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모레퍼시픽의 성공과 글로벌 브랜드 전략 사례

        강화석(Hwaseok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6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8 No.1

        국내 최대 화장품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은 확고부동하게 국내 1위 위치를 고수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면서 글로벌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는 중이다. 지난 해(2015년)로 창립 70주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은 품질제일주의 정신으로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최초로 연구소를 설립하였으며,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개발 환경을 갖추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해 나가는 중이다. 아모레퍼시픽은 1997년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한방이론에 의해 개발한 한방원료를 사용한 세계적인 명품 한방브랜드 ‘설화수’를 런칭한 이후 오늘날 아시아의 가치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며 한류 붐과 함께 K뷰티를 선도하고 있다. 이 사례연구는 아모레퍼시픽의 기술개발과 품질을 중시하면서 고객의 요구와 필요에 부응하는 고객중심의 브랜드관리를 통하여 한국의 화장품 시장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국내 시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여 명품 글로벌 브랜드와 직접 경쟁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성공과 글로벌 전략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아모레퍼시픽의 성공과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성공적인 시장 확대는 창업자의 창업정신을 반영하는 기업가 정신, 최고 품질의 제품 생산, 그리고 고객중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함으로서 획득한 브랜드 자산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 결과라 할 수 있다. AmorePacific, Korea’s largest cosmetics company has steadfastly adhere to the domestic No. 1 position, going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global market. It is also outgoing and strengthen its position as a global brand. AmorePacific celebrated 70th anniversary last year. The compan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e the best products at the Quality First Spirit and established the first domestic research institutes. Through continuous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ts world-class environment equipped, being outgoing to expand its global competitiveness. AmorePacific launched the world’s luxury oriental brand ‘Sulwhasoo’ in 1997,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and used herbal raw materials by the oriental theory. It has developed by the oriental theory to the global market leader in the K Beauty with Korean Wave. This case study was to organize for success in the global strategy of AmorePacific cosmetics company through the brand management of customers with emphasis on technical development and quality of AmorePacific in response to customer needs and wants center, as well as leading Korea’s cosmetics market, not staying only in the cosmetic market to open up global markets in direct competition with global luxury brand. Successful market expansion as today’s AmorePacific’s success and global brand as a result caused the ‘entrepreneurship’ that reflects the founding spirit of the founder, the highest quality products and brand equity acquired by building a customer-oriented brand identity synergy effect with each other.

      • 리스크 관리의 경영 전략적 고찰

        송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2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4 No.3

        이 글은 졸고 ‘리스크 관리의 사고의 틀’(글로벌경영연구 제24권 제2호)의 후속 연구로 리스크 관리를 재무관리의 한 영역으로서가 아니고, 기업 경영의 통태적 위험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전략적 접근방법에 초점을 둔 RM론이다. 소위 경영전략형 리스크 관리의 궁극적 지향점은 ‘기업도산의 방지’에 두어야 한다는 설이 통설인바, 이 글은 최근 지속가능경영과 리스크 관리의 연동적 접근을 시도하는 전략적 사회책임 경영을 주요 논제로 삼아 검토하였다. 즉 전략적 리스크 관리와 전략적 사회책임경영이 함께 지향하는 ‘지속가능경영’이라는 동일목표를 공통적 포지셔닝 베이스로 삼아 하나의 통합모델로 전개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 탐색이 그 주제이다. 기업의 전반적 경영위험은 대부분은 동태적 위험이며 기엽의 생존경쟁력은 도산 리스크에 대한 통제력이라는 가설을 전제로 CSR 경영, 지속가능경영, 그리고 전략적 RM의 통섭적 모델화를 검토한 것이 이 글의 주요 내용이다.

      • 필리핀 마닐라에 선정된 일류기업의 필리핀 여성 경영인의 개인적 가치 판단과 경영방식

        Neonita Cruz B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0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2 No.1

        이 연구는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일류기업의 필리핀 여성 경영인의 개인적 가치판단과 경영 방식의 관계를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 연구가 여성 매니저들이 더 객관적고 재정비된 새로운 경영 방식에 대한 시각을 얻게해 주고 더 나은 영향력있는 사실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게 하기를 원한다. 가정의 결과는 다음을 보여 준다: 1. 필리핀 여성 경영인의 개인적인 가치판단은 그들이 속한 산업에 따라 비교될 때 상이하지 않다. 2. 필리핀 여성 경영인의 경영 방식은 그들의 가치 판단에 비교될 때 상이하지 않다. 3. 경영 방식은 그들이 속한 산업의 형태에 따라 비교될 때 상이하지 않다. 4. 경영인의 개인적 가치는 그들의 경영 방식과 유사성이 없다.

