 연구는 푸코식의 지식고고학의 시각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사상사, 개념사 연구정향을 원용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사회과학적 지식과 사회현실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에 대한 탐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의 영어실력에 대한 문화자본론적 고찰 : 대학생들의 영어학습실태와 영어능력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최샛별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3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1 No.-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영어학습실태와 영어능통자에 대한 인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사회에서 영어의 위상과 역할을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론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연구조사는 2002년 4월에서 6월까지 국민대, 동아대, 서울대, 이화여대, 전북대, 한림대, 전국 6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1719명이 응답하였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에 대한 대학생의 이미지를 분석해보면 한국 사회에서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사회적인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는 능력과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해외거주 경험이 없이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사회경제적인 배경과 관련이 없는 개개인의 능력과 성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많은 부분 해외거주 경험이 있는 영어실력자들과의 대비적인 이미지에 기인한다. 그러나 응답자들의 영어실력과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와의 교차분석 결과는 개개인의 능력이라고 생각되는 영어실력이 부모의 경제적 자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성공을 보장받는 능력과 성품으로 간주되는 영어실력이 사실상은 부모의 경제적 자본과 밀접하게 관련된 체화된 문화자본이며, 영어 실력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통하여 공적으로 능력으로 인정을 획득한 제도화된 문화자본이라는 것을 함의 한다. 영어실력은 가정이라는 영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바탕으로 자녀들에게 문화자본으로 체화되어 가는 것임을 지적하고자 영어를 처음 접한 시기에서부터 학습방법에 이르는 많은 영역에서 보여지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높을수록 낮은 연령부터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영어를 접하며 다양한 방식을 통해 영어를 학습하는 것에 반하여, 부모의 지위가 낮을수록 학교수업을 통하여 영어를 접하고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지역주의의 사회성과 정치성에 대한 경험적 분석

        김석준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199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 No.-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주의를 사회성과 정치성으로 이들이 개념적으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지, 이들에 대해 일반 국민들은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그리고 실제 역대 선거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경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의 설문지조사와 역대 선거에서 나타난 후보별 지역별 지지율의 자료를 이용한 미시적인 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이들 연구변수간의 관계를 요인분석, 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및 편파성분석 등의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지역주의는 사회성과 정치성이라는 두 가지 다른 하위개념 차원에서 매우 큰 이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의의 사회성을 나타내는 가족의 혼인, 사적인 교제, 동업 및 금전거래, 직원채용 및 승진 등에서는 한국인들에게 지역주의가 심각하지 않은 반면, 대통령 선거와 같은 지역주의의 정치성에서는 매우 분명한 지역주의를 보이고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태도조사의 분석결과는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에 대한 지역 편파성 분석에서 구체적으로 입증되어 태도조사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역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총선거의 결과의 비교 분석은 태도조사에서 밝혀진 일반선거보다 대통령선거에서 지역주의 투표성향이 더욱 강하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확인시켜주었다. 본 연구는 태도조사와 실제 선거결과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주의의 사회성과 정치성의 개념적 위상을 구분하여 지역주의의 순기능적인 사회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정치성이라는 역기능적인 면도 지역주의를 상징하는 후보들의 점진적인 교체로 인해 지역별로는 약화되고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민주주의의 공고화는 지역주의의 정치성을 약화시키고 지역주의의 사회성을 확대시켜 지역주의가 더 이상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cultural aspect and the political aspect of the Korean regionalism; to survey the citizens’ attitudes toward them;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m on the real votes of the national Presidential elections in Korea over time. It uses SPSS program including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skewedness analysis over data collected with a national survey in February 1998 and with the official records of all the national Presidential elections in Korea.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critical heterogeneity between the socio-cultural character and the political nature of the Korean regionalism. Frequency analysis supports that the regional difference(maximum score=5) is not serious over the socio-cultural events including the marriage of a family member(2.24), a private human relationship (1.88), a co-running of a business(2.59), and a recruiting a staff(2.12). Second, on the other hand, the regional differences on the political events, especially the national Presidential elections, have been too serious between the Eastern region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country. This proposition is supported by both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the citizens’ attitudes and from the national elections since 1971. Regional difference score on the national Presidential election is 4.14, while those of them on socio-cultural events are below 2.60 as shown above. Further, the regional skewedness analysis support this trend; the regional skewedness index of the East and the West since 1971 exceed 10, while those of the rest areas are below 10. The Korean regionalism i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Its function is changing from a negative one to a positive one in the Korean democratic transition process by shifting its main nature from the political one to the socio-cultural one. We can find out this trend from data analysis over time. The national Presidential election data support it. Data show some possibilities that the negative aspect of Korean regionalism is declining in the democratic consolidation process in Korea. Further, the peaceful power shift from the East to the West stimulates it politically by reducing the regional skewedness index of the West and that of the East.

