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해체를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천미자,박주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테일러드 재킷을 사적고찰하고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최근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 표현 특성과 테일러드 재킷에 나타난 패턴 해체의 표현 특성을 탐구하였다.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측면의 특성으로는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 ‘비확정적인 착장방식’, 그리고 ‘구멍내기’의 사례가 고찰되었으며, ‘복식구조 및 디자인 원리의 해체’ 방식에 따른 현대패션의 사례연구에서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요소 중 나타나지 않은 몸판과 소매, 그리고 디테일 패턴의 해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5점을 개발,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 중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로 의복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뒤 재구성하여 기존의 위치와 기능을 무시하는 전위 방식과 탈비율, 탈균형, 탈중심의 디자인 원리해체의 방식을 모두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조각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확대와 왜곡을 통한 형태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각의 디자인은 비율파괴, 위치이동, 균형파괴, 중심해체, 구성요소의 기능상실 등 해체주의적 표현방식 5가지와 패턴조각 8가지(앞 몸판, 앞 옆판, 뒷 몸판, 뒤 옆판, 바깥소매, 안소매, 칼라, 라펠)를 개별 혹은 중복으로 조합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작품은 울 서지 소재의 원피스드레스 2점과 재킷 2점, 그리고 울나일론 멜톤 소재의 오버코트 1점이며, 모두 솔리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테일러드 재킷을 구성하는 다양한 패턴조각의 해체주의적 조작 실험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ing a standardized form for a long time with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case study to expl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shown from fashion recently and those of pattern deconstruction shown from a tailored jacket which are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the indeterminate mode of wearing’, and ‘the perforating’.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5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 deconstruction of the bodice, sleeve and detail patterns of a tailored jacket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for the design development, tailored jacket was separated and reorganized in a structural manner using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or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ve fashion, reflecting the avant-garde neglecting the existing positions and functions and also de-proportioned, de-balanced and de-centered deconstruction of design principles. Besides, there was an attempt at the formative changes through free locational movement, extension and distortion of a pattern piece using Photoshop. Each design was developed by 5 expressive methods of the deconstruction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proportion and balance, movement of location, deconstruction of center and the functional loss of elements and by individual or overlapped combination of 8 pattern pieces(front bodice, front side, rear bodice, rear side, outer sleeve, undersleeve, collar and lapels). The works developed contain 2 one-piece dresses and 2 jackets made of wool serge, 1 overcoat made of wool nylon melton in solid black.

      • KCI등재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

        허예은,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근대화 혹은 서구화 등 단편적인 관점으로 이해되는 한국 복식사에서, 젠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여 한국 현대 패션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서구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에 따른 복식의 변화와 한국 젠더의 특수성 및 한국 근현대 복식사를 고찰하였다. 한국 젠더의 특수성으로, 이중적 구도와 복잡한 중층적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개화기 이후 국가주의적 젠더 정치 하에 남성 및 여성 복식은 엄격한 사회적 통제를 받았고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면서 다양한 패션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 연구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20대, 30대의 남성 및 여성 총 2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횡단적 지표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젠더와 패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에 비해 성 역할 고정관념은 많이 허물어졌으나 가정에서 남성이 경제적 소득을, 여성이 출산 및 육아에 대한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는 전통적 인 인식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또한 남성 및 여성의 성격, 행동, 역할 등을 구분하는 고정관념이 남아 있어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은 성적 정체성의 표현뿐 아니라 인성 및 품격을 평가하는 윤리적 규범으로 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 젠더 가치관의 특징으로 강한 이분법적 고정관념과 다양한 젠더 가치관의 공존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젠더 가치관이 윤리적 규범으로 인식되어 오면서 패션은 단순히 취향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예의와 규범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다양한 젠 더 가치관이 공존하고 개인의 성향과 취향, 자율적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자신의 만족을 우선 으로 하는 미적 태도 또한 중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현대 패션은 옷차림을 통한 규범적 가치를 중시 하는 한편, 다양한 패션 스타일을 단편적으로 경험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패션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ultural insight of Korean modern fashion by using a gender categ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it revealed that Korea’s fash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ender value. Since 19th centur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gulated the gender role while the dress code policy has been differently applied. However, as the gender value changed after 1970s, various fashion style appear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ender perception of the Korean society. Interviewees were 11 men and 11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order to examine their gender perception. As a result, it revealed that traditional gender value in the Korean society i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sexual identity but also criteria of an ethical norm. However, the various gender values reflect that the importance of gender value has been weakened.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 between gender value and preference for fashion style, it revealed that the attitude toward gender value had influence on a fashion style. Also, it has been found that fashion was not only a means of expressing their tastes and identities but also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courtesy and norms. However, aesthetic attitude prioritizing one's own satisfaction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ender and modern fashion in Korea through interview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the specificity of Korean gender valu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fash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ducive to future research on fashion culture study trying new interpretation of Korean fashion.

