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뚜렛장애아동의 불안감소 및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 사례

        오승주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주문제(예술치료를 위해서 방문하게 된 주된 이유) *내담자 제보 : 자신은 모른다고 엄마에게 물어보라고 하였다. *보호자 제보 : 스트레스를 받을 때 뚜렛증상이 더 심해지며, 최근 더 심해진 증상으로 인하여 학교에서 친구들과 싸우는 일이 많고, 특히 친구와 싸웠을 때도 화를 못 참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등 대처능력이 부족하다. 좌절감내력이 부족하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불안수준이 높은 편으로 고집스런 성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속마음을 잘 표현하지 않고 숨기려고 하는 등 자신의 감정 및 자기표현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말을 하였다. 예술치료를 통하여 강박불안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상승시켜 학교에서 또래관계 향상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방순자,이혜진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5 임상예술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만성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DSM-IV의 진단에 의거 조현병으로 진단 받고, 0시 정신요양센터에 등록된 220명의 조현병 환자에서 본 연구 선정기준에 맞는 환자 110명 중 무작위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90분씩 총 18회 동안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를 시행하였다. 통합예술치료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척도로는 삶의 질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보기 위하여 2x2 반복측정설계로 혼합변량분석을 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 비하여 질병 특이적 삶의 질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전반적 삶의 질 척도에서 활력과 정서적 역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를 유의하게 변화시켰다. 넷째,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변화에서 만족감, 의사소통 및 개방성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이러한 결과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을 둔 통합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및 삶의 질의 재활 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s threapy based on Won Buddihism Maeum Gongbu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mong inpatients of chronic schizophrenia in 00 psychiatric hospital, 20 patients were allocated to either an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based on Maeum Gongbutherapy(IAT) group, which included 18 sessions of IAT and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ver 9 weeks( twice per week), or a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just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8 weeks. Quality of life(QoL) were assessed by Happy-QoL in terms of disease specific QoL and Short form 36 Health Survey-Korean(SF-36-K) in terms of general quality of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asses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Rating Scale for objective measuring and Interpersonal Change Rating Scale for subjective measuring. The results of baseline and 8 weeks were compared between group, between time and interaction group and time.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2) The score of Happy-QoL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he scores of vitality and role of emotion of SF-36-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Rating Sca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The scores of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openness of Interpersonal Change Rating Sca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8 sessions of I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 demonstrate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Maeum Gongbu has benefit on the inccreasing quality of life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inpatei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Won Buddhism Maeum Gonbu c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program for i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 타악기 중심의 집단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권주희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2 임상예술치료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행하여진 타악기 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K시에 소재하고 있는 S정신병원의 여자 30~50세 중 정신분열병 환자 24명을 선정해 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의 1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에게는 매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로 타악기 중심으로 집단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초기단계(1~3회기): 정서인식하기, 중기단계(4~9회기): 정서표현하기, 종결단계(10~12회기): 정서대처하기 등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연구도구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를 사용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타악기 중심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문제 해결적 대처방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문제 회피적 대처방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therapy was designed to allow the schizophrenics to experience the positive emotions by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are easy to lear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ussion based group music therapy on stress coping skill of peopl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24 patients who were old from 30s to 50s and hospitalized at S mental clinic in K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n each 12 patients were put into two groups :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the total of 12 sessions of percussion based group music therapy,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each session. The program was made up of three parts. The early parts(from session 1 to session 3): recognizing emotions, the middle parts(from session 4 to session 9): expressing emotions, the ending parts(from session 10 to session 12): coping with emotions. The assess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MCS and the Schizophrenia. The tools were pre and post tes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ercussion group music therapy which was designed for the people with schizophrenia was effective for the problem solving coping skill but not for the problem avoidant coping skill.

