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과 추구하는 바를 실현함에 있어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도덕과교육 실행에 있어 도덕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좋은 도덕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이 연구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을 계기로 앞으로 도덕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 교과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유덕한 인격의 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학교의 현실과 요구를 고려한 현장 적합성과 실효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교과서에 담길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과교육학적 연구에 기반하는 동시에 교육과정상 지도 요소를 잘 상세화하여 가르칠 내용을 제대로 선정․조직하고, 내용의 질과 수준을 좀더 높이고 적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예화, 소재, 자료 등의 적절성을 높이는 일 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제재의 체제․구성과 관련하여서는 탐구학습의 원리에 기반하는 일, 도덕 수업과 제재 구성의 기본틀은 덕과 인격육성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합리적이고도 분명히 하되 제재의 구성과 유형 등은 다양화하는 일, 교과서 자체의 수업 완성도를 높이고 기르고자 하는 것과 그 과정, 활동, 방법, 자료 등을 보다 자세히 담는 일 등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조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문제, 교과서 개발 시의 사전 연구 및 계획, 집필진의 구성과 운영 등 교과서 개발 과정과 조건의 충실화 측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As we know well, it is really important to develop good moral textbook because it is a critical element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o, in this paper, I discussed several items and suggested some ideas that we have to consider for making moral textbooks. First, we need to have right viewpoint that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and its textbook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character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moral textbook that is much appropriate to the abili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nd the re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rganized. Especially, considerating the main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when we decide the teaching contents. In addition, we have to select good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arrange them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stages. Moreover, taking appropriate quantity of contents and increasing the qualitie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indispensable parts in making good moral textbook. Third, making reasonable structures and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s also a essential task. To do this well, in addition to take the principles of inquiry learning, we need not only to establish a rational-basic framework of virtue education and various models of moral teaching-learning but also to diversify the types and constructional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n moral textbook.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make more detailed textbook than now and to include right teaching-learning process, good activities, fine methods, and high-quality materials in the textbook.

      • KCI등재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과 통일교육

        김국현(Kim Kuk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한국은 다인종, 다민족국가로 이행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다문화사회의 도덕과 교육은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에서 다문화 도덕과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의 목적은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 되어야 한다. 한국의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란 여러 문화 배경의 이질적인 사회 구성원이 한 국가의 평등한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은 다문화사회에서 제기되는 갈등, 쟁점, 주제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 도덕적 성찰과 탐구, 다문화주의의 핵심 가치를 근거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통일교육 역시 다문화 통일교육의 성격이 강화되어야 한다. 통일한국은 복합적 다문화사회이고 다문화교육이 실행되지 않은 북한 지역 주민들의 단일문화주의 경향이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문화 통일교육은 통일 이전, 통일 과정, 통일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 갈등 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도덕적 사고와 판단에 기초해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focus on the goals, objectives,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building national identity in Korea.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h moral norms and etiquette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not only on the formation of moral habits for observing norms and maintaining good manners, but also on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and judgement abilities, help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moral problems rationally. Especially,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resses eth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as a inquiry principle and moral reflection/inquiry as a method of moral thinking and reasoning. In multicultural and multiethinic Korea, Moral Education should b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unified Korea of futur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social justice, tolerance,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the building of national identity such as a One Korea and One Korea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prejudice reduction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토대 탐색