      • KCI등재

        종이접기의 조형미를 적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김숙현,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1

        오늘날 패션 분야는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그에 따른 변화의 요구에 지속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인 방법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은 사전에 철저한 계획으로 폐기물을 완전히 없애거나 줄이는 방법으로 의류폐기물에 대한 실천적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는 종이접기 기법이 사각형의 평면적 공간이 버려지는 부분 없이 모두 소진되는 점에 있어서 제로 웨이스트 개념에 부합하고 접기 방법에 따라 무한한 형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이접기를 창의적이고 조형적인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실현의 방법으로서 채택하였다. 이에 종이접기의 조형미를 율동미, 중첩의 미, 선적 조형미, 부조적 형태미로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구조적 또는 장식적으로 적용하여 4벌의 조형적인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고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 방법의 규범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을 고려하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실현의 의의를 가지고 종이접기방식을 적용한 결과, 급변하는 트렌드에 영향 받지 않는 독창적인 디자인과 기존의 제작방식을 간소화하는 하나의 혁신적인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접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종이접기의 특성에 따라 사각의 원단을 드레스, 스커트, 판초, 베스트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폐기물을 현저히 줄이며 제로 웨이스트 패션 실현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작품을 제작하며 셀비지 부분만이 폐기되어 기존의 제작방식에 비해 폐기물 감소 효과가 높음을 입증하였다. 넷째, 접기를 통해 독창적인 실루엣과 디테일들이 구현되며 평면에서보다 굴곡이 있는 인체 위에서 그 조형미가 강조되었다. 접은 선과 면들이 인체 위에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율동미와 부조적 입체미가 강조되었고 소재에 따라 접혀진 면이 농담으로 나타나 장식적 효과를 주거나 광택에 의한 명암의 대비로 그 조형미가 강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친환경적인 목적과 의지가 종이접기의 조형미와 결합되어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더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을 계속 해나간다면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패션의 하나의 실천적 방안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oday's fashion fiel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 sustainable and eco-friendly ways to deal with growing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demands of changes that follow. Of these, the zero waste fashion design is seen as a viable alternative to eliminate or reduce fabric waste with a thorough plan in advance. This study used paper-folding which meets the concept of zero waste by exhausting the whole space of rectangles with infinite for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ve features of paper-folding with rhythmical beauty, beauty of overlapping, beauty of straight line and formative beauty of relief and aims to suggests 4 pieces of zero waste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m structurally and decorativel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creative designs which not be affected by rapidly changing trends have been realized and this could be an innovative way to streamline traditional way of production. Second, rectangular fabric can be composed of a variety of fashion items such as dresses, skirts, ponchos, vests etc., by the characteristic of paper-folding.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is would significantly reduce fabric waste and becom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realize zero waste fashion. When making the actual works, only the selvage portions were disposed of, it is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waste. Fourth, creative silhouettes and details were delivered and the formative beauties of rhythm, overlapping, straight line and relief were emphasized more on a curved human body than on a flat surface. Specially the formative beauty of relief was emphasized over the moving body and decorative effect by light and shade or contrast to gloss appeared by materials. Furthermore, if methods to combine various motives and techniques for more versatile designs are studied to further develop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potential with unlimited expansion.

