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r. Professor James M. Robinson's Visitations to Korea: For Robinson's Special Occasion at His 90th Birthday

        소기천(Ky Chun So) 한국Q학회 2014 예수말씀연구 Vol.- No.3

        이 논문은 필자를 포함하여 90 회 생신을 맞이하는 제임스 M. 로빈슨(Rudolf Bultmann) 교수가 한국학자들에게 준 영향력을 토대로 그가 남긴 커다란 학문적 업적을 뒤돌아 봄으로써 칼 바르트(Karl Barth)와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이후에 그의 지적인 향유가 남긴 신학적 통찰력을 살펴보고 한국 학자들에게 불러온 Q 연구의 결과물들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로빈슨은 한국을 두 번 방문하였다. 처음에 일본을 거쳐서 방문한 1965 년에 그는 예루살렘을 향하여 가는 여정이었으므로 동으로부터 서로 움직이는 엄청난 거리의 순례자의 여행과 같은 것이었다. 그 때에 그는 역사적 예수와 관련된 논문들로 한국신약학계에서 강연을 하였는데, 고 전경연에 의해 통역이 된 "불트만과 그 제자들 사이의 논쟁"이란 논문과 고 김용옥에 의해 통역된 "바르트이후의 해석학"이란 논문이었다. 로빈슨은 당시의 한국학자들이 아주 겸손하였고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회상하고 있으며, 지금도 서울에 있는 여러신학교들을 방문한 것에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오랫 동안 한국신약학계에서는 그의 '새로운 해석학'(New Hermeneutic)에 관한 관심이 많았다. 로빈슨의 Q 연구와 관련된 내용은 1990 년대에 들어서서 비로소 한국인 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는 역사적 예수 연구와 공관복음서 연구와 더불어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것이었다 로빈슨은 2006 년에 다시 한번 소기천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하였다. 그 해는 이미 1 년 전에 그가 클레어먼트 대학교(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의 고대와 기독교 연구소(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의 Q 연구실(the Q Room)에 있었던 모든 자료들을 항공편으로 보낸 이후이기 때문에 한국 학자들을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을 시작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한국학자들이 그 귀중한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때에 그는 '예수말씀허부'(Jesus Sayings Hub)라는 한국인을 위한 예수말씀연구소를 창립하였다. 한국의 예수말씀 연구와 관련하여 로빈슨은 적어도 예수말씀이 초기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단지 천천히 인식되어 오늘의 복음서 기록과 같은 상태로 보존되기에 이른 것이라고 간주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로빈슨의 인식을 토대로 한국인 학자들의 Q 연구에 미친 영향력을 중심으로 얼마나 많은 Q 연구가 한국인 학자들에 의해서 지난 20 년 동안 수행되어 왔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essay wants to show James M. Robinson's impacts to Korean scholars including me. Reviewing many spectacular works done by James M. Robinson, I specifically went over his intellectual biography, his theological insights that came after Karl Barth and Rudolf Bultmann, and his impact on scholarly improvements in Korea. Robinson visited Korean twice. On the first time, he visited Korea himself in 1965 via Japan because he was on the tour heading Jerusalem from the East to the West. At that time, he presented his lectures over the Historical Jesus, "the Debate between Bultmann and His Pupils" translated by Kyung Yun Chun, and the New Hermeneutic, "Hermeneutics since Barth" translated by Yong Ok Kim. Robinson recalls that Korean theologians at those times were very polite and their relationship seemed intimate, even though their seminaries vary in Seoul. In relation to the influences of Robinson's Q studies, the concern of Q regarding the historical Jesus in Korea was raised in the study of the synoptic Gospels during 1990s. James M. Robinson's revisit of 2006 was the most important event for Korean scholars because he gave a couple thousand copies on Q that he possessed in the Q Room at 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 i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In order to allow many people in Korea use the materials, he organized the Korean Q institute called "Jesus Sayings Hub." In relations to the Jesus Sayings Hub in Korea, Robinson thinks that Jesus sayings should be accorded at least in equal status with the gospel that has only slowly gained ground among Christians.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와 이슬람의 여성 지위와 역할에 관한 예수말씀의 연구

        소기천(Ky Chun So) 한국기독교학회 201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0 No.-