        이경원(Lee, Gyeong-Won),박영주(Park, Young-Ju),김완수(Kim, Wan-su),강희원(Kang, Hee-w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배경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전개될 작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 차원에서 ‘이해 중심의 교육과정’의 창조적 역량의 함양을 전면에 드러내어 강조하고 있다. 이에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의 시안 개발도 총론의 지침을 반영하면서도, 도덕과의 전통적인 논의를 반영하여, ‘학습자 주도성 강화’와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도덕성의 다중중첩’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밑그림이 된 이론적 배경들의 도입 과정을 3차원 내용체계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추구하는 인간상, 도덕함의 실효성 강화, 도덕성함양의 다중중첩의 접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과정 개발의 후속 연구 과정에서 학계와 현장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도 의의가 있겠지만, 향후 교육과정해설서와 교과용 도서 개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논의가 되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paper analyzed the theoretical base stones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hich is now loading on the site for hearing from critics. In this paper, we found out from the draft, that it was consists of three pillars as basic theoretic base. One of them is the multi level and dimensional approach for building of morality. It’s the reasonable way to develop it by the understanding by design. we can call it as the realiz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for the new one. Next, we analyzed the ideal goal of teaching for students as harmonizing between moral students and fair citizens. It means the citizenship education is also so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of the new curriculum. Lastly, in this paper, from the draft we were analyzed that doing moral was so important for advancing the moral capability. we ar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some guidelines of understanding the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ing the moral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윌슨(J. Wilson)과 나바에츠(D. Narvaez)를 중심으로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통일교육은 정치적인 문제이기보다 통일 주체 세대인 통일세대를 어떻게 이해시키고 그들의 인정을 받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통일교육 현장에서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 대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전제될 때, 성공적인 통일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도덕윤리과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제기되는 쟁점들에 주목하며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위해 통일교육의 본질, 목적,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론 기반으로서 도덕철학을, 통일교육의 실제 방법을 위한 토대로서 도덕심리학을 살펴봄으로써 통일세대에 대한 강요의 교육에서 벗어난 교육 방법을 모색했다.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 방안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했다. 첫째, 통일교육의 교육목적 차원을 위한 도덕철학의 제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통일교육의 교육방법 차원을 위한 도덕심리학의 제안을 탐색했다. 셋째, 통일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대화형 통일교육의 구조적 개요를 제시했다. Reunification education is not a political issue, but rather a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unification generation and obtain their recognition. In order to solidify the theoretical basis of moral ethics and reunification education, pay attention to the major issues raised, and to derive practical educational methodology,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explores the moral philosophy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oral psychology as the basis for the actu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deviated from the compulsory education. It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n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First, the proposal of moral philosophy was examin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f reunification education. Second, the proposal of moral psychology was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ird, as a concrete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a structural overview of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도덕과 내용 구성에서의 전통윤리

        양방주(Bang Ju Y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3

        오늘날 우리 사회는 경제적 난국에서 비롯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나아가 21세기 정보화, 지식화 사회에 대비하여 제반 분야에서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개혁의 핵심에는 교육 개혁이 있으며 교육 개혁에는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교육과정의 개혁인데 이러한 작업은 제7차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문제와 맞물려 있다. 이미 교육과정의 개정시 마다 제기되온 문제 중의 하나가 도덕 교육, 도덕과 교육의 문제인데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에 있어서도 역시 제기되었다. 그 쟁점은 도덕 교육 그리고 도덕과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와 기존의 도덕과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도덕과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인 문제이다.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덕과 교육의 당위성과 필요성은 인정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도덕과 교육은 꾸준한 개선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되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덕과 교육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도덕과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세우는 일 중의 하나가 교육 내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전통윤리 교육 내용의 이론적 근거를 모색해 보기 위하여 전통윤리의 개념과 가치, 도덕과 교육과 전통윤리 교육의 관계, 제7차 교육과정 도덕과에 반영된 전통윤리 교육 내용 그리고 도덕과에서 전통윤리 교육 내용을 다룸에 있어서 생기는 문제점들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2차교육과정에서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도덕과 교육과정 기술에 있어서 도덕적 사고 내지는 사고력, 도덕적 판단 내지는 판단력의 개념 사용 상 드러나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은 교육과정 변천 시기별로 볼 때 교육과정 간 영역(이를테면, 목표)을 언급한 부분에서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점, 동일한 교육과정 시기 아래에서 학교급별 교육과정 간에 통일성이 결여된다는 점, 그리고 학교급이 동일한 교육과정 내에서도 영역별로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덕교육연구자들도 도덕적 사고력의 개념과 도덕적 판단력의 개념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고 있지 않는 것 같으며, 따라서 도덕적 사고력과 도덕적 판단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다.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도덕적 판단력을 하위 개념으로 자의적으로 상정함으로써 연구자들 스스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이다. 도덕적 사고의 과정이 곧 도덕적 판단의 과정이라는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여,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보고 도덕적 판단력을 다른 것들과 더불어 하위 개념으로 설정하는 더 이상 실익이 없는 일에 매달리지 않기를 바란다. There is a criticism in the conceptual use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in the field of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2nd National Curriculum in 1963 to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criticism is that the conceptual use of them is wanting in consistency through the periods from 2nd to 2011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under the same period, and between object,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under the same curriculum. It seems that moral education researchers don``t have the distinct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y are confu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 reason they are in confusion is because they take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It is necessary for us to notice the idea that the process of moral thinking means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in accordance with some philosophers. Accordingly, I hope not to cling to fruitless work any more by taking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 KCI등재후보