      • KCI등재

        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지향 가치의 범주화

        안민희,주보림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최근 들어 미닝아웃의 소비문화가 풍요로운 삶에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가져오면서 새로운 소비의식이 대두되고 있다. 패션계 역시 현대 윤리와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하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 및 사례를 분석하고 지향 가치별 범주를 제시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의해 변화를 겪고 있는 패션 분야를 사례 중심으로 관찰하면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을 기업윤리, 디자인 윤리, 소비 윤리 등 세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그리고 현시점에 필요한 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지향 가치를 사회 중심적 가치, 환경 중심적 가치, 문화 중심적 가치 등 세 가지 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심미적 가치 전달에서 사회적 가치 영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패션계의 윤리적 디자인 방향성이 지속가능성과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윤리적 패션의 기준에 의거하여 기업, 디자인, 소비 등 세 가지 윤리의 사례를 통해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들 및 지향 가치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책임감 있는 공급과 소비 양 측면의 조화를 유도하는 범주화가 구축되는 것이 시급하다. 범주화는 지속 가능한 우리의 행보를 점검하고 정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의해 변화를 겪고 있는 패션 분야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지향 가치 범주화를 통해 윤리적 패션디자 인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a new sense of consumption has emerged as Minning Out’s consumer culture has brought importance of ethical value to a rich life. The fashion industry is also emphasizing ethical fashion design based on modern ethics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sustainable ethical fashion design and presenting categories by directional value. By observing the changing fashion sector by ethical fashion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fashion design were derived from three levels: business ethics, design ethics, and consumer ethics. And the ethic-oriented value of fashion design needed at this tim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al-centered value, environmental-centered value, and cultural-centric valu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ethical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where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area is emphasized in the aesthetic value transfer of design, is deeply related to sustainability. Second, based on ethical fashion standards, the three ethical cases of ethics - business, design and consumption - were deriv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fashion design and its orientation value derived were identified as correlated. Fourth, it is urgent to construct the categorization with a view to harmonization in terms of responsible supply and consumption. Categorization is what checks and determines our sustainable course of action. This study has deep understanding on the fashion sector that has been undergoing changes due to ethical fashion design over the past few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thical fashion design.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ta on the direction of ethical fashion design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oriented vaalues.

      • KCI등재

        전지 기법을 활용한 현대 치파오 패션디자인 연구

        이홍연 ( Li Hong Yan ),김정숙 ( Kim Jung Sook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4