        This is a study of Jesus` sayings about women`s status and role in a comparison of the Bible as a scripture of Christianity to the Koran as a scripture of Islam by using the method of woman`s study in various perspectives of cultural interpretation and social psychology. This paper`s main concern is how the Gospels understand Jesus` attitudes toward women in the era of the Greco-Roman and Jewish world and how the Koran understands women unlike Jesus` sayings about women`s status and role, because the Koran written in the 7th century knew about the New Testament which was written in the 1st century. After the September 11 attacks, many Islam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e issues of Islamophobia because the world is at war with armed Islamic terrorists. Hence this paper is interested in how and why Islamic culture got easily intrigued with violence, duality, honor killing, and exclusiveness in relation to women`s status and role and what the universal values in the 21st century that most people want to have is on the basis of modernity or modernism. This paper compares many points with women`s marriage, divorce, remarriage, and men`s privilege coming from the Bible as well as in the Koran, in order to suggest the human values of women in Jesus` sayings that men and women can be equally accepted in the 21st century on the basis of universal values of modern culture. The Koran`s several sayings of discrimination of women and polygamy cannot be totally accepted by the Korean modern society because Korean people share the modern values like monogamy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 KCI등재

        일반 : 마태복음의 이사야 인용구에 나타난 상호본문성(intertextuality)에 관한 연구

        소기천 ( Ky Chun So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3 No.-

        마태복음은 그 어느 복음서보다 구약을 많이 인용하며 구약과 마태공동체를 밀접하게 연관시키고 있다. 마태복음에 나타나는 일련의 구약성취인용구들은 마태가 유대전통의 연속선상에서 구약과 마태공동체를 끊임없이 연결하려는 신학자였음을 보여준다. 마태의 구약 인용구 중 특별히 이사야서와의 연관성은 긴밀하다. 본 연구는 마태의 이사야 인용구에 드러난 신학적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태는 이사야에 드러나는 신학적 주제들을 마태공동체의 신학을 뒷받침하기 위해 문자적인 인용이 아닌 다소 유연한 상호본문성 (intertextuality)을 활용하여 인용하였다. 이는 상당한 신축성(flexibility)을 갖고 이루어졌으며 또한 이를 유연하게 사용한 마태는 LXX과 히브리어 본문에 상당히 능숙한 이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마태는 유대교의 전승을 붙잡으면서 동시에 그들이 직면한 유대인으로서의 딜레마에 대한 해결로서 이사야의 신학을 도입하였으며, 이사야의 신학이 마태공동체에 적합하도록 경우에 따라 LXX을, 때로는 히브리어 본문을 아니면 양자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사야 인용은 마태의 중심신학을 정립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이들이 경험하고 믿었던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반영한다. In Matthew`s Gospel essentially an early collection of traditions about Jesus that has been deliberately grouped around ten different verses or passages from Isaiah that were commonly believed to point prophetically to Jesus and His ministry. I think it quite likely that the purpose of this Gospel was for use by Christian churches as an authoritative assembly of teaching about Jesus, helpfully arranged around ten themes of prophetic fulfillment taken from Isaiah, one of the most popular Old Testament books in the Early Church. We too would do well to recover an understanding of the genuine fulfillment Jesus brought to both the Law and the Prophets, fulfilling all righteousness in His ministry and sacrifice, and in His resurrection becoming Himself the greatest of the prophets, indeed, one greater than any prophet·the Messiah, the Son of the living God. I was not intending beforehand to identify ten sections, nor had I looked at the commentaries were important verses for theology. However it is interesting the number of agreements I have found with observations in the commentaries since then. I have not even scratched the surface of explorations about the significance related to Matthew`s theology, or the number ten, or why only (or primarily) Isaiah quotations, or why this order of quotations, or a whole host of other things. In the following explanation, the last three sections are dealt with at somewhat greater length due to a mixture of ambiguous prophetic source texts, larger sections of material, or more smaller units of tradition clustered together. The insight afforded into Matthew`s compositional technique, though, makes the reading worthwhile!

