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uther’s Theology of the Word in the Exposition of Psalms 1-25 at Coburg (1530)

        Batka ?ubomir,이윤정(번역자)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7 Canon&Culture Vol.11 No.2

        마르틴 루터에게 시편은 그의 전 생애 동안 가장 소중하게 생각했던 거룩한 지혜의 끊임없는 원천이었다. 루터가 시편을 성령에 의해 영감된 본문이라고 믿었던 것처럼, 루터의 이해 속에서 시편은 어느 시대에나 모든 신자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님의 말씀과 신학적인 교리를 포함하고 있다. 루터는 그의 평생 동안 두고두고 시편을 주해하였다. 루터의 후기 시편 주해는 1530년 코부르그에서 쓴 『시편 1-25편 주석』(The Exposition of Psalms 1-25)에 나타난다. 이 주석은 그 분량에 있어서 『첫 시편 강해』(Dictata super Psalterium, 1513-1516)와 『두 번째 시편 강해』(Operationes in Psalmos, 1519-1521) 만큼 방대하지 않지만, 여전히 개혁자로서 시도한 진정한 신학적 연구로 평가될 수 있다. 그의 작업은 아우구스부르그 의회 (Diet of Augsburg)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 루터가 코부르그에서 쓴 『시편 1-25편 주석』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보다 상세한 루터의 신학적 분석에 대한 귀중한 본문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루터 신학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가 첫 시편들에 대하여 시도한 다른 주해들과 여기에 나타난 그의 신학적 사상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분석은 말씀하시는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삼위일체 교리에 근거하여 세 부분으로 나누어질 것이다. 루터는 시편 1-25편의 주석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는다. 이것은 이 작품이 짧으며 신학적 진술을 하는 것이 배경을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삼위일체적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어(Oswald Bayer)의 논지를 사용하고자 한다. 하나님은 자신을 충만하게 그리고 온전하게 제공하시는 성경적 약속과 선물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우리와 함께 소통하신다. 베이어는 한편으로는 성부, 성자, 성령 사이의 영원한 관계를 명시하려는 시도 이외에도 삼위일체 신학을 위한 대안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성부, 성자, 성령께서 연이어 시대를 열어가는 가설을 제공한다. 베이어는 하나님을 “시인”으로 보는, 소위 “시학적 신학(poetological theology)”의 견해를 발전시킨다. “시학적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과 행위의 실체성을 포착한다. 하나님은 그의 말씀과 연설에서 시인이다.” 따라서 하나님 아버지, 성자, 성령의 행위와 관련된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묘사는 루터의 강의들(Operationes) 가운데 시편 9:7에 관한 그의 주해로 뒷받침될 수 있을 것이다. “성경 안에서 우리가 그 정신을 이해하기 원한다면 명사들보다는 동사들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이 논문은 첫 번째 부분에서 루터가 주석을 썼던 배경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뒤따르는 세 부분에서 하나님 행동의 특성을 소개 할 것이며, 마지막 부분에서 사람과 그의 영적 삶과 관련된 하나님의 말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믿음으로 실천하는 삶과 하나님과 소통하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코부르그 시편 주석』에서 나타난 루터의 신학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For Martin Luther, the Book of Psalms was a never-ending source of divine wisdom which he cherished during his entire life. As he believed the psalms to be texts inspired by the Holy Spirit, in Luther’s understanding they contain the word of God and theological doctrine applicable to the life of every individual in any era. Luther returned to exposition of psalms throughout his life. In a later period such exposition can be found in the Exposition of Psalms 1-25, which Luther wrote at Coburg in 1530. Even though this exposition, in terms of its length, does not compare to Luther’s extensive lecture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lecture on the psalms (Dictata super Psalterium, 1513-1516, and Operationes in Psalmos, 1519-1521), it still is an authentic theological work of the reformer. The work dates back to the time of the Diet of Augsburg and offers a valuable textual basis for a more detailed theological analysis, which has not until now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The analysis of Luther’s theology will make it possible to compare Luther’s theological thought revealed here with other expositions of the first psalms. The analysis will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ased on the doctrine of Trinity[1] as God the Father, Son and the Holy Spirit speaking. Although Luther does not specifically address the trinitarian doctrine in the Exposition of Psalms 1-25,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shortness of this piece and its context, we will use the thesis of Oswald Bayer to support such structure in this article: “The divine being communicates itself with final validity as a gift and testamental promise in which he himself gives himself to us fully and completely.”[2] Bayer offers an alternative for a theology of the Trinity other than an attempt at specifying the timeless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Son and the Spirit on the one hand, or an assumption of subsequently following epochs of the Father, Son and the Spirit on the other hand. Oswald Bayer develops the idea of the so-called “poetological theology,” which sees God as the “Poet”, thus capturing “the identity of divine speech and action; in his spoken action and performing speech [God] is a poet.”[3] Thus laid out, a depiction of God’s actions with regard to the actions of God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can be supported by Luther’s comment on Psalm 9:7 in Operationes, which states that “in the Holy Scripture one ha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erbs than to the nouns, if one wants to understand the Spirit.”[4] In the first section, this article will relate the context in which Luther wrote the exposition. The subsequent three sections will then introduce the character of divine action and the final part will focus on the word of God in relation to man and his spiritual life. It will offer a glance at the praxis of living out one’s faith and following Christ in a communicative character based on the word of God. It can be assumed that this procedure will reveal Luther’s theology also in the Coburg exposition of psalms.