        오늘날 패션은 한 국가의 역사성과 독자성이 부각되는 민속복보다는 세계화된 서양 옷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패션 디자이너들은 현대 서양 중심 복식문화가 가져온 다양성 감소와 창의성의 한계에 직면해 있던 패션계에서 관심 밖으로 사라졌던 전통문화와 예술, 복식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이후 중국 치파오는 다채로운 색상, 강렬한 문양, 수공예적인 소재와 장식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에 큰 영감을 주고 있으며, 최근 중국의 전지는 공예적 예술성과 디자인의 독창적 표현성으로 치파오의 창의성과 고부가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복식 치파오에 중국 대표 민속 예술인 전지를 결합해 현대인의 정서에 부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창의적 치파오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치파오와 전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사례연구와 통계 분석은 세계 4대 컬렉션 여성복에 나타난 전지를 활용한 사진 총 128점을 수집했다. 전지를 활용한 디자인 특성을 연도별, 시즌별, 요소별로 분석한 후, 전지를 적용한 현대 여성복 디자인에서 실루엣 색채, 소재, 문양, 장식, 아이템과 같은 패션디자인 요소의 표현 특성을 함께 분석해 종합적 결과를 추출하였다. 디자인은 위 분석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 중 가장 활용 빈도가 높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난 것을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였다. 또한 디자인 개발 시 최근 유행하는 실루엣, 색채, 소재 트렌드를 반영하여 디자인한 후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과 도식화로 6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지를 적용한 현대 여성복 디자인에서 실루엣, 색채, 소재, 문양, 장식, 아이템과 같은 디자인 요소의 표현 특성을 분석한 후 결과를 추출하였다. 디자인은 패션 트렌드를 바탕으로 타깃과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여 디자인한 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로 제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에 적용한 새로운 치파오의 창의적 디자인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acceleration of global integration, the phenomenon of regional cultural fusion has surpassed the country’s historicity and uniqueness, gradually becoming routine and universal. In the fashion world that must constantly accept creative challenges, traditional folk art has also regained eye-catching. Ethnic style has been one of main themes for fashion. In particular, it’s brilliant colors and the patterns highlight a strong traditional art style as well as materials and decorations based on hand made. In addition, new folk crafts and techniques which are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now, are acting as a source of creative design development in modern fashion. Among them, Pierre Gardin, a famous fashion designer, once said that the design inspiration on most of his evening dress came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Qi-pao. Not only does China have thousands of years of tradition and history, but it also has paper-cut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e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the most representative Chinese Qi-pao in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with the Chinese folk art representative-paper-cuts, to develop and design a creative Qi-pao with high added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Qi-pao and can echo the modern female aesthetic.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aper-cutting design that appeared of the global Big four fashion weeks in three dimensions: annu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color by using paper-cutting characteristics, items, and details. In addition, this paper develops 6 sets of modern Qi-pao designs that can be worn not only by Chinese modern women in the 21st century but also by those of all over the world. Ultimately, this study will provide assistance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rrent Qi-pao in the future industry.

      • KCI등재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의 메이크업 이미지 분석

        임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analyzed the makeup color for each season through the color analysis on Korean fashion makeup, and also understoo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 makeup image of Korean fashion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mbination. Colors analysis was completed by Adobe Photoshop CC and Munsell Conversi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were analyzed in the 10 colors and N of Munsell color system and 11 tones of PCCS. The color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color-combination strips and then positioned them in the I.R.I. image scale. Therefore, the Korean fashion makeup shown from the S/S Collection of 2011 to the F/W Collection of 2019 was analyzed in the division of eye-shadow, blusher, and lipstick. The Korean fashion makeup mainly included the colors like R(b), YR(b), YR(lt), YR(s), YR(v) for eye-shadow, and R(p), R(b), YR(lt), YR(d) for blusher. In case of lipstick, the use of R color was overwhelmingly frequent while the colors like b, s, v showed the high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rean fashion makeup wa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such as natural, Orientalism, retro, active, maximalism, casual, romantic, and humorous while such grotesque and modern images were not found. Especially, the image of Korean fashion makeup like casual, active, and humorous got younger and more cheerful. Also, the image of Korean fashion makeup reflected the trend and fashion of S/S & F/W seasons. As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shown in the traditional Hanbok makeup, the S/S season showed the dynamic and active image while the F/W season showed the heavy, quiet, and thick image,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본 연구는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의 시즌별 메이크업 색채를 분석하고, 배색에 따른 한국적 패션의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은 Adobe Photoshop CC를 활용하여 메이크업 색상을 추출하고 먼셀 색체계 10색상과 무채색, PCCS 색체계 11색조로 분류하는 색채분석법을 따랐다. 분석한 색채는 메이크업에서 사용된 비율에 따라 배색띠로 만들고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 포지셔닝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2011 S/S~2019 F/W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을 아이섀도, 블러셔, 립스틱으로 나누어 분석할수 있었다. 아이섀도는 R(b), YR(b), YR(lt), YR(s), YR(v), 블러셔는 R(p), R(b)와 YR(lt), YR(d) 색채가 한국적패션 메이크업에 주로 표현되었다. 립스틱은 R 계열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b, s, v 색조가 높은 빈도를보였다. 분석 결과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은 내추럴, 오리엔탈리즘, 레트로, 액티브, 맥시멀리즘, 캐주얼, 로맨틱, 유머러스 8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그로테스크와 모던 이미지는 조사되지 않았다. 8가지 유형의 한국적패션 메이크업은 R, YR 계열을 주조색으로 하여 P, RP 계열 등 난색 위주의 색조합 특성을 보였다. 특히캐주얼, 액티브, 유머러스 등의 젊고 경쾌한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에는R(v), YR(v), YR(s)의 강렬한 색채와 R(s), B(s), PB(v) 색채의 대조 조합이 나타나는 등 형식과 관념을 깨는다양한 시도가 주목되었다. 즉,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 이미지는 S/S, F/W의 시즌 유행성과 패션성을 반영하였으며, S/S 시즌에는 역동적이고, 액티브하며, 다이내믹한 이미지가, F/W에는 무겁고, 조용하며, 탁한 이미지메이크업을 연출하는 등 차별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지향적 메이크업 이미지의 부재와 같은 현대패션 메이크업으로서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적 패션은 메이크업 이미지와의 관계성 속에서 색채조합을 꾀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를 적용한 3D 프린팅 패션소재 연구 - 패션소재의 기본조직 응용을 중심으로 -