      • KCI등재

        정치개혁의 방향과 과제

        金秀鎭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199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 No.-

        이 소론(小論)은 권력구조와 권력행사 방식을 보다 민주적 원칙과 절차에 부합하도록 강제시키고, 정치사회의 민주적 대표성과 책임성을 강화시키며, 정치사회와 시민사회와의 유기적 연대성을 강화시켜서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한국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권력구조와 선거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와 같은 제도개혁의 가장 큰 목표는 현재 정치사회를 독점장악하여 붕당적 지역정치를 확대 재생산 시킴으로써 시민사회 전반에 정치적 좌절감을 증폭시키고 한국 민주주의를 빈사상태에 빠뜨린 정치세력들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세력이 시민사회로부터 정치사회로 보다 원활히 진입하게 해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제도개혁의 요체는 내각제와 비례대표제의 도입이다.

      • KCI등재

        한국 사회학에서 '여성' 연구의 성장과 도전 : 1964-2002

        이재경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3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1 No.-

        한국 사회학에서 '여성 연구'의 성장과 도전을 논의하는 이 글에서는 한국 사회학회 기관학술지인 「한국 사회학」을 자료로 분석하였으며, 한국 여성학회에서 발간하는 「한국 여성학」에 게재된 논문들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1964년 한국 사회학」이 창간된 이래 지난 40여 년간 한국 사회학에서의 여성 연구는 연구 주제와 영역의 확대의 면에서 성장해 왔으며, 여성 연구는 6,70년대의 여성부재의 주류 사회학, 80년대는 여성학의 도입과 여성 경험의 가시화, 90년대 이후에는 연구주제의 확장과 여성 경험의 다양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주류 사회학에서의 여성 연구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경험을 토대로 한 연구들은 주류 사회학 지식생산에 적극적인 개입에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페미니스트 시각을 가진 여성 사회학자들은 한국 여성학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그들의 연구 성과는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이다. 여성 사회학 연구가 주류 사회학과 분리된 채 학문적 의사소통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학문에 흡수되기(co-opted) 보다는 독자적인 이론적 축적을 꾀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지식을 생산하고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적극적 도전으로 평가될 수 있다.

      • KCI등재

        지식정보사회의 정부설계 방향

        송희준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0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9 No.-

        이 글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이에 맞는 정부구조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를 논의하고 있다. 연구의 성격상 질적인 접근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글로벌리제이션, 지식정보화, 자유민주화, 그리고 사회변화에 따라 정책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하에서 정부의 역할과 기능은 이에 맞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그 동안의 정부실패 요인을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으로서 국제기준에 맞는 변화모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래정부는 민주주의의 질을 더욱 제고시키고, 지식정보사회의 기반을 심화시키며, 인구구조 등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선진 국제기준에 부합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것은 정부설계가 새로운 개혁 추진체계에 의하여 정부규모의 조정과 접근방법의 변화 등을 모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proper roles and functions of the future government which faces mega trends such as globalization, democratization, marketization, and social changes. The research depends largely on the qualitative approach to suggesting the appropriate roles and functions of the future government. It is necessary, at this moment, to analyze the causes and effects of government failures which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experiencing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y have to be reflected to the design of desirable structure and functions of future government. Especially, global standards such a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the public sector must be recognized as the new development paradigm which enables the government to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정보화 사회에 대한 세가지 이론적 관점과 한국사회의 과제