      • 중소기업의 경영관리 이슈와 촉진방안

        권석균(Seog-Kyeun Kwu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8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0 No.2

        본고에서는 중소기업 문제를 사람, 사업, 자금 관리의 측면에서 조망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대응과 기업경영의 방안을 정리하였다. 사람관리의 영역에서는 필요인력의 확보와 유지의 어려움, 임금격차의 심화 등의 고질적인 문제에 봉착하여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장기적 관점에서 정부의 고용지원정책과 중소기업의 인사관리 개선이 함께 추진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사업전략과 시장경쟁 측면에서는 불공정 시장거래를 차단하기 위한 공정거래 위원회의 능동적 역할과 동반성장을 위한 기업, 정부, 사회의 삼각 노력이 중요하다. 자금관리 측면에서는 금융시장과 직접지원정책이 조화를 이뤄야 하는 바 코스닥, 코넥스 등을 통한 직접금융의 활성화가 필수적이지만 실제 중소기업의 자금 압박을 해결하는 가장 큰 영역은 금융기관을 통한 간접금융과 정책금융이다. 이에 시장질서를 해치치 않는 한도에서 정부의 최대한의 적극적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 사업의 변동성과 취약한 경쟁기반에 비해 스스로 온전한 재무위험을 품고 성장해 나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의 경영생태계에서 왜곡된 대기업-중소기업 관계를 바로잡고, 중소기업의 열악한 경영조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of small businesses in terms of people, business, and financial management, and summarizes governmental policies and business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area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Korean SMEs are faced with chronic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securing and retaining necessary manpower, and worsening wag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s, and the solution is to promote the employment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improvement of personnel management of SMEs in the long term. In terms of business strategy and market competition, the Fair Trade Commission’s active roles in preventing unfair market transactions and the triangular efforts of corporations, government and society are important for joint growth of both large and small firms. In the realm of corporate finance, the financial market and direct support policy must be harmonized. It is essential to revitalize direct financing through KOSDAQ and CONEX. However, the largest area to solve the financial pressures of SMEs is indirect financing through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s long as it does not violate the market order.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ow up with the financial risks inherent in small business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volatility of business and weak competition base. In the current management ecosystem, joint efforts betwee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re urgently needed to correct the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and to improve the poor management conditions of SMEs.

      • 스마트팩토리 참조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Rami 4.0, IIRA, 한국형 모델을 중심으로

        우기훈(Kihoon Woo)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1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3 No.1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래,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들은 제조업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011년 독일에서 제조업 4.0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의 실행 방법들 중 하나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과 확산이다. 각국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모델이 독일의 RAMI 4.0과 미국의 IIRA이다. 한국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추진단도 2014년 산업 부문별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발표하고 기업들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IRA, RAMI 4.0과 지금의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델을 비교하고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문헌 연구를 위주로 이루어 졌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형은 현장 중심의 실용적 모델로서의 장점은 있으나 다른 모델과는 달리 기초 아키텍처와 표준이 모호하다. 둘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체계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연결된 세상’과 ‘스마트 제품’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공장 자동화’와 ‘공급사슬관리’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를 통하여 기술경영학적 관점에서 보다 수준 높은 기초 아키텍처를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countri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strong in manufacturing have been striving to revive manufacturing.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manufacturing 4.0 emerged in Germany in 2011, and one of the methods of implementing it is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mart factories. Countries seeking to build smart factories have developed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and used them as guidelines for manufacturing firms, the best known of which are RAMI 4.0 in Germany and IIRA in the United States. Korean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reference model for Korean smart factories by industry sector in 2014 to support Korean manufactu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Korean model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n IIRA, RAMI 4.0 and Korean smart factory models. As an exploratory study, extensive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chieve its objectiv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Korean smart factory model has advantages as a field-centered practical model, but unlike other models, the underlying architecture and standards are ambiguous. Second, in the Korean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connected world” and “smart product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mart factory, are not clearly management”. As a result, follow-up studies are believed to be needed to develop higher-quality basic architectures from a technology-management perspective

      • 중소기업의 사회적책임 : 한국 유나이티드제약의 사례를 중심으로

        Il S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0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2 No.1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이 보편화되면서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되고 있다. 이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성과 간에 상관관계를 조사한 국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며, 최근 윤리 경영과 사회적 책임경영에 앞서가고 있는 한국유나이티드제약(KUP)의 중소기업 형 CSR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그 사례를 검토해 보았다.