      • KCI등재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관한 연구

        소기천 ( Ky Chun So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7 No.-

        이종성의 신학은 통전적 신학(通傳的 神學)이라 불린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성서적인 개념인지를 우선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종성은 통전적인 신학이란 기치 아래서 그의 『조직신학대계』 40권을 집필하였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인 신학이 성서적인 근거를 가진다는 전제 하에 그가 90세 가까이 살면서 주도한 여러 분야와의 공통적인 연구, 성서 이해, 삼위일체론, 과학과 신학과 문학, 간 학문적이며 간 종교적인 수용, 종말론 등으로 나눠서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김명용이 자신의 신학에 대하여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통합한다’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편협하지 않고’, ‘온전하게 한다’ 등의 의미를 더 담고 있는 ‘온 신학’이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도 평가하고자 한다. 이종성이 타 문명(학문, 종교)까지도 ‘기독교를 위한 준비 과정’, ‘복음에 이르는 준비 과정’으로 바라보고 이해하였는데, 과연 그가 생각하는 통전적 신학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이질적인 세계관의 지배를 받는 문명을 기독교 세계관이 전제된 통전적 신학을 통하여 이해하고 기독교 안으로 이끌어 올 수 있는가? 이상의 질문들은 향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는 후학들이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The theology of Dr. Jong Sung Rhee is called to the holistic theology. On the one hand, this article surveys whether the concept of his holistic theology is Biblical, first of all, or not. He did not success his holistic theology, even though he published 40 greatest volumes of his systematic theology. In spite of its incompleteness,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Biblical theology and evaluates his theologies that he enterprised during his whole life almost 90 years old: co-relational studies of various fields, an Biblical understanding, Trinity theory, science and theology and literature, an acceptance of interreligious and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eschatology etc. As a result of this survey, on the other, this article evaluates whether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alright, or not, and whether the ohn theology of Myung Yong Kim is based on the Rhee``s holistic theology that ``united`` various theological aspects, because Kim thinks that his ohn theology further contains the concepts of no one side or more holistic view. What is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the holistic theology that he thought? He understood other civilizations (even science and religion) as ``the preliminary process for the Christianity`` or ``the one toward the Gospel.`` And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can understand the other religious world view through the holistic theology and lead the other different civilizations into the Christian civilization? Those questions are the major tasks that must be solved by the scholars who success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 종교개혁 500주년 특집 : 루터와 칼빈의 산상/평지설교에 관한 연구

        소기천(Ky-Chun So) 한국Q학회 2017 예수말씀연구 Vol.10 No.-

        마태복음 5-7장에 나오는 산상설교는 누가복음 6:20-49에 평지설교로 평행이 되는데, 이를 공관복음서 연구학자들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공통자료라는 뜻으로 예수말씀 복음서 Q에서 산상/평지설교라 부른다. 본 연구는 공관복음 연구방법론의 비교연구에서 필수적인 마태복음과 누가복음 사이에 공통되는 예수말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마태복음 5:43-45, 38-42; 7:12; 5:46-48; 7:1-2; 15:14; 10:24-25a;7:3-5과 누가복음 6:27-42에 평행되는 명령법으로 표현된 천국시민의 10계명을 비교함으로써 루터와 칼빈이 과연 산상/평지설교에 나타난 예수말씀을 어떻게 비교연구하고 있는지 그리고 팔복을 통해서 주시는 예수말씀을 통해 어떤 개혁 신앙적 가르침을 발견하였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팔복을 중심으로 한 우리 그리스도인이 추구해야할 복도 분명해졌다. ‘고난 받는 것이 내게 유익’이라고 고백하였던 사도 바울의 신앙을 개혁신앙으로 완성한 루터와 칼빈을 본받아서, 우리 모두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우리의 삶 속에서 이루기 위하여 진실한 삶을 살아야 한다. 심령이 가난하고, 애통하고, 온유하고, 의에 주리고 목마르고, 긍휼히 여기고, 마음이 청결하고, 화평케 하고,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것이 복(μακάριοι) 그 자체이다. 이 얼마나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복과는 사뭇 다른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남에게 유익을 주는 삶이 궁극적으로 복 있는 삶이다. 남과 더불어 누리는 복이 많은 사람이 또한 복 있는 사람들(μακάριοι)이다. 이러한 관심사항과 관련하여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루터와 칼빈이 산상/평지설교의 팔복을 어떻게 이해하고 또한 팔복이라는 예수말씀을 통해서 신학적으로 개혁신앙의 기치를 들고 나가는데 어떤 기초적인 교훈으로 삼는지를 연구하려는 목적이 있다. The Sermon on the Mount that appears in the Gospel of Matthew chapter 5-7 is parallel to the Sermon on the Plain written in the Gospel of Luke 6:20-49. Scholars of the Synoptic Gospels view it as a common material of the Gospel of Matthew and the Gospel of Luke and call it the Sermon on the Mount/Sermon on the Plain in the Jesus’ Sayings, the Sayings Gospel Q.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ommon Jesus’ Sayings between the Gospel of Matthew and the Gospel of Luke. This kind of comparative research is essential among research methodologies of the Synoptic Gospels. By comparing the 10 commandments given to the citizens of heaven which appear as parallel verses in Matthew 5:43-45, 38-42; 7:12; 5:46-48; 7:1-2; 15:14; 10:24-25a; 7:3-5 and Luke 6:27-42, this research will see whether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compares Jesus’ Sayings within the Sermon on the Mount/Sermon on the Plain. Moreover, whether they found some kind of teaching of the reformative faith in the Beatitudes of Jesus’ Sayings. Through this research, the blessing that Christians should pursue becomes even more defined by focusing in the Beatitudes. Apostle Paul testifies that ‘it is good for me to be afflicted.’ Following the example of Paul’s faith, Luther and Calvin formulated a reformative faith. We should all undergo the remaining hardships of Christ and live a truthful life. The poor, those who mourn, the meek,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the merciful, the pure in heart, the peacemakers, those who are persecuted because of righteousness; they are blessed (μακάριοι). Isn’t this quite different from what we think of the blessed? Not to look out for one’s own interests but a life that gives to others is the ultimate blessed life the blessed people (μακάριοι). Lastly, with this particular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Luther and Calvin understands the Beatitudes within the Sermon on the Mount/Sermon on the Plain.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the Reformists look at the Beatitudes, Jesus’ Sayings, and analyze the basic precept which they create in order to pursue and define the reformative faith theologically.