        김양수,김정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3

        3D 프린팅의 제작방식은 패션 산업이 요구하는 개인 맞춤형 소량생산과 디지털 데이터에 의한 다양한 3차원적 변형이 쉬우며, 3D 프린팅 패션소재는 의류 분야에서 소재에 대한 다양성과 창의성을 열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소재로서의 미적 창의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자연의 형태원리인 프랙탈 기하학의 생성원리와 직물조직에 대한 구조 원리를 결합하여 새로운 3D 프린팅 패션소재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3D 프린팅과 프랙탈 기하학은 위상 기하학에서 적용이 용이하다는 공통점을 지니며 자연과 과학, 그리고 예술이 융합된 새로운 조형원리라 할 수 있다. 나아가 3D 프린팅 패션소재의 저변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용성을 제시하고, 개인 제조의 영역뿐만 아니라 생산 기술적 측면에서 새로운 디자인 방법을 창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프랙탈 생성원리는 조형의 시발점인 선, 기하학적 도형 등 최소화된 형태로 시작되며, 프랙탈 조형방법은 디자인의 시작점부터 적용되어 디자인 과정뿐만 아니라 생성자의 단위형태 변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디자인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형태는 단위형태를 조직화하는 패턴화된 질서로 표현되는데 이를 3D 모델링을 통한 3차원 좌표설정으로 원사의 표면질감을 조형화시켰으며, 단위형태의 위상변화에도 적용하여 니팅, 링킹, 체인메일과 같은 기본조직을 활용한 3D 프린팅 패션소재를 제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정된 프랙탈 이미지 변환에 맞는 프로그램 연구를 통해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를 3D 모델링방법에 적용하는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였고 이를 작품으로 제안하여 원사와 직물의 최종 형태를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팅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유연한 직물구조를 기본으로 한 3D 프린팅 제작방법이 빠르게 발전하는 3D 프린터 시장에서 더욱 조형적인 직물을 실용화 할 수 있는 핵심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roduction method of 3D printing is easy to produce small quantity customized by the fashion industry and 3D printing fashion materials open diversity and creativity in materials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Study aims to construct a new 3D printing fashion material design method by combining the generating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which is a natural form principle, and the structure principle of a textile structure, to satisfy both aesthetic creativity and functionality as a fashion material. 3D printing and fractal geometry have commonality that they are easy to applied in topology, and they are a new modeling principle that combines nature, science,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various implementations for expanding the base of 3D printing fashion materials and to create a new design method in terms of production technology as well as individual manufacturing area. The principle of fractal generation starts with minimized forms such as lines, geometrical shapes, etc. The shape of fractal geometry in the design is expressed in a patterned order that organizes the unit form. It was modeled to the texture of the surface of the yarn by sett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hrough 3D modeling and the 3D printing fashion material using the basic organization such as knitting, linking, and chain mail. Then, a design metho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gram study for the set fractal image transformation, and the efficiency of 3D printing which can output the yarn and the final form at once wa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3D printing production method based on the flexible fabric structure will be developed as a core design metho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ore formal fabric in the rapidly developing 3D printer market.

