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양인숙(Yang In-sook),안덕근(Ahn Deok-geun),남영란(Nam Young-ran),한정은(Han Jeong-eu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0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조사에서는 서울시 16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181명의 종사자를 대상(전수조사)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센터장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초점집단인터뷰 녹취 록을 토대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조사 결과에서는 센터의 기본 운영현황(시설, 대상, 교사, 수업현황 등) 및 종사자의 센터운영에 대한 인식(인력비율, 직원교육 및 슈퍼비전 현황 및 필요도, 향후 센터 이용대상 등)을 제시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센터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 발전 방안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고유한 기능 수행을 위해 인적 지원체계의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최소기준이 재정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가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센터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침에 따른 기능정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mixed-methods study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eoul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In the quantitative survey,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targete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o 181 employees of 16 Seoul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in the qualitative survey,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corded transcrip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by targeted to the four chiefs of the center. In the quantitative survey, the basic operation status of the center (the facility, object, teacher, class status, etc.) and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center operation (the manpower ratio, status and necessity of the staff education and supervision, the object of using center in future, etc.) were presented, and in the qualitative survey, the results of the more specific status and problems of center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were drawn. Based on the study results like those, in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improve the human support system for the performance of the unique functions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minimum standard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reorganiz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stly,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function according to clear guidelin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lay a role as the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f-reliance.

      • 분야 간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소고: SRV철학 기반의 실제를 중심으로

        김은하(Eunha Kim)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과 긍정적 성과를 성취하기 위한 실천 방향을 탐색하는 일환으로 사회적 역할 가치화(SRV) 철학에 기반한 분야 간 협력의 실제를 활용하는 타당성과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문헌을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독특하고 지속적인 지원요구를 가진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이 나아갈 실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으로 첫째, 연구주제들이 현장에서의 실천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발달장애인 지원요구를 고려한 다분야간의 협력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관련 분야간 초학문적 협력의 방법을 중심으로 실행되는 도식으로 볼 수 있는 개인중심 계획의 개념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 평생교육이 직면한 두 가지 어려움을 완화하고 평생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울 수 있을 것을 보았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 현장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utilizing the practice of cross-sectoral cooperation based on the social role valuation SRV philosophy as part of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chieving positive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unique and continuous support needs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ed to the following; first, the lack of specificity that research topics can present as practical strategies in the field, second, despite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between multi-disciplinary areas considering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is is difficult to realize. On this basis, the concept of PCP, an be seen as a schematic that focuses on the method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related fields was proposed. This will alleviate the two difficulties faced by lifelong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ggestions were made for field and follow-up studies.

      •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발달장애인 욕구분석 연구 - 시흥시 거주 발달장애인의 욕구를 중심으로 -

        김현숙(Kim Hyun-sook),양희택(Yang Hee-tae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발달장애인은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늘어나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정부의 복지정책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 수립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의 효율성은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수립은 발달장애인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파악조차 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흥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인의 복지 욕구를 조사하여 이들을 위한 시흥시의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 및 추진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고, 필요한 실행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한 제언은 첫째, 발달장애인들의 소득보장을 위한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담당공무원을 포함하여 시민들 전체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기관의 확대와 치료 및 재활서비스의 관리와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발달장애인 전용 평생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steadil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many policies for the disabled, but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policies is difficult to guarantee,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do not even have basic data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survey of the welfar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Siheung,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systematic system to ensure adequate support for the disabled,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policies by exploring necessary action plan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establish a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welfare of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by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examining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efficiently support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he ne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disabled, expand the number of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expand the management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establish a dedicated development education center.

      • 제4차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 실행과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방향 및 과제

        김주영(Kim Joo-young)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시행 배경과 함께 법률 규정에 의해 올해 수립・발표된 제4차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에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장애인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는 데 있다. 장애인의 평생교육이 법규에 명시된 것은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2014년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장애인 평생교육이 제도적으로 틀을 갖춘 것은 2016년 5월 「평생교육법」의 개정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18년 2월 개정 법률의 시행에 따라 제4차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이 발표되었다.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 중 장애인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의 골자는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계 구축 이라 할 수 있다. 2017년 개정 「평생교육법」 시행에 이은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 실행은 장애인 평생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평생교육 추진 체계의 새로운 구축의 출발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확충,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조사, 평생교육시설의 장애인 접근성 확보 및 정당한 편의제공,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침 개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개발,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의 양성・배치 및 관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평가 인증제 도입을 수행과제로 제시하였다. Earlier this year, the 4th Master Plan for Life-Long Education(basic plan) was announced. The plan was first announced after the Act on Lifelong Education, which was revised and enforced on May 31, 2017, stipulated that the education promotion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ncluded under Article 9 of the Act. Therefore the education community for the disabled is more interested than ever. Unlike the 1st and 3rd basic plans, the 4th basic plan focuses on establishing a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and suggests the disabled who have been vaguely included in the underprivileged as a separate program support polic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However, the fourth basic plan still has limitations that the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and diagnosed. In this study, `Extended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disabled was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development of the fourth basic plan. In addition, the research presented seven tasks, including the expansion of various type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securing accessibility to the disabled and providing proper convenience to the disabled.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제언 - 강북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조직 경험사례를 기반으로 -

