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액정 TV의 현황 및 전망

        이이상,Lee, Lee-Sang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1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지 Vol.2 No.1

        TFT-LCD는 그 상업화의 역사가 이제 겨우 10여년으로 일천함에도 불구하고 괄목할만한 시장성장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야기했고, 그 변화의 정도는 앞으로 더욱 더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요즘 유행처럼 이야기되어지는 정보화 기술 (IT: Information Technology), 디지털 기술이란 의미도 궁극적으로 따져보면 영상정보의 효율적 전달을 의미하며, 그 정보의 실체를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은 결국 디스플레이 인 것이다.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 가운데 특히 TFT-LCD는 노트북 컴퓨터를 시발점으로 모니터 등 그 웅용분야를 점차 넓혀 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TV 시장에 대한 접근도 활발히 하고 있어 그 동안 CRT 를 사용한 TV 시장에도 향후 각 디스플레 이간의 주도권 및 영역 다툼이 더욱 심화 되리라고 예상된다. 본고(本稿)에서는 TFT-LCD를 중심으로 TV 에 응용 되기 위한 기술적 요구 사항과 현재 LCD maker들의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 등 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 IPS (In-Plane Switching)/FFS (Fringe-Field Switching)/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광시야각 액정 모드 개발 역사 및 최근 개발 현황

        이승희,Lee, Seung-Hui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20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21 No.6

        액정 모드 기술은 TFT-LCD의 화질, 공정, 비용을 결정짓는 핵심 기술로 당시 일본에 의해 새로운 개념의 광시야각 액정 모드들이 먼저 개발되었지만 한국의 엔지어들의 노력으로 순수 우리 기술을 개발해 상품화한 것은 돌이켜보면 대단한 일이었다고 본다. 당시 후발 주자인 국내 업계와 학연은 일본의 기술을 배우고 따라잡기 위해 일본어 공부를 하면서 일본어로 된 전문서적을 읽고 학회에서 일본 연구자들에 자존심을 버리고 끊임없는 질문으로 기술을 배웠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삼성의 연구자들은 당시 MTA보다 한 단계 향상된 PVA 모드를 개발해 세계 최초의 30인치 TV에 적용시켜 상용화했을 뿐만 아니라 엘지디스플레이의 연구자들은 IPS 기술을 발전시켜 대형 IPS TV의 세계시장을 주도하였다. 당시 제일 후발주자였던 하이디스 엔지니어들은 FFS란 액정 모드를 개발해 현재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TFT-LCD 업체가 이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을 양산하고 있고 향후에도 미니 LED 기술과 접목하여 고화질 LCD 기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 개발로 액정 기술 분야에서 한국 연구자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현재 신개념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한국이 리드를 하고 있다고 보는데 많은 후배 연구자들이 디스플레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을 응원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한 각 기술들에 대해 다른 전문가들과 이견이 있을 수도 있음을 명시하며, IPS와 PVA 기술을 직접 개발하지 않은 관계로 더 많은 내용을 세밀하게 기술하지 못한 점 송구하게 생각한다. 위 액정 기술들을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기술 20선에 선정해 주신 "한국 디스플레이 기술 20선 선정위원회"에 감사드립니다.

      • 미래 지향적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양자점 기반의 발광소자 연구 현황

        오누리,O, Nu-Ri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9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20 No.1

        양자점 발광소자를 이용한 다양한 미래 지향적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하여 간략히 짚어보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터 최근 이루어진 초박형 디스플레이,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등을 소개하였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얇아진 두께로 인하여 얻어지는 많은 장점들을 살펴보았고,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주름 형태의 소자부터 AC-EL 방식으로 양자점의 색 변환을 이용한 소자들을 살펴보았다. 아직까지 해결하고 탐구해야 할 주제들이 많이 있으며 실용화까지도 다소 많은 해야 할 일들이 남아있다. 또한, 향후 기대가 되는 다기능 발광소자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기존의 구형의 코어/쉘 형태의 양자이라는 정형화된 생각을 넘어 새롭게 양자점을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응용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응용을 통해 4차산업에서도 필수적인 통신, 센서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신개념 디스플레이를 알아볼 수 있었다. 앞으로 미래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 등에서 광학적, 화학적, 전기적 우수한 특성을 갖는 양자점을 적용시키는 연구는 점점 많아지고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전계발광 소자로써 응용을 위하여 많은 연구진이 힘을 쏟고 있다. 친환경 조성의 높은 광효율을 갖는 양자점을 제조하고, 소자 측면에서 본질적인 성능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기도 하겠지만 이와 함께 미래 지향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양자점을 새롭게 응용하고 다양하게 적용시켜 보는 일은 향후 우리 미래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