      • 서예치료가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이재희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비 약물치료요법으로 서예치료를 적용함으로 혈압을 안정된 상태로 나아가게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용인의 한 복지관에 다니는 성인 남녀로 고혈압 진단을 받아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며 서예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군 6명과 대조군 6명을 선정하였고 그중 서예에 관심이 있는 실험군 6명은 서예치료를 병행하고 서예치료를 받지 않는 대조군 6명은 객관성 유지를 위해 프로그램 중 누워서 온찜질하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혈압강하 효과를 실험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9년 2월 17일부터 주1회 70분간 모두 12회기를 진행하였고 각 회기마다 자동혈압기(Omron 회사의 HEM-7051)로 회기의 전·후를 측정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실험전 5분간 안정한 후 측정하였다. 맥박은 회기의 전과 후에 혈압과 함께 측정하였고, 기타 심리치료는 회기 프로그램 중 먹갈기 요법으로 음악과 함께 실시하여 마음을 안정시켜 혈압을 강하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측정도구로는 사전·사후검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에서의 실험군과 대조군 차시별 SBP·DBP·HR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축기압(SBP)은 6.38mmHg 강하되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차이를 보였고 확장기압(DBP)에서는 0.27mmHg씩 약간 강하된 차이를 보였으며, 맥박(HR)에서는 분당 0.8회 씩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로써 수축기압이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비교에서 가장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This causes the difficulty, however, in terms of economic condition due to medical expenses as well as the adverse drug reaction over a long period, which leads to deterrence to the prompt treatment. In this study, a way to proceed to the stable status was examined through application of calligraphy among the non-medication methods for patients under hypertensive medication regarding the blood pressure. Firstly, the study took a look at the overalls about calligraphic method, and further, its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therapy, the examples and prospects were reviewed. With initiation of approach to scientistic and medical foundation, the review on the respiration and blood pressure and the medical care for hypertension was followed as well. As to the specific performance, the methods, objec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rom part of the male and female adults in a certain welfare center in the City of Yongin, Korea, and all of whom were under medication for hypertensio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calligraphy training were chosen for the test. The six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ix for control group were taken as subject group, respectively. Out of these two, one group in six interested in calligraphy was given the calligraphic therapy training along with medication. On the other, with a view to objectivity outcome, the other group in six without training was given hot-packing, allowing to lie down in the course of program, With this condition, the pressure lowering effect from calligraphic therapy was performed. 12 times of test were processed once a week for 70 min from February 17, 2009 for examination and the measurements of blood pressure were made against them by using the sphygmotonograph (HEM-7051, Omron) after and before the training. To practice the accuracy in measurements, a five-minute rest was given prior to measuring. The nurse in welfare center checked it out herself to keep the objectivity. The pulse was measured together with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each cycle. For the measuring vehicl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xercised to se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pre-post test. In the post test,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RM-ANOVA) was taken to look into the difference in SBP․DBP․HR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ime step difference.Having a look at the 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howing the decreased pressure by the 6.38mmHg in SB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pressure by the 0.27mmHg in DBP while there happened a pattern with decrease in the cycle of 0.8 in case of HR. Thus, there w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in the comparison of pre-post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shown above, the therapy with calligraphy proved to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blood pressure through developing into the stabilized phase mentally and physically. In addition, we were able to review a variety of effects in this therapy type. As su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various programs fit to the nature of corresponding people, based on the good understandings for calligraphic therapy.

      •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환자의 불안, 우울, 삶의 질,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5 임상예술치료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stress hormones and immune function and psych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and the effect of supportive art therapy on the these variables. Te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rticipated in supportive art therapy from April, 2007 to October, 2007. Each patients self-assessed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t baseline and a following supportive art therapy. Subjects used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for measuring anxiet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for measuring depression.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short-form 36 health survey-Korean(SF-36-K). Lab tests of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 and cortisol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1.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50.89 ± .33 vs 34. 66 ± 3. 50, p<.01) 2.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3.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46.20 ±.00 vs 68. 87 ± 2. 58, p<.01) 4. After the supportive art therapy, the norepinephrine, IgG, IgA, IgM, and cortisol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ir epinephrine and T suppressor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5. Only social support among state-1, state-2,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was related to some factors for bloo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pinephrin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NK cells.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 and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tients. Group supportive art therapy significantly affects the anxie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of pneumoconiosis patients and helps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tal health. Thus, since supportive art therapy helps chronic pneumoconiosis patients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it can be used as a adjunctive method for treatment.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폐증 환자가 지지적 정신치료에 참여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해 지지적 미술치료 전 ․ 후에 불안,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자가 평가를 시행하였다. 불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고 우울에 대한 평가를 위해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가 사용되었다. 삶의 질에 대한 접근을 위해 36 health survey-Korean(SF-36-K)이 사용되었다. 지지적 미술치료 치료 전 ․ 후에 혈중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과 cortisol에 대한 혈중 농도 검사가 시행되었다. 첫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우울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0.89 ± .33 vs 34. 66 ± 3. 50, p<.01) 둘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불안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셋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삶의 질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6.20 ±.00 vs 68. 87 ± 2. 58, p<.01) 넷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진폐증 환자의 혈중 norepinephrine, IgG, IgA, IgM, 그리고 cortisol 수치가 저명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epinephrine과 T suppressor cells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섯째, 진폐증 환자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요소 즉, state 1과 state 2사이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은 혈액의 몇 가지 요소와 관계가 있다. 사회적 지지와 epinephrine 사이에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NK cells사이에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진폐증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증의 유병율이 높았으며 삶의 질은 저하되어 있었다.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불안, 우울, 삶의 질, 그리고 면역 기능의 저명한 개선이 있었으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지지적 미술치료는 만성 진폐증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심리학적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보조적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지옥진,오상우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2 임상예술치료연구 Vol.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중복장애(신체 및 지적)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H시에 소재한 C초등학교 특수반 아동중 주의집중과 공격적 행동 착석이 어려운 2명의 정신지체 중복장애가 있는 아동에게 주 1회, 15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 사전⋅사후 척도로 Conners 단축형 평가척도와 회기별 착석시간의 변화를 기록하여 변화 과정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매 회기별 대상 아동의 문제행동의 횟수를 기록한 변화과정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의집중력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셋째, 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의 주의집중 착석시간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나타났지만 전체 그래프에서는 착석시간이 상승곡선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decrease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lack of attention, aggressive behaviors, repetitive behaviors, and difficulty of sitting, out of children in a special class of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 city in Kyoungido. The program of art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5 times, once a week. Problematic behaviors and attention were measured using ex-post analysis on the basis of ACRS, and the change of sitting time was measured depending on a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cess of changes recording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s in each session after the program of art therap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ttention depending on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f art therapy. Third, there were repetitive increase and decrease in attention and sitting time after the program,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itting time in the whole graph.