      • 리스크관리적 사고의 틀 : 전략적 접근

        송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2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4 No.2

        경영학의 중요한 분과를 형성하고 있는 리스크관리론의 일반적 연구영역은 순수위험을 대상으로 하는 보험관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따라서 보험이 부보되기 어려운 투기적 위험이나 경영일반의 동태적 위험은 기업 리스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보험과 같은 명확하고 적절한 리스크 관리수단이 없기 때문에 리스크관리론의 연구대상에서 배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장기불황에 따른 동대적 경영 위험이 지구촌 전역에 일상화 되면서 성장일변도의 경영전략론에 대한 반성과 함께 보험관리일변도의 리스크 관리론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리스크관리의 영역을 확장하려는 노력이 龜井利明(일본), Serbein(미국), Louis(프랑스)등을 중심으로 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이 글은 비록 소수 설 이기는 하지만 경영전략형 리스크관리론의 주장과 성과를 토대로 향후 리스크관리 연구가 보험관리형의 한계를 벗어나 경영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법, 또는 전략적 사고의 틀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사례로 본 한·일 양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성공유형 : 환경적 측면 중심으로

        홍상모,김현식,이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5 No.2

        재벌(Chaebol)은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산업발전을 견인하며 탄생한 기업의 형태이다. 이들 기업은 발전을 거듭하며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친인척 간에 세습 기반을 통해 도의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양산하여 왔다. 산업발전의 테두리에서 옹호되어 오던 경영자의 자금 횡령과 유용이 권력형 비리나 갑의 횡포 등으로 확산되면서 최근에는 경제민주화가 이슈로 등장하였다. 단순한 경영진의 도덕성 문제에서 출발한 기업 비리나 불투명성이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며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법적 문제로 비화된데 기인한 결과이다. 이런 와중에 경영진 쇄신을 비롯한 지속가능 성장의 경영 기반 확립을 위해 근로조건 개선, 제품 및 생태계 다양성의 존중, 기후 변화 등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적 활동이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다(Carroll, 1999; UNIDO, 2007).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그 출발이 늦고, 확실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아직까지 경영의 불투명성과 기업의 도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 기업의 현황을 일본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통한 구체적 사례와 비교하여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리하였다.

      • 한국기업의 조직변화의 원천과 동인

        권석균(Seog-Kyeun Kwun),최보인(Boin Choi),윤선영(Sunyoung Y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8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0 No.3

        조직변화는 조직 내외부의 여러 요소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구조적 관성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조직변화의 발생여부는 실증적 검증의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에서 실제 조직변화를 낳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기로 한다. 조직변화의 원천과 동인으로서는 성과하락에 의한 압력, 경영환경의 변화, 조직내부의 변화 추진동인 등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주요 변수들을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5차 년도의 회사용 및 근로자용 자료로서 389개 기업, 10,010명의 종업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해당기업의 경영성과 증감을 측정하기 위해 NICE 기업재무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조직변화로는 조직구조의 변화(본사의 조직구조변화, 사업장조직변화)와 인적자원구성의 변화(고용조정, 인력배치변경)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실증 결과, 기업들이 조직변화의 가장 직접적인 촉매제일 것으로 기대했던 경영성과 압력은 조직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의 하락은 조직변화 추진에 대한 구성원들의 저항에 대응할 수 있는 정당성을 부여할 것이지만, 그 자체로 조직변화를 야기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적으로 조직변화를 가장 활발하게 일으키는 선행요인은 경영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시장환경 변화 및 경영여건 변화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 한국기업들이 환경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구조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유경영 여부와 HR부서 전략적 역할이라는 조직내부 변화동인의 크기는 조직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종합하여 볼 때, 한국기업은 성과변화, 조직내부 추진자의 상태에 관계없이 환경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상황이론에서 일치가설(congruence hypothesis)이 조건가설(contingent hypotheses)보다 설명력이 더 큰 것을 시사해준다. The sources of organizational changes are three: performance pressure, environmental change, and internal change agent roles. Pressures from poor performance will trigger organizational changes because performance decline signals the limitations and ineffectiveness of current structural arrangements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within the organization. Environmental change will also lead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consequently the fit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environment will be achieved as contingency theorists have argued. Finally, strong top management and HR staff are expected to lead organizational change due to their strategic roles and authority. The data were collected on 389 companies including 10,010 individual responses from the 2014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and the NICE corporate financial data. As results of the analyses, all of the five variables representing the environmental chang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hange, whereas performance decline and internal change agent roles partially affected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employee relocation. Overall the results suggest Korean companies tend to be quick to change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change, but not that in other cases. The results imply that congruence hypotheses than contingent ones provide better explanation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Korean companies.

      • 재량적 발생액이 기업가치평가 오류에 미치는 영향

        조장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4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6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이익조정 행위가 기업의 내재가치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를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하고, 기업의 본질가치와 시장가치의 차이를 가치평가오류로 정의하여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이 가치평가 오류에 유의한 양(+)의 결과를 나타내어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는 기업의 가치를 과대평가하는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경영자의 대표적인 기회주의적인 행태인 이익조정으로 말미암아 기업의 가치가 주식시장에서 잘못 평가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수많은 연구결과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치평가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전무한 가운데 경영자의 행태와 가치평가 오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