      • KCI등재

        크니림과 왕대일의 구약신학 비교 연구

        강성열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9 Canon&Culture Vol.13 No.1

        크니림은 가블러의 알트도르프 대학 교수취임강연(1787년)을 기점으로 하여 구약신학이 교의학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음을 강조한다. 그는 또한 구약성서 안에 매우 다양한 신학들과 개념들이 뒤섞여 있지만. 그것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중심 개념이나 주제가 존재할 수 없음을 강조하며, 그것들을 단순히 병렬 소개하는 것만으로는 구약신학의 본분을 다했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도리어 그는 그처럼 다채로운 신학들과 개념들이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상호 비교 방법론을 통해서 밝혀내는 작업이야말로 구약신학의 과제임을 천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크니림은 구약성서의 다양한 신학들과 이념들 또는 주제들을 조직신학과도 같은 체계화 작업을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구약신학의 올바른 과제요 방법론임을 역설한다. 그렇다고 해서 크니림이 그러한 체계화 작업의 기본 틀을 조직신학으로부터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 반대로 그는 구약성서 자체로부터 비롯된 체계적인 분석의 기준을 활용하여 체계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며, 이스라엘 민족이 우리들과는 다른 그들 나름의 체계화 논리를 구약성서에 담아내고 있기에 그러한 체계화 작업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면서 그는 구약성서의 다채로운 그림들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서 체계화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판단의 기준이 정의와 의에 기초한 야웨의 우주적인 통치에 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크니림은 신구약성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기초하여 두 성서의 대등한 관계를 집중적으로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 이 과제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구약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왕대일의 구약신학은 이제껏 설명한 크니림의 구약신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구약신학의 본질과 정의, 구약신학 방법론, 그리고 구약신학의 과제와 전망 등에 있어서 왕대일은 크니림의 발자취를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렇지만 왕대일이 크니림의 구약신학을 자신의 모델로 설정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구약신학하기를 수행하면서, 크니림의 구약신학이 가진 한계점이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가능하다면 크니림의 한계와 문제점을 조금 더 비판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함으로써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구약신학의 미래를 개척하려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라 믿는다. R. P. Knierim emphasizes that, after the 1787 inaugural lecture of J. P. Gabler as a professor of theology in Altdorf University, the separation of biblical theology and dogmatic theology began. According to his argument, there are many different theologies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substantive plurality of the Old Testament’s theologies renders it im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it in terms of unity under a singular theme. Though many Old Testament theologians have published their works in which theological notions of the Old Testament were merely juxtaposed, they have turned out to be unsuccessful. Knierim argues that the Old Testament speak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reality, and there are three essential realms in the Old Testament reality: the cosmic and natural world (cosmos and nature), corporate human existence (history and society), individual existence (existentiality). Old Testament Theology must interpret how Yahweh is related to each of these realms. In so doing, the most fundamental theological aspect is Yahweh’s universal dominion in justice and righteousness based on creation theology. Furthermore, Knierim argues that Old Testament Theology must systematize the various Old Testament theological traditions analyzed by exegesis. For that reason, he calls Old Testament Theology as Systematic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Studies. Finally, the task of Old Testament Theology should also provide a fresh basi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estaments of the Christian Bible, including the role of Jesus Christ in this relationship. Tai-Il Wang follows in the footsteps of his master Knierim faithfully. He opposes to the traditional approach dissolving the multiple theological outlooks into a central theological structure around which the whole Old Testament is organized. Rather, he argues that creation and universal perspective must be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theological criteria for talking about Yahweh’s relationship to the world. He also adopt Knierim’s systematizing task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amining task of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estaments, though there may be some limits and problems in Knierim’s Old Testament Theology.