        도덕적 동기부여와 도덕교육

        남궁달화 한국도덕교육학회 2004 道德敎育硏究 Vol.16 No.1

        Morality is the abilities to be able to understand, to accept, and to do 'the right way'(moral norms). Moral education is to develop such abilities to students by teachers. Generally moral education is fulfilled by the approaches based on contents, on forms, and on motivations.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and discussed of 'what is the motivational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and 'how is it to be done'. The followings are dealt with as the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based on motivational aspects : 'to understand of the right way, to have a faith in it, and to devote oneself to it', 'to consider other people's interest', 'to have compassion for other persons' hard lot', 'to feel shame and guilt on the wrong', and 'the punishment and the authority of moral rules'. I think these approaches can work to develop students' moral motivation. The education in moral motivation is important as much as i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ement. Perhaps the form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latter. It is because the moral knowing and the moral judgement cannot be realized into actions without the moral motivation which is activated by the emotions and feelings. 도덕성이란 ‘사람이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리, 즉 바른 길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도덕교육은 교사가 이러한 능력을 학생들에게 길러주는 일이다. 이러한 도덕교육은 내용적 접근, 형식적 접근, 그리고 행동적 (동기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적 접근은 ‘바른 길’(도덕규범)이 무엇인가의 이해를 사실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형식적 접근은 ‘바른 길’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사고하고 판단(결정)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그리고 행동적 접근은 ‘바른 길’을 실천하는 데서 요구되는 동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이다. 이 글은 행동적 접근으로 볼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부여하기에 관한 이론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나는 이 글에서 두 가지 범주에 걸쳐 도덕적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나의 범주는 ‘바른 길’(도덕규범)에 대한 이해와 신념 및 헌신, 다른 사람의 이익에 대한 고려, 그리고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한 동정이었다. 다른 범주는 수치심 내지는 죄의식, 그리고 벌이었다. 전자의 방법들은 그 자체가 도덕적 동기를 직접적으로 부여하는 이른바 적극적인 접근법이다. 이에 비해 후자의 방법들은 이를테면 간접적으로 도덕적 동기를 부여하는 소극적인 접근법이다. 벌이 도덕적 동기부여로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벌 자체이기보다는 그것에 수반되는 죄의식과 새롭게 발견되고 깨닫게 되는 도덕규범의 권위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즉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벌은, 우선은 죄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이어서 도덕규칙의 존재에 대한 재인식과 도덕규칙의 권위의 혜손 또는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벌은 아이들에게 도덕적 동기를 간접적으로 부여해 주는 작용을 한다. 한편, 벌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위반 행위에 대한 죄의식도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도덕적 동기부여의 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도덕적 동기부여로서의 죄의식은, 벌에 따른 것이든 스스로 뉘우친 것이든, 도덕규범에 대한 신념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고려 또는 동정이 동기부여의 방법으로서 비교적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과는 달리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소극적 접근법이다.교과로서의 도덕교육은 물론, 이른바 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은 내용적 접근이나 형식적 접근에 비해 동기적 접근의 도덕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는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감정을 교육(수업)에서 직접적으로, 즉 ‘살아있는 그대로’ 다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덕적 삶이란,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 인간의 성향이 작용하는 행위의 문제이다. 도덕교육을 하는 교사도, 그 접근이 내용적이든 형식적이든, 항상 행위의 문제를 염두에 둔다. 이는 이론적으로도 그러하고 경험적으로도 그러하다. 도덕성은 본질상 행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도덕적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동기 부여하기는 도덕적 이해하기와 도덕적 사고하기 및 판단하기 만큼이나 중요하다. 아마도 그 이상으로 중요할 것이다. 정서감정이 작용하는 도덕적 동기가 없이는 도덕적 앎도 판단도 행동으로 옮겨지기 어렵기 때문이다.그러나 도덕적 동기도 인지와 정서감정 간의 조화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