      •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우울과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승연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5 임상예술치료연구 Vol.4 No.1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OO시 OO대학병원 유방암 센터에서 암 수술 후, 이환기간 1년이 지나 자조모임에 참석 중인 만 35세에서 65세까지의 유방암 환자 60명 중 무작위로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90분씩 총 15회기로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평가척도로는 성인용 성격평가질문지중 우울과 불안의 하위척도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은 유럽암학회에 의해 개발된 한국어판 암 환자 삶의 질 평가도구를 사용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x2 반복측정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우울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집단 간 차이, 측정시기 간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불안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전반적인 삶의 질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다섯째, 기능적 삶의 질은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여섯째, 증상적 삶의 질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피로, 메스꺼움, 고통, 변비, 설사, 불면증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호흡곤란, 식욕부진, 재정적 어려움은 일부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음챙김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향후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용한 심리사회적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24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6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ged 35 to 65 who underwent surgery at least 1 year before, completed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nd now attending a self help group.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 (90 minutes of Group art therapy per week for 15 times) (n=12) and control group(no action)(n=12).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vers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 score was used to assess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a t-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as tested. 2x2 repeated measures mixed ANOVA used to comp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 pre and post state difference after 15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2)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also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were found. 3)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also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were found. 4) Global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5) In functional quality of life,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y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were found. Role fun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were found. 6) In symptomatic quality of life, fatigue, nausea and vomiting, pain, constipation, diarrhea and sleep disturb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rt therapy group after 15 session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were found. Dyspnea, appetite loss, financial proble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only in somewhat.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breast cancer. Mindfulness meditation based group art therapy can be a useful psychosocial care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유옥문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4 임상예술치료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보호처분 판결을 받아 경기도 소재 A가족상담소에 의뢰된 14세∼16세의 비행청소년 53명 중 사전검사 결과 동질성이 검증된 1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이중 중도 탈락한 2명을 제외한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2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프로그램 진행 전, 후에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대응표본 t-test로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집단 간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전체적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증가시켰다. 하위영역별로는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소망적사고 대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서 중심적 대처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셋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on the juvenile delinquents’ stress handling and self-esteem. Objects of this study were among 53 juvenile delinquents between 14 to 16 years old in A family consultation center with verdict of protective disposition and were tested. Among them, 14 were selected because of their homogeneity in preliminary test and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each consisted with 7. Two of them dropped so the final objects were 6 of experimental group and 6 of controlled group.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were conducted total of 10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with 120minutes each session. Before and after the conduction of the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preliminary test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prove homogeneity between groups using SPSS 12.0 and matching sample t-test was used to prov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preliminary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regardful score difference in preliminary test of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Second,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increased overall ability to cope with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In subordinate scope, problem-focused handling, social support and hopeful thinking coping increased attentively whereas emotion-focused coping had no meaningful effect. Third,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meaningfully increased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their effectiveness in increasing stress handl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s. Thus, it seems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as effective psychosocial mediation program of juvenile delinquents.

      •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금연효과에 미친 영향

        장은영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4 임상예술치료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일반화된 금연프로그램에 인지-행동적 음악치료를 적용함으로써 청소년의 흡연행동 뿐 아니라 흡연 청소년의 특징 중 하나인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흡연행동 원인과 관련된 인지적 왜곡과 심리적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금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행동적 음악치료를 함께 실시한 그룹에서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둘째,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연 행동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과 금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모든 생활과 환경에 있어 긍정적이고 자신감 있는 생각을 확립시켜주는 인지-행동적 음악치료 금연프로그램을 추후에도 계속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music therapy program aimed at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reconstructing an irrational idea triggering smoking on motivation for teenagers' quitting smoking. Conclusively, it is known that the increase in their self-esteem of the smoking teenagers through music therapy program played a positive role in fulfilling and sustaining non-smoking decis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program showing highly noticeable effects in the increase of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quitting smoking for teenagers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경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