      • KCI등재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이덕주(Deok Joo Rhie)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5 No.2

        이 글은 1910년 번역을 끝내고 이듬해 출판된 신?구약 한글 성서의 번역과정을 정리하고 그 100주년의 역사 신학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870-1880년대 중국 만주에서 시작된 한글 성서 번역과 출판은 한국 개신교회 복음 선교의 단초를 제공했고 1885년 일본에서 인쇄된 한글 성서를 갖고 내한했던 개척 선교사 아펜젤러와 언더우드는 곧바로 성서 공동 번역에 착수하여 1887년 마가복음을 인쇄하였다. 이를 계기로 선교사들이 성서 번역자회를 조직하여 처음엔 일본과 만주에서 번역된 성서를 교정하는 형태로 진행하다가 1893년 상임성서실행 위원회와 번역자회를 새로 조직하면서 개인 역→번역자회 역→위원회 역→시험 역→공인 역으로 이루어진 번역 원칙과 방법론을 제정하였다. 이런 원칙하에 전면적인 번역 작업에 착수하여 1900년에 시험 역본과 개인 역본이 혼합된 형태의 신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어서 1904년 영국과 미국,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와 한국 선교에 착수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들이 참여한 한국성서위원회를 조직하고 체계적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인 번역자들도 참여하는 성서 번역자회를 새롭게 구성하여 신약 개정 작업에 착수하여 1906년 공인 역본 신약전서를 인쇄하였고 이어 구약 성서 번역에 착수, 1910년 4월 번역을 끝내고 1911년 3월에 구약 전서 및 신?구약 합본 성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로써 한국 교회는 비로소 한글로 번역된 성서 전체를 소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신?구약 성경전서는 한국개신교회 선교 개척을 담당했던 내한 1세대 선교사들과 이들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이고 개종한 1세대 토착 교인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제1세대’ 한글 성서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제1세대’ 한글 성서로 1910년 번역을 끝낸 신?구약 성서는 다음 세 가지 역사신학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성서 번역을 통해 복음의 토착화가 이루어졌다. ‘말씀이 육신이 되는’ 성육화(成肉化) 과정처럼 성서 속에 담긴 기독교 신앙과 신학적 의미가 한글 번역을 통해 한국의 토착 언어와 종교 문화 속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둘째, 성서 번역과 인쇄를 통해 한글의 과학적 연구와 실용화가 이루어졌다. 초기 내한 선교사들은 성서를 비롯한 기독교 문서를 한글로 번역, 출판하였는데 그 결과 세종대왕 창제 이후 4백 년 넘게 긴 잠을 자고 있던 한글의 실용화와 연구가 이루어져 한글이 ‘한국민의 생활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셋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통해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촉진되었다. 외국의 3개 성서공회, 한국 선교에 임하고 있던 6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가 조직한 성서위원회는 물론 성서 번역자 회도 초교파적으로 조직, 운영되었는데 이를 통해 교파주의를 극복한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가능하였고 그 결과 ‘하나의 교회’를 지향하는 ‘하나의 성서’ 전통을 수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한글 성서 최초 완역 100주년의 역사신학적 의미-