        이재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사회이론가들은 정보화 사회를 어떻게 접근하고 정의해 왔는가? 서로 다른 이론가들이 제기하는 현실적 문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고,그와 관련해 한국사회가 해결해야 할 거시적 과제들은 어떻게 정리될 수 있는가? 이 연구는 크게 이렇게 두 개의 연구문제를 다룬다. 정보화는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기 위해 정보화에 대한 주요한 이론적 흐름을 분석한 이 연구는 전반부에서 정보화 사회에 관한 이론적 흐름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번째 조류는 프릿쯔 매컬럽에서부터 마크 포래크, 앨빈 토플러, 다니엘 벨, 피터 드러커 등을 포함하는 "정보경제"(Information Economy)적 접근법 이다. 두 번째 흐름은 해롤드 이니스, 마샬 맥루한, 마크 포스터 등이 대표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점을 "인문, 사회이론"적 접근이라고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관점은 유르겐 하버마스, 노엄 촘스키, 벤 베지키언 등과 유네스코의 맥브라이드 위원회 등이 앞장 서온 입장이다 이 연구는 이같은 입장을 "비판적 관점"으로 묶어 정리하는데 주로 '정보 불평등"의 문제에 논의의 초점을 맞췄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정보화를 실천하는 청사진이 되는 국가, 지역별 정책추진 방향을 논의한다. 여기서는 주로 미국과 유럽연합의 정책기조와 한국의 대응자세를 집중적으로 정리한다. 이 연구에서는 마지막 부분에 한국사회가 충분히 주목하지 못하는 네 가지 사회적 과제를 제시하는데, 이들은 디지틀 해독능력의 문제와 정보에 대한 보편적 접근권, 아날로그 시대와 단절의 극복, 정보화 사회에서의 생활윤리의 제도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How have social theorists approached the no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What are the major lines of thoughts treating the process of what is called informatization? What are the main practical issues these threorists commonly emphasiz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and political orientations? What could be the issues the Korean society needs to address for desirable transition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se are the questions this essay deals with. In the first half, this essay classifies various studies on the notion of information society into three groups largely based on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first group is represented by scholars such as Fritz Machlup, Marc Porat, Daniel Bell and Peter Drunker, The paper summarizes this line of thought as the "information economy" perspective. The second approach, which is named as "social/humanities theoretical perspective, includes works by such theorists as Harold Innis, Marshall McLuhan, lames Carey and Mark Poster. Finally, the third perspective is summarized as the "critical studies." The Main proponents of this group range from Juergen Habermas, Noam Chomsky, Ben Bagdikian and the MacBride Commission. The preoccupation of this line of thought is the problem of social as well as international "information imbalance." In the second half, the essay discusses some key tasks the Korean society needs to carry out for efficient transformation into a desirable information society. The digital literac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otion of the universal access, bridging the digital-analog divid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code of ethic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re the four main issues suggested for urgent deliberation.

      • KCI등재

        사회복지학 분야 ‘고령화 사회’ 연구동향 : 인식과 대책

        정순둘,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7 No.-

        In order to review research on an aging society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literature in that field. Thirteen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tudies were selected; they were all published and registered at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m, 117 articles published from 1992 to 2010 were analyz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since 2000, a year that South Korea began to enter into an aging society, in terms of the society of population,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toward aging and further reviewed countermeasures discuss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y on aging conducted since 2000 was on the sharp increase and aging is perceived as a crisis and research focused was only on both senescence and life in old ag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1) mo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ging throughout the entire life is needed, and (2) more balanced perception is needed.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학분야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대책들에 대해 어떠한 주제로 연구하고 있는지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학술지로 등록된 사회복지관련 학술지 13개이며, 1992년에서 2010년 사이에 발간된 총 117편의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고령화 사회가 가져오는 위기와 기회에 따라 어떤 주제를 다루는 논문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을 인구사회학적, 개인, 가족,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논의되고 있는 대책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별 고령화 현상의 심화, 수명연장으로 인한 연장된 삶에 대한 적응, 가족부양과 노인단독가구, 사회적 보호체계 고령화 사회가 주는 위기와 기회의 주제로 나타났다. 대책과 관련하여서는 부양, 소득보장, 경제활동참여, 건강, 노인복지시설 네트워크, 서비스개발, 노인관련전문가 전문성 향상 등이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령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