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강경균,이승원,김승현,연정아,홍영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engineering technology,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and flow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typ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5 domestic academic journals, as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edition till April 30th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out of 83 volumes in total, more than 10% per academic journal contained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ost number of thesis were be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re were more researchers who were middle-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subject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was indicated to the highest and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tre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were being conducted in majority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es so quantitative researches took up a large part. As for research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verifications on the assessment and effect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 number of professor researches was the highest in both independent research and joint research. In case of joint research, there were many field teachers. This confirms that a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sites in the majority of STEAM education researches, joint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 및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기술 관련 국내 5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5종 학술지는 공학기술 관련 학회지로서 학회지 발간 호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공학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회지 분석 결과 전체 83편중 각 학회지 별로10%이상의 융합교육 관련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육보다 중등교육에서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자별 분석 결과에서도중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구자가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 문헌분석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융합교육 연구에서 교육 동향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로는 평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을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연구자 별 분석결과는 단독 연구 및 공동 연구 모두 교수 연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 연구의 경우는 현장교사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STEAM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술 교과에서 기술적 창조성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If technology teacher wants to teach student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he wanders how to, and what it mean. In spite of the value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the cognitive proces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echnology class are not defined clearly yet. In going to approach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y, one must consider both the thinking that is involved and what constitutes creativity itself.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how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area of educating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2)what content areas were studied and what were the valuable researches findings for improving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s trends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were review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s to improve technology education and could giv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s. 21세기에 들면서 기술교육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생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선행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의 의미와 그에 관한 교육 방안에 관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10년 동안에 발표된 기술교육 관련 학술지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그리고 외국 학술지로는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JT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J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IJTDE),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JITE)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이들 학술지에서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기술적 창조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학문적 연구와 실천 사례 등의 경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로 우리 기술교육에서 창조성 함양교육을 위하여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와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 KCI등재후보

        기술교과 활동을 통한 기술적 창조성 교육방안 탐색

        류창렬,정수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0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6 No.2

        이 연구는 기술교과 활동에서 어떻게 하면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의 의미와 심리적 특징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기술적 창조성의 구성 요소를 구명하여 교육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기술교과 활동을 통해 함양시킬 수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으로 투입-과정-산출의 시스템에 의한 접근을 제시하였다. 기술교육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시스템에 의한 접근은 여러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문제해결법과 프로젝트법, 그리고 설계에 의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술교육을 실시할 때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문제해결법, 프로젝트법, 설계의 의한 방법 등에 투입-과정-산출의 과정, 즉 문제해결의 과정은 기술적 과정(technological process)으로 각 과정에서 최상의 판단과 의사 결정에 근거하여 가장 바람직한 해결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이 함양된다고 판단하였다.기술교과 활동에서 문제해결은 인간의 요구에 밀접한 창조적 과정, 설계 과정, 문제해결 과정의 특징을 가지며 재료, 에너지, 자연 현상 등을 이용하여 인간의 지식을 의도적으로 활용하는 활동을 한다. 이와 같이 문제해결 과정은 여러 가지 대안이 형성되고 학습자의 능력과 상황에 맞는 해결 방법을 추론하고 있으며, 기술적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과정에 충실한 방법이다. An increasingly important aim of technology education generally is to develop students' creative and innovative thinking abilities. In going to approach to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novation, one must consider both the thinking that is involved and what constitutes creativity and innovation itself. A common idea is that technological creativity is a kind of innovative thinking in making technical products and the products are something new. If technology teacher want to improve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novation, he wander how to, and what it mean and how it can be educated. The meaning and cognitive process in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the ways to teach were the main topics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and cognitive nature of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novation were reviewed based on dictionari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discussed the ways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school technology activities. The input-process-output in technological system model was examined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ies and innovation.

      • KCI등재후보

        중등기술교과 교육과정 개정방향과 체제

        이상봉,이상갑,장재성,권혁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0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6 No.1

        및 제언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첫째,기술교과 교육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기술에 대하여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기술 지식 체계를 이해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습득하여 올바른 기술적 가치관을 지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기술교과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와 일관성을 유지하고, 기술과 관련하여 고등 사고 능력을 기르는 ‘발명과 혁신의 체험 활동’과 ‘기술 세계의 체험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기술 세계’란 정보통신기술, 생산기술, 수송기술, 생명기술 체제를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irections and system to reform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t the secondary school.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international trend of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s. With the literature reviews, the systematic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vised bill for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s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dures of structuring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technology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technology education objectives must be selected for th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and concern about the technology,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knowledge system, and to have proper technological attitudes with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Second, technology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should be centered on the hand-on activity of invention and renovation and hand-on activity of technology world in order to cultivate the high thinking abilities about technology. In this study, technology world'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bio-related technology systems.