        이덕주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4 No.1

        This is the centennial year of the translation of the whole scriptures, New and Old Testaments into Korean language. In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mission in Korea was the works of translation,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Bible tracts by the foreign missionaries and the Korean Christians in Manchuria of China before landing of the missionaries on Korea. And the pioneer missionaries, H. G. Appenzeller of the Methodist Church and H. G. Underwood of the Presbyterian Church landing at Korea on the Easter day of 1885 in possess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t. Mark printed in Japan, started their mission works together with the revision and translating of the Bible into Korean. They succeeded to print Korean revised version of St. Mark in 1887 when they, with other missionaries in Korea, formed the Permanent Committee of Bible and the Board of Translator for the future Bible works in Korea. In 1893 the missionaries in Korea renewed the Bible Committee and the Board of translator as the more enlarged interdenominational bodies and prepared the basic principle of translation of the Bible. In 1900 they finished translating and could print the New Testament as in both of the individual and the tentative versions. From then the board members began to revise the individual versions of the NT and could provide a tentative version of whole NT in 1904 when the Bible Committee was reorganized with the representatives of three foreign Bible Societies and six missions of the Methodist and the Presbyterian Churches, the board of translators with the foreign missionaries and the native Christians.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and the board took impetus to revise the tentative version of NT so could print the first authorized version of NT in 1906. Thence board members made haste to translate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and could report of the completion of translation in 1910 and printing of the Korean OT and with the NT in one volume for the first time in 1911. It was thirty five years since the Scotland missionaries ventured to translate the Gospel into the Korean language in Manchuria and twenty five years since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ies reached Korean shores with a Korean version of St. Mark. So thus the Korean people and the Christians were able to read in their own tongue the whole Bible, the first generation Korean Bible, a product of cooperation of the first-coming missionaries and the first-converted native Christians in Korea. We can find in this first generation Korean Bible three historico-theological meanings. Firstly, there came to be indigenization of the Gospel in Korean religious culture through translation of the Bible into the Korean language. Namely the incarnation of the word to the life and the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was done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the practice of the Biblical messages in Korean linguistic form. Secondly, the Korean vernacular Hangul began to be studied scientifically and treated as an authorized language trough translation and printing of the Bible in Korean. From the early days of the Christian mission the foreign missionaries found the scientific superiority and efficiency in Hangul and determined to publish all the Christian books in Hangul. So it awoke from a long sleep of four hundred years and took successfully the position of an authorized popular language of the Korean people. Thirdly, Bible works initiated and provided the basic ground of ecumenical movement in Korea. Mission works in Korea began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Methodist Appenzeller and the Presbyterian Underwood in translation of St. Mark and building of the Bible Committee and the Board of Translators as an interdenominational body. Thence the ecumenical work embracing of translation,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Bible help Korean Church to sustain the tradition of ‘one Bible for one Church’ in Korea. 이 글은 1910년 번역을 끝내고 이듬해 출판된 신․구약 한글 성서의 번역과정을 정리하고 그 100주년의 역사 신학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870-1880년대 중국 만주에서 시작된 한글 성서 번역과 출판은 한국 개신교회 복음 선교의 단초를 제공했고 1885년 일본에서 인쇄된 한글 성서를 갖고 내한했던 개척 선교사 아펜젤러와 언더우드는 곧바로 성서 공동 번역에 착수하여 1887년 마가복음을 인쇄하였다. 이를 계기로 선교사들이 성서 번역자회를 조직하여 처음엔 일본과 만주에서 번역된 성서를 교정하는 형태로 진행하다가 1893년 상임성서실행위원회와 번역자회를 새로 조직하면서 개인 역→번역자회 역→위원회 역→시험 역→공인 역으로 이루어진 번역 원칙과 방법론을 제정하였다. 이런 원칙하에 전면적인 번역 작업에 착수하여 1900년에 시험 역본과 개인 역본이 혼합된 형태의 신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어서 1904년 영국과 미국,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와 한국 선교에 착수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들이 참여한 한국성서위원회를 조직하고 체계적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인 번역자들도 참여하는 성서 번역자회를 새롭게 구성하여 신약 개정 작업에 착수하여 1906년 공인 역본 신약전서를 인쇄하였고 이어 구약 성서 번역에 착수, 1910년 4월 번역을 끝내고 1911년 3월에 구약전서 및 신․구약 합본 성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로써 한국 교회는 비로소 한글로 번역된 성서 전체를 소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신․구약 성경전서는 한국개신교회 선교 개척을 담당했던 내한 1세대 선교사들과 이들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이고 개종한 1세대 토착 교인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제1세대’ 한글 성서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제1세대’ 한글 성서로 1910년 번역을 끝낸 신․구약 성서는 다음 세 가지 역사신학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성서 번역을 통해 복음의 토착화가 이루어졌다. ‘말씀이 육신이 되는’ 성육화(成肉化) 과정처럼 성서 속에 담긴 기독교 신앙과 신학적 의미가 한글 번역을 통해 한국의 토착 언어와 종교 문화 속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둘째, 성서 번역과 인쇄를 통해 한글의 과학적 연구와 실용화가 이루어졌다. 초기 내한 선교사들은 성서를 비롯한 기독교 문서를 한글로 번역, 출판하였는데 그 결과 세종대왕 창제 이후 4백 년 넘게 긴 잠을 자고 있던 한글의 실용화와 연구가 이루어져 한글이 ‘한국민의 생활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셋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통해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촉진되었다. 외국의 3개 성서공회, 한국 선교에 임하고 있던 6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가 조직한 성서위원회는 물론 성서 번역자회도 초교파적으로 조직, 운영되었는데 이를 통해 교파주의를 극복한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가능하였고 그 결과 ‘하나의 교회’를 지향하는 ‘하나의 성서’ 전통을 수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성서 신학, 더 이상 조직 신학의 토대가 아닌가?