      • KCI등재

        레이저 커팅을 활용한 케이프 디자인 연구 - 조선 시대 흉배의 자수 문양을 중심으로 -

        오유경 ( Oh Yu Kyeong ),이종석 ( Lee Jong Seok ),송정아 ( Song Jung A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2

        글로벌 문화와 함께 한국 문화 K-pop의 인기와 같은 타 국가의 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적 요소는 한국만의 정체성 및 고유성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며 글로벌 시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타 국가와 차별화되는 한국의 문화적 요소를 반영하는 패션 문화상품화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 고유의 이미지를 반영한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창출에 대한 기대 및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복식 문화 요소인 흉배를 패션 문화상품 디자인의 요소로 응용하고 공업용 커팅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 커팅기를 의복에 활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전통복식의 흉배는 타 국가문화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한국의 전통 요소로, 한국 전통복식 요소와 패션산업과의 결합은 한국의 국가적 이미지 차별화 및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조선 시대 흉배에 표현된 자수 문양을 활용하여 전통문화적 요소가 결합한 고부가가치 패션 문화상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조선 시대 흉배에 대한 개념 및 레이저의 개요를 분석하였다. 레이저 커팅 기법이 적용된 패션디자인 사례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조선 시대 흉배에 표현된 자수 문양의 디테일을 도출하였다. 샘플 모티브를 통한 샘플 제작 및 샘플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실물 생산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작품 제작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작품 제작 및 작품 검증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소재는 심미적 효과와 물세탁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한 점이 특징인 한복지 양단으로 한정하였다. 한국 전통문양이 표현된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이 더욱 개발될 가능성에 의의가 있다. 레이저 커팅 기법 선행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은 조선 시대 흉배의 자수 문양을 고찰하여 케이프 디자인을 개발하고 고부가가치 패션 문화상품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국 전통문화 요소를 활용한 문양 패턴 디자인 개발은 한국의 패션 문화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long with global culture, interest in other countries’ cultures, as shown from the popularity of Korean K-pop, is also increasi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can clearly express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d have global market potential. Fashion and cultural commodification should then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reflect Korean cultural elemen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untries.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reflecting Korea’s unique image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by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clothing culture element, the Hyungbae, as an element of fashion and cultural product design using laser cutting machines, which are mainly used as industrial cutting machines. In addition, the Hyoongbae of Korean traditional dress is a Korean traditional element tha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cultures, and the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dress elements and the fashion industry aims at differentiating Korea's national image and securing its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igh value-added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combin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using embroidery patterns expressed on the Hyoongbae of the Joseon Dynasty.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ies, the study analyzed concepts of the Hyoongbae of the Joseon Dynasty and overviews of laser. By analyzing fashion design cases and prior research with laser cutting techniques, details of embroidery patterns expressed on the Hyoongbae of the Joseon Dynasty were derived. Based on sample production and sample test results through sample motifs, we propose a design with potential for real production. The desig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orks was constructed, and conclusions could be drawn through work production and work analysis using the design process. The material is limited to brocade of the Korean fabric,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aesthetic effect and ease of water washing.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designs using materials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patterns. It aims to develop cape designs and revitalize the high value-added fashion and cultural product industry by considering embroidery patterns of the Hyoongba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not well utilized in prior research on laser cutting techniques.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cultural elemen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ashion and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자연 이미지의 유닛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연구