        박은아(Park Eun Ah)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강북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개소를 준비하며 인력구성, 평생교육과 복지의 결합, 성인기 발달장애인에 맞는 서비스 지향성 등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통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와 장애인복지사업 간 지침을 검토하고, 선험기관에 대한 기획탐방 및 센터장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에 대한 평생교육법과 발달장애인법에 대한 설치 및 지원 근거와 센터 현황 등을 확인하였고, 궁극적인 장애인평생교육과 장애인복지의 결합구조에서 두 개의 법적기반이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센터의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운영에 조화롭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인력구조, 직원을 위한 체계적 훈련 및 교육구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협회체 구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the open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Gangbuk-gu,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the combination of education and welfare, and the service orient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and guidelines for disability welfare projects similar to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based on Article 2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Article 26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c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wo legal foundations in the combined structure of education and welfare can be harmoniously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the formation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ssoci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 would like to suggest.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 등에 대한 연구

        김주영(Kim Joo-young),정연수(Jeong Yeon-soo),권명숙(Kwon Myung-soo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라 교육부장관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를 검토 분석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대상 평생교육기관의 범위와 요건을 제시하였다. 즉,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지정되려면, 「평생교육법」 제2조 제2호의 평생교육기관이어야 하고,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기준과 교육제공인력, 시설·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교육과정 운영 유형에 따라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였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은 내용에 따라 기본교육과정과 각과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평생교육제공인력으로는 기관운영자, 교육관리자, 교사, 교육보조인력을 두도록 하였다. 시설·설비는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정하되, 관리실과 보건위생시설은 기존시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신청 및 교부 절차 등 지정 절차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signat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se duties are defined by the education minister pursuant to Article 26 of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he review. Also, we interviewed focus groups and consul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times. As a result, the scope and requirem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be designated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t must be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under Article 2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must be equipped with the criteria for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os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staff for providing education, and facilities and equipme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curriculum operation. The education curriculum provid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divided into basic courses and subj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Those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were required to have institutional operators, education managers, teachers, and education assistance. The criteria were set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while the management office and health and sanitation facilities could share exis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procedures for design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uch as application and delivery procedur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 개정 평생교육법 시행과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이상진(Lee Sang Ji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을 통합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담은 「평생교육법」 개정안이 2017년 5월 30일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개정 법률 및 시행령의 주요 내용과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시설 가운데 가장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공무원, 민간전문가, 당사자·부모, 학계전문가, 실무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단을 출범하여 운영하고 있는 충청북도지역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운영 활성화 방안으로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시설 설치 시 장애인복지관 인프라 활용,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개선,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 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보급 및 평생교육 시설 설립 확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of disabled welfare center that the mos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So this article tried to search pres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view lifelong education act, that is, revised law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is enforced on 30th, May, 2017.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current state of disabled welfare center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which is operating after lifelong educational support un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onstituted as involving official, private specialist, the parties to a disability, their parents, academic specialist and practical affairs, etc. Based on this, the article suggested infrastructure utilizing of disabled welfare center,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 qualification system,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 program development and deliver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에 관한 부모의 요구

        김두영,박인용,박미진,윤지현,조창빈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6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향후 서울특별시에서 전개될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건립 및 운영에 앞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에 관한 부모들의 요구를 조사?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의 발달장애인 부모 607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들은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지원을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설립과 국가 및 지자체 수준의 전문행정기관의 설립을 꼽았고,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가 건립된다면, 센터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발달장애인 지역자립생활 지원 역할, 중증의 발달장애인만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등을 꼽았다. 둘째, 센터의 설립 방법은 별도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설치, 바람직한 운영 주체는 국가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셋째, 센터의 이용 대상은 발달장애인으로 제한하되 장애정도별, 장애유형별로 나누어 운영하는 것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중증장애인으로 제한하는 것은 반대한다는 응답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센터가 가장 주력해야 할 사업으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제공, 재정 지원 및 프로그램 개발이 높게 나타났고, 센터의 운영 방향은 발달장애인만이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나 일반인과 발달장애인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 방향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나애노,김두영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7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 현황을 교육과정, 학습자 현황 및 교?강사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평생교 육센터 3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명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학습자의 부모 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도 함께 병행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3소 은 모두 14학급을 운영 중에 있고 기관 당 평균 4.67학급을 개설하고 있으며, 인문교양교육, 기초문해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 터를 이용하는 학습자는 모두 82명으로 기관 당 평균 27.33명이고, 성별?연령별 분포를 분석 한 결과 20대 남자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유형별로는 지적, 자폐성 장애가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었다. 한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교?강사는 성별?연령별 분포를 보면 2~30대 여교 사가 가장 많고, 경력별 분포는 1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교?강사가 소지한 교육관련 자격증은 사회복지사가 38.3%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이 복지의 개념으로 다루어지는 현 상황을 잘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 영역은 `문화예술교육(1.57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심리적 만족감(26.2%)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장애인복지관(38.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일 낮(9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기관(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주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대중교통(38.2%)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설의 제공차량(25.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intellectual-disabled adults having experienc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disabled people relevant institutions including rehabilitation centers, sheltered work place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 looking into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field that the response of `culture, art & education (1.57) was the highest. Next, at asking the purposes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26.2%)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nd, at asking the life-long program institutions that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ed i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of rehabilitation center (38.8%)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s the result analyzing the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tim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shown that the response of `daytime in weekdays (92.9%) was the highest, and at investigating their ways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it was appeared that the response of `education & training institution (37.8%) was the highest. Finally, as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main transportation type who intellectual-disabled adults commonly us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ublic transportation (38.2%)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llectual-disabled people to go to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