        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1

        본 논문은 신학 분과에 있어서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에 있는 불통의 문제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데서 출발한다. 이것은 기독교 역사를 통해서 볼 때 최근 200여 년에 일어난 일이다. 그 이전에는 신학자는 곧 성서 해석자였고, 성서 주석자는 곧 신학자였다. 그런데 18세기 말 가블러가 성서 신학과 교의 신학을 나눈 다음, 급기야 나중에는 성서와 상관없는 조직 신학, 신학이 없는 성서학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철의 장막”을 문제로 본 성서학자들은 성서 신학을 제창했고, 조직 신학자들은 성서적 조직 신학을 외쳤다. 본 논문은 이 중에서 조직 신학자인 미로슬라브 볼프(M. Volf)의 성서를 신학적으로 해석한 것을 분석, 평가한 것이다. 분석 결과 그의 성서적 신학은 성서 여기저기에 있는 진리를 조직 신학자의 입맛에 맞게 요리해 내는 것도 아니요, 또 ‘성서 본문 주석-성서 신학-조직 신학’에 이르는 단계를 거치는 단절된 것을 연결하는 신학도 아니라는 것을 보았다. 그의 신학은 성서의 진리를 오늘의 되살리는 것으로 여기에는 주석과 해석과 실천이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신학하기는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과 단절은 물론 신학(이론)과 윤리(실천)의 단절도 좁혀준다. 이러한 볼프의 성서의 신학적 해석은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을 연결하거나 이것을 하나의 해석 체계로 만드는 하나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성서의 진리를 신학화를 통해 오늘의 상황과 삶까지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신학 내에서의 간학문적 연구의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학하기가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 사이에 그동안 있어왔던 “철의 장막”을 제거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볼 때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not normal for biblical scholars to have little conversation with (systematic) theologians and vice versa. This is a comparatively recent phenomenon for last 200 years in entire Christian history. Until that time, theologians were the interpreters of the Scripture; exegetes were theologians. Then W. Gabler distinguished biblical theology from dogmatic theology in late 18th century. This resulted in both systematic theology with having nothing to do with biblical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of having no interest in theology. As a result there was “iron curtain” between them. It was a problem. That led to bear both biblical theologians with advocating biblical theology and theologians based on the Scripture. M. Volf is prominent among such systematic theologians, in that he has done his theology based on his principle of theological reading of the Bible more thoroughly than any other scholar of our time. His method is neither simply to collect data from the Bible nor to follow the model of ‘exegesis-biblical theology-systematic theology.’ Instead, he proposed a hermeneutics including all of them. He wants to make biblical truths for the practices for our time. This makes the gap shorten both between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an and between theology and ethics. This kind of biblical/theological hermeneutics is a model for one hermeneutics which includ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Further, it connects theory into practice. In short, Volf was, I believe, successful in the interdisciplinary work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his can make the “iron curtain” posed between them be discarded.