      • KCI등재
      • KCI등재
      • 나그 함마디 문서로 본 가현설과 영지주의

        소기천(Ky Chun So) 한국Q학회 2015 예수말씀연구 Vol.- No.5

        1945년에 세계 고고학계를 흥분시키면서 한꺼번에 발견된 나그 함마디 문서(Nag Hammadi Library)는 금년으로 꼭 70년을 맞이하였다. 나그 함마디 문서 발견 7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 신약학계가 이 역사적 문서가 지니고 있는 고고학적 가치를 주목하여 역사적 예수 연구에 관한 연구에 새로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본 소고는 나그 함마디 문서 발견 70년과 관련된 가현설 논쟁을 비롯하여 영지주의 논쟁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병우의 가현설에 관한 논문을 살펴봄으로써 가현설을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바른지를 생각해보고, 이어서 영지주의 사상의 정의 문제와 그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 본 소고의 목적이다. 가현설(Docetism)과 영지주의는 유병우의 입장처럼 모든 것을 한통으로 묶어서 정의를 내릴 만큼 2세기 교회 당시에 이미 확고한 사상체계를 갖추고 있었던 실체가 아니다. 이런 연유로 인해서 2세기부터 영지주의는 통으로 논하지 않고 처음부터 발렌티누스파에 대한 논구로 불이 붙은 것이다. 발렌티누스의 교리의 궁극적 기초는 세계를 신적인 관념세계와 물질적 현상세계로 나누는 플라톤의 이원론이었다. 이러한 논지를 통해서 본 소고는 영지주의가 그레코-로만 사회인 지중해의 각 지역으로 전파되어 나갔다는 사실을 결론에서 다루고자 한다. The discovery of the Nag Hammadi Library 70 years ago has meant for the discipline of the Docetism and Gnosticism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through the world archaeological scholarship as well. I wish a further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at Korean New Testament Society focusing on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in this historical codices with the Nag Hammadi Library 70 years ago. Here it is not my purpose to itemize a series of specific details where the Nag Hammadi Library 70 years ago have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New Testament texts. Rather my intent is to maintain the focus on the shape of the of biblical scholarship itself in relation to the argumentation of the Docetism and Gnosticism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as a result of the Nag Hammadi discover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Docetism paper of Woo Byung Wu, to suggest how to define the problem of Docetism, and to survey the definition problem of Gnosticism and its contents. The bulks of the tractates are of course Gnostic, and that has been a stumbling block for many. After all, Gnosticism has commonly been held to be unintelligible other worldy and rather irrelevant ideology at the era of Primitive Christianity. This means that the Docetism and Gnosticism cannot be defined in one way as Woo has simply left them to one side. The corruption of Primitive Christianity that abandoned the Old Testament and its God-our God- in a Valentinus-like perversion. Rather than being a departure from the New Testament as the basis of our religious tradition, Gnosticism found there, rather than in Valentinus or all over the Greco-Roman world of Mediterran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