        감선주 ( Kam Seon Ju ),유영선 ( Yoo Young S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이미지 유닛을 활용한 패션의 디자인 표현 방법을 밝힘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접근법이 요구되는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와 사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이미지 유닛을 활용한 디자인 방법은 자연 형태의 반복과 미적 비율 적용에 의한 접근, 자연의 성장원칙과의 비례한 모티프 배치, 프랙털 기하학 적용의 디자인 접근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자연 이미지 유닛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유형은 자연의 사실적 형태, 텍스처, 색채 재현으로 유닛 간 차이를 자연스럽게 보완할 수 있는 ‘사실적 자연 유닛 활용 패션’, 기하학적이거나 자연 형태를 상징한 유닛을 반복 연결하여 수공예적 고급미를 표현한 ‘자연 상징 유닛 활용 패션’, 자연 생태계 생물의 서식지 형태를 모방하고 오리가미 기법을 활용하여 조형적 실루엣을 표현한 ‘자연 생태 구조 모방 유닛 활용 패션’, 유닛 간의 연결에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독창적 형태로 창안된 ‘프랙털 알고리즘 적용 유닛 활용 패션’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자연 이미지의 유닛 간 연결에 무봉제 기법 적용, 자연 이미지 형태의 윤곽을 이음새로 사용하여 버려지는 직물의 감소, 모듈화가 적용된 유닛의 가변적 활용에서 비롯된 옷의 사용주기 연장 등은 CO2 발생을 감소하게 하는 지속가능한 패션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패션디자인에서 자연 이미지 유닛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현재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독창성, 고급스러움, 경제적 가치를 지닌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개발의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methods using nature image units for a sustainable fashion requiring various design approa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igns using the nature image unit were expressed by methods such as repetition of natural form and application of aesthetic ratio, arrangement in proportion to the growth principle of nature, and application of fractal geometry algorithm. Second, fashion designs using nature image unit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ashion using realistic nature units’ a type which naturally complements the differences between units by reproducing realistic forms, textures, and colors in nature; ‘Fashion using natural symbolic units’ a type expressing handcrafted luxury by repeatedly connected units that symbolize geometric or natural forms; ‘Fashion using ecological structure-mimicking units’ a type which expresses formativeness by imitating the habitat structure of creature using the origami technique; ‘Fashion using units applying fractal algorithm’ a type invented in an original form using computer algorithm to connect units. Third, sustainable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were implemented, such as eliminating the need for machine sewing between units, reducing fabric waste by using nature image contours as seams, and extending clothing life by applying modular units. As a result, the use of nature image units in fashion design has expanded the fea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and is expected to be proposed as a solution for design development with originality, luxury, and economic value.

      • KCI등재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

        이윤정,Salusso, Carol J.,Lee, Jaeil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 즉,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윤리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창의적 과정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면서 동시에 윤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의류학 관련 학과에서 패션디자인 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74부를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구통계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추가 투입하였다. 그 결과 첫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생리적 피드백이 유의한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에 창의적·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수행한 경험이 있거나, 다른 사람이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을 지켜본 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작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우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두 번째 단계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변화가 없었다. 단계 2에서 추가 투입된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만이 유의한 효과를 가졌는데, 여성보다 남성이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의 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In order to foster both creativity and ethics among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sufficiently high self-efficacy to make sound ethical decisions while actively pursuing their creative processes.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from ten different universities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bsite. A total of 1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n the first stage,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was regressed on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the second st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regres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gender, residenc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in addition to the four precedent variables entered on the first stage.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outcomes and vicarious experienc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physiological feedback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even when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added on the second stage, only gender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Specifically, men showed higher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than wome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educators at a higher education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