      • KCI등재

        요한복음 주석서에 나타난 이상근의 교회 이해

        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7 Canon&Culture Vol.11 No.1

        이상근은 신구약 전 권 주석서를 썼고,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교회목회자들에 대한 그의 주석서의 영향력은 지대했다. 그의 사후 최근 10년간 그의 신학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그의 인물됨과 사상의 면모가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에는 그의 각 주석서에 나타난 특정 신학 사상을 연구하는 심포지엄이 있었다. 그러한 심포지엄에서 교회론을 다루었는데, 본 논문은 요한복음 주석서에 나타난 그의 교회론을 연구한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이상근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교회 이해를 찾아내어 그 신학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상근이 그의 요한복음 주석에서 취한 주석 방법의 특징이 교리적 성서 주석이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그는 요한의 교회론을 요한복음저자의 신학에서가 아니라 신약 전체의 교회론, 나아가 조직신학적 교회론에서 해석한다. 그는 성서 전체에서, 교리적으로 요한 교회론을 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 방법의 유용성은 성서를 한 권의 책으로 보면서 그 안에 내제된 교리의 통일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법의 제한성은 역사의 한 시점에서 개별 저자가 특정한 목적으로 제시한 신학을 밝혀내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상근 성서주석의 유용성과 동시에 한계에 대해서도 말하는 것이다. Sang Kun Lee wrote commentaries on the entire Scriptures through his whole life, and they have influenced greatly on the Korean pastors during last 50 years. After his death, a number of articles and essays regarding his life and theology are published, and hot discussions on the significance of his thoughts are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ang Kun Lee’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reflected in hi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This study will make clear that his way in exegesis is a kind of holistic or doctrinal method. Further, he is a minimalist in his understanding of Johannine ecclesiology. What I mean by holistic method is that he regards the New Testament as the book which has unity in its doctrines. He understands Johannine ecclesiology as a part of New Testament ecclesiology, which he believes has unity rather than diversity. I will try to prove this by analyzing the ecclesiological texts in hi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Then, I will discuss on both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both of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of this method. This is useful in that one can understand the whole Scripture as a coherent book with regard to the doctrines. However, it has limitation in that it prevents interpreters from seeing the theological distinctiveness of each author.

      • KCI등재

        <서평> Comprehensive Analysis about Schüssler Fiorenza’s In Memory of Her for the Korean Churche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Jae Hyung Cho(조재형)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8 Canon&Culture Vol.12 No.2

        이 서평은 그리스도교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에 초점을 맞추어서 엘리자베뜨 쉬슐러 피오렌자의 책, 『그녀를 기억하면서』 한국 교회의 성서해석을 위해서 비평적으로 살펴본다. 그녀의 저서는 1983년에 처음 출간된 이후로 성서적 여성학과 해석학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여기에서 피오렌자의 여성해방적 사료 편집을 이용해서 여성들의 관점에서 성서를 해석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해석은 남녀 동등한 제자직을 위한 성경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여성의 가부장적 폐색과 남성중심의 사역자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현재의 성경을 거부하면서 작업한다. 비록 그녀의 해석학은 주로 세계의 1/3과 백인 여성들의 상황 사이에서 움직이지만, 그것은 가부장적 구조의 억압을 극복하기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준다. 그녀가 인용하는 빈번한 신약성서의 예들(특히 가정교회)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많은 설득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역사적 예수에 대한 그녀의 입장은 그녀의 약점이 된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교의 기원은 역사적 예수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의 기원을 추적하는데 피오렌자의 주장들에는 난점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녀 주장의 강점들은 약점들보다 훨씬 크며, 성서에 대한 그녀의 여성해방적 해석은 현재 한국 교회와 사회를 위해서 여전히 필요하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Elizabeth Schüssler Fiorenza’s book, In Memory of Her, focusing on the feminist reconstruction of Christian origin for the current Korean churche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Since it was first published in 1983, it has been great influential both in biblical feminism and hermeneutics. Here, Fiorenza tries to interpret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by using a feminist historiography. In order to reconstruct a canon of the discipleship of equals, her work argues that the present biblical canon has been written and interpreted by patriarchal occlusion of women and its androcentric practitioners. Although her hermeneutics has mainly moved between the One-Thirds Worlds and White women’s situation, it gives crucial implications for all who want to overcome oppression of patriarchal structure. Her frequent examples of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the house church) give a lot of persuasion for Christians. But her position of historical Jesus is her weakness because Christian origin cannot be separated from historical Jesus.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some difficulties of Fiorenza’s arguments to trace Christian origins, their strengths significantly outweigh their weaknesses and her feminis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still necessary for the current Korean church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성결 법전의 땅