      • KCI등재

        Hyperrealistic frameless display for future displays

        Haruhiko Okumura,Takashi Sasaki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7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8 No.2

        Described in this paper is a novel hyperreality display called ‘head dome projector (HDP).’ HDP is a head-mounted display consisting of a dome-shaped screen with a very small radius (40 cm), a mobile projector with an ultra-wide projection lens, and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s. The principal feature of HDP is a very wide-viewing angle: 160° horizontally×120° vertically, comparable to the human visual field, without head tracking, and 360×360° with head tracking.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HDP with a flat-panel display (FPD), HDP achieved 2.5-points higher hyperreality than FPD in the case of a ±5-level evaluation for high-definition motion images. Also proposed herein is a novel hyperrealistic head-up display (HUD) concept, the windshield-refracted augmented reality projector (WARP), and described is the developed prototype WARP system. It uses monocular vision, which eliminates the depth cues caused by parallax information. The developed WARP system achieved free depth control of the HUD image position.

      • KCI등재

        A camera-based color calibration of tiled display systems under various illumination environments

        이동혁,양창모,박요한,김춘우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7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8 No.2

        Tiled display systems are widely utilized for digital signage application exceeding the size of a single flat-panel display. Smoothly varying spatial non-uniformity in luminance and color may cause visible difference in the boundary of two adjacent sub-displays. It is necessary to suppress such visible artifacts. Tiled display systems can be installed under various illumination environments and require routine color calibration to compensate for temporal change in display characteristics.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nd cost-effective color calibration method for tiled display systems. Consumerlevel digital camera is utilized as a measuring device after the proposed vignetting correction was appli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color calibration method for tiled display system is quite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visible artifacts across two adjacent sub-displays.

      •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AI 기술의 새로운 적용 동향

        장원혁,최현영,김소해,이상구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22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23 No.4

        AI기술의 유용성과 발전 가능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확인되어 왔고, 디스플레이 산업에도 AI 기술들이 적극 도입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에 도입된 기존의 AI 기술들은 주로 engineer나 불량 검사자의 업무를 자동화하는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engineer의 업무를 대체하는 고도의 지능화된 AI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능화된 AI 기술 중에서 강화 학습, 자연어 처리, Pattern Matching 기술의 원리와 적용 사례들을 다루어 보았다. 첫번째로 강화 학습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설비 control (scheduling), 재료 탐색, 그리고 회로 설계에서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두번째로는 자연어 처리에서는 기술의 기본 원리 및 다양한 적용 방법론들에 대하여 다루었고, 제조 검사 리포트 분석, 지식재산권 분석, 연구문헌 분석 등에서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Pattern Matching에서는 기술 개요와 최근의 기술 동향을 기술하였고, Object Detection과 Object Tracking 기술 비교와 함께 패널 설계 도면으로부터 engineer 가 관심을 가져야 할 pattern 탐색에 대한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 프린팅을 이용한 양자점발광다이오드 기술 현황

        곽정훈,Gwak, Jeong-Hun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7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18 No.1

        앞서 살펴본 것처럼, QLED의 풀컬러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해서는 QD의 RGB 패터닝이 핵심 기술이고, 이를 위해 최근 프린팅 기반의 다양한 패터닝 기술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아직까지 QLED 소자 기술도 완전히 성숙하지는 않은 상황이므로 풀컬러 디스플레이 실현 시기를 논하기는 조금 이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OLED 등의 유사 기술에 비해 발전 속도가 훨씬 빠르기에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LCD 이후 OLED에 이르기까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은 세계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고 있다. OLED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QLED가 가장 유망하고, QLED에 대한 정부 및 기업도 큰 관심을 갖는 만큼,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과 세계시장 주도권 유지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R&D 투자, 연구 확대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바탕으로 머지않은 미래에 QLED가 디스플레이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면 플라즈몬 기술 - 투명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

        이성민,최경철,Lee, Seong-Min,Choe, Gyeong-Cheol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2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13 No.3

        네트워크 및 전송기술의 발달로, 고품질 HDTV, IPTV 및 3DTV 영상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통신망을 사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DMB와 같은 이동 수신 방송 등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정된 대역폭으로 인한 압축 열화와 전송오류로 인한 화질 열화의 발생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체감 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VQEG 등의 국제 표준화 기관에서는 다양한 환경과 규격의 영상에 대해 영상의 품질을 측정하는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본 고에서는 동영상 화질 평가에 대해 기존에 진행된 표준에 대하여 소개하고, 현재 ITU에서 진행중인 표준화 동향 및 이슈들을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