        김선종(Sun-Jong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1

        지금까지 구약신학에서 땅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신명기 및 신명기 역사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우리가 성결 법전에 나타난 땅을 이 법전의 신학적 틀 안에서 이해할 때, 신명기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신명기 및 신명기 역사서에서 땅은 이스라엘 백성이 정복해야 할 대상이라면, 반대로 성결 법전에서 땅은 스스로 거주민을 받아들이고 내어 쫓는다. 독자들은 이처럼 이스라엘 땅의 개념에 대해 존재하는 명백한 차이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역사비평 가설에 대해 재고할 것을 요청받는다. 최근 성결 법전의 땅에 대한 연구에서, 땅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매개물로서, 인격화되어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우리가 성결 법전 본문에 나타난 땅이 행하는 기능을 살펴볼 때, 이 법전의 저자는 땅을 독립된 인격체로서 이스라엘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로 드러내고 있다. 나지르로서, 또한 하나님의 성소로서 이스라엘 땅은 자신이 창조된 당시 부여받은 정결함을 유지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하나님의 벌을 받고 자신의 거주민을 내어 쫓음으로 황폐화 된다. 이러한 성결 법전에 나타난 땅의 개념은 우선 이 법전을 낳은 제사장 문서의 창조신학에 근거하고 있다. 동시에 생명을 지니고 더 나아가 다른 생명을 잉태하는 어머니로서의 땅은 이스라엘 백성의 민중 신앙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준다. 땅이 생명을 지니고 있고 하나의 독립된 인격을 지니고 있다는 성결 법전의 언설을 단지 문학적이고 상징적인 표현 양식으로 이해할 때, 우리는 또다시 인간 중심적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성결 법전이 보여주는 땅에 대한 신학은 하나님의 피조세계를 지배하고 이용하려는 현대인들에게 땅이 지니고 있는 생명의 권리와 땅에 대한 경외를 회복할 것을 요청한다. Until now in the Old Testament theology,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land has been made mainly in the domain of Deuteronomy and the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When we understand the land in the framework of the Holiness Code, we see that there are quit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 concept of the land in the Holiness Code and that of Deuteronomy. While Deuteronomy and the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define the land as the object of Israel’s conquest, in the Holiness Code it is the land that accepts and expels the people. This obvious difference that exists between two law codes requires the reader to reconsider the hypothesis of the traditional historical criticism. Recent studies on the land of the Holiness Code interpret the land as a mediator between God and humankind and as a personified being having symbolic meaning. However, the examination on the function of the land in the Holiness Code reveals that the author of this law code describes the land as an independent person and a subject which drives the history of Israel. As Nazirite and as the sanctuary of God, the land of Israel should maintain its purity given at the time of creation. If not, it is punished by its Creator and devastated by spewing its residents. The concept of the land in the Holiness Code is based upon the creation theology of the priestly code that has produced the first law code. At the same time, the aspect of the land as the mother who bears the life and conceives another lives reflects the popular faith of Israelite people. When we consider the discourse of the Holiness Code on the land having a life and person as a simply literary and symbolic expression, we make a mistake to interpret the biblical passages anthropocentrically. The theology of the land in the Holiness Code demands modern people, who want to dominate and exploit the created world by God, to restore the right of the land and to respect other creatures.

      • KCI등재

        예수말씀 복음서 Q에 나타난 예수의 신학적 인간학

        소기천(Ky-Chun S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8 Canon&Culture Vol.12 No.1

        본 연구는 불트만이 하나님의 아들로 이 땅에 오신 지혜의 교사라고 주목한 예수의 신학적 인간이해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예수의 신학적 인간학은 가난한 갈릴리를 중심으로 예수와 함께 사역에 동참하였던 최초의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인간이해를 탐구하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림은 논문 참조〉 이 도표에 의하면, 유대인의 자랑이었던 아브라함의 자손이란 의식은 역설적으로 사실상 유대인을 걸려 넘어지게 하는 돌과 같은 것이기에, 오히려 갈릴리 중심으로 새로운 예수운동을 시작한 Q 공동체에게 빚진 사람들이란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선교 공동체라고 그 마음에 인식하게 하고, 몸만 죽이는 세상의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고 생명의 주인이 되시는 천지의 주제이신 하나님을 섬겨야 한다고 일깨운 것이 예수의 인간이해가 지닌 중심사상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Jesus as the teacher of wisdom who come down on this world. The study of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Jesus is connected with the study of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Early Church who was the earliest community participated with the ministry of Jesus in the poor areas surrounding Galilee. 〈그림은 논문 참조〉 According to this diagram, the consciousness of Abraham’s children as the most Jews’ proud is paradoxically a stumbling block which is trapped down by the Jewish people. Rather the new movement of Jesus in Galilee and its vaticinate areas lets give the Q Community a new indemnity of debtors, realize the recognition of the missiological community as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in their mind, and lighten to do not afraid only kill the body against the power of this world. However, the Q community must serve the God who is the Lord of the earth and heavens as the eternal giver of life.

      • KCI등재

        시편 1권의 문맥에서 본 시편 9-10편의 “아나브”(עָנָו)의 의미

        김창대(Changdae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0 Canon&Culture Vol.14 No.1

        본 연구는 시편 9-10편에서 등장하는 “아나브”(עָנָו)의 의미가 시편 1권의 문맥에서 어떤 신학적 의미를 가지는 지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편의 시들이 의도적으로 배열되었다는 구성적 방법을 사용하여, 시의 경계를 넘어 주위 시들의 문맥에서 עָנָו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9-10편의 문맥, 3-14편의 문맥, 더 나아가 시편 1권의 전체 문맥에서 이 단어가 어떤 신학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일차적으로 9-10편에서 “아나브”는 세상의 욕심을 멀리하고 인생의 연약함을 직시하여 하나님의 교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인 공의와 의를 추구하는 자라는 신학적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이런 자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로 제시된다. 다음으로 9-10편이 속해 있는 3-14의 문맥에서 이 단어의 의미는 더욱 확대되어,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자신도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의 모습을 갖는다(3-7편). 그리하여 하나님과 인격적 교제의 기쁨을 가지고 환난을 이기고자 하는 자임을 일깨워 준다(4:7, “주께서 내 마음에 두신 기쁨은”). 더 나아가 이 단어는 인생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철저하게 신뢰하고 보호와 구원의 약속을 받는 축복의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갖는다(11-14편) 다음으로 시편 1권의 문맥에서 이 단어의 신학적 의미를 관찰하면, 그 의미의 지평이 더욱 확장된다. 앞서 3-14편은 “아나브”가 하나님의 구원과 보호라는 복을 받을 것을 약속하였다. 그런데 15-24편은 그런 복을 시온의 복으로 병치시키고, 시온의 복을 받은 사람은 율법을 즐거워하여 율법을 묵상하는 자임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아나브”가 율법을 즐거워 하여 묵상하는 자라는 힌트를 준다. 이어 25-37편은 “아나브”가 언약과 도를 따라 땅 상속과 평강이라는 복을 받게 될 것을 강조한다(37:11, “온유한자는 땅을 차지하며 풍성한 화평으로 즐거워하리로다”). 끝으로 38-41편은 “아나브”가 고난을 통과하면서 자신이 죄인이며 아무것도 아닌 존재임을 깨닫고(38:4; 39:5-8), 율법을 즐거워하며 율법을 마음에 새기는 자임을 보여준다(40:8-9). 그리하여 “아나브”가 시편 1편이 복이 있는 자로 제시한 의인임을 깨닫게 해 준다(41:1). 결국 “아나브”는 고난 가운데서 인생의 덧없음과 자신이 아무것도 아님을 깨닫고, 하나님과의 교제의 기쁨 속에서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분의 뜻을 자발적으로 행하고자 하여, 궁극적으로 참된 복을 받는 성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is work has its purpose in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word עָנָו which occurs first in Psalms 9-10 throughout the entire Psalter. To this end, this study has used the compositional method in such a way of attending to the literary context surrounding Psalms 9-10 where the word is first mentioned. More specifically, in an effort to find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עָנָו in the Psalms, our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context of Psalms 9-10, then to the context of Psalms 3-14, and finally to the broader context of Book I of the Psalter. In the process, the argument has been advanced that the word עָנָו in Psalms 9-10 has among other connotations the sense of pointing to a person who seeks the justice and righteousness of God 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at the same time trusting in God. Within its immediate context of Psalms 3-14,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word עָנָו are further expanded in such a way that it includes the concept of a person who loves God in response to experiencing God’s love (Psalms 3-7). This leads to the notion that עָנָו implies also a person who overcomes any adversities with a joy coming from relationships with God. Furthermore, the contextual reading of Psalms 11-14 hints that עָנָו conveys the sense of a person who is blessed with the promise of salvation by God. Further observations of the implications of עָנָו within Book I of the Psalter, widen the horizons of our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word. In attending to the context of Psalms 15-24, the sense of עָנָו is revealed to embrace the concept of enjoying the law and meditating on it. From the contextual reading of the word in Psalms 25-37, it is evident that the identity of עָנָו is deeply related to a blessed person who is given the promises of God, that is to say, inheriting the earth as well as peace. Finally, when dealing with the implications of עָנָו in the context of Psalms 38-41, it is found that a picture of עָנָו is taken as a person who puts the law into his heart(40: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