      • KCI등재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영역의 내용 구성 요소 구명

        이광재,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tents for Bio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 level Technolog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definition and rationale of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and analyzed biotechnology contents presen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of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Three large categories and twenty five sub-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for Technology Education were chosen by categorizing themajor contents found in the literature study. The first round of Delphi study was to verify the chosen categories and collect comments from selected experts. At the second round of Delphi study, the categories were modified by the consented opinions of the experts and grouped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sixteen sub-categories. With a synthesis of literature study and Delphi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wo 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wer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and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Secondly, th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included nine sub-categories such as definition (concept) of Biotechnology, history of Biotechnology, Scope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ical system, relationship between Biotechnology and related disciplines, social impact of Biotechnology, environmental impact of Biotechnology, ethical issue in Biotechnology, and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Biotechnology. Thirdly, the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included seven sub-categories such as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utilizations and practices of Biotechnology in the field of animal and planting scienc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al engineering, medical 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industrial field. 이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내용을 구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교육의 개념과 당위성을 살펴 보고, 국내외 기술교육 이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물기술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추출된 교육 내용을 범주화하여 3가지 영역과 25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연구자가 고안한 생물기술 교육 내용에 대한 검증 과 추가되어야 할 내용 요소에 대한 의견 수렴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제2차 델파이 조사 지는 제1차 조사 결과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재구성되었고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 가지 영역 내에 16개의 생물기술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악할 수 있다. 첫째, 생물기술의 교육 영역으로는 ‘생물기술의 이해’,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 구분된다. 둘째, ‘생물기술의 이해’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개념, 생물기술의 역사, 생물기술 의 영역, 생물기술 체제, 생물기술과 타 기술 및 학문과의 관계, 생물기술의 사회적 영향, 생물기술의 환경적 영향, 생물기술의 윤리, 생물기술과 관련된 진로탐색 등 9가지이다. 셋째,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문제 해결 체험 활동, 식 물 및 동물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식품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환경 분야에서의 활 용과 실제,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유전 공학에서의 활용과 실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7가지이다.

      • KCI등재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권혁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and investigat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nsitions through this developed program.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developmental research, and field study. A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was performed to develop an introductory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and the developed program implemented at one of the technology teachers’ institutes. Based on the literature, foundation of biotechnology, plant biotechnology, animal biotechnology, medical biotechnology, environment and energy biotechnology, and bioethics were chosen for major learning components of the bio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 And the leaning components were adjusted by the expert group meeting and students’ feedback and confirmed for a semester field study with 52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rack.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biotechnology related knowledge, biotechnology teaching ability, and expectancy and value of teaching biotechnolog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Concretely, their knowledge level and biotechnology teaching ability on six learning components was improved. Moreove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toward teaching biotechnology and confirmed their beliefs toward teaching biotechnology in this study. This study confirmed that taking biotechnology programs could be a significant factor for sufficient implementation of biotechnology education. Also,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such as students centered instruction and process based assessment were recommended.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예비기술교사들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 연구, 개발 연구, 현장 투입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은 준비, 개발, 개선의 3 단계를 통해 개발되었고 중부 지역에 있는 기술교사교육기관 중 한 곳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기술교육에서 생명기술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 예비기술교사들을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영역을 추출하였다. 그 영역은 생명기술의 기초, 식물분야에서의 생명기술, 동물분야에서의 생명기술, 의료 분야에서의 생명기술,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생명기술, 생명기술의 영향과 윤리로 확정되었다. 이후 이 영역은 전문가 회의와 학생들의 피드백을 통해 보충되어 15주 강의로 결정되어 52명의 예비기술교사들에게 투입되었다. 개발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기술교사들의 생명기술 관련 지식, 생명기술교육 관련 실천 능력, 그리고 생명기술교육 관련 기대-가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명기술 관련 6개의 강의 영역에 있어서 예비기술교사들은 지식의 수준과 교육실천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예비기술교사들은 생명기술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매력을 배우고 자신의 교육실천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생명기술과 관련된 교육 및 연수의 기회가 기술교사들에게 생명기술교육을 실천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생명기술교육과 관련된 학생 활동중심의 교수법과 과정 중심의 평가 관련 연구의 후속 연구를 제언할 수 있다.

      • KCI등재

        미국의 기술과 교육 경향 분석

        박흥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echnology Education Academic Standards of America for the criteria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content. For this study, I studied the quality standards proposed by the following research institutes: the National Education Goal,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s Officers and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 and analyzed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proposed by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and Technology Education content standards by nine different states. Two aspects are recommended through this consideration. One is that the 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goal emphasizes on the criteria based on the strict academic standards as follows: world class standards, discipline-based standards, relevance for students, relevance for society, relation to educational evaluation, the balance of knowledge and skill, feasibility. The other is that the technology education criteria suggested by nine different states feature the successful combination of knowledge and process. This study concludes Technology Education Academic Standards of America can be good guides for the criteria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content. 이 연구는 미국의 각 주에서 고시한 기술 교과 내용 기준들을 살펴보고 이들 기준이 한국의 기술 교과 교육 내용 구성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국가 교육 목표 위원회(NEGP), 주 교육감위원회(CCSSO), 미국 교사 연합(AFT) 등이 제시하는 교육 기준이 갖추어야할 요건들을 분석하였고, ITEA에서 제시한 미국 기술 교과 내용 기준(STL)과 각 주의 기술 교과 내용 기준을 분석하였다. 국가 수준의 교육 내용 기준은 학문적 엄격함을 반영한내용으로 선정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계 수준의 기준, 학문에 기반한 기준, 개인적 적합성, 사회적 적합성, 평가 관련성, 지식과 기능의 균형, 실천 가능성 등의 요건이 제시되고 있었고, 각 주에서 제시한 기술 교과내용 기준은 지식(knowledge)과 과정(process)을 적절하게 결합하는 내용 기준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미국의 기술 교과 내용 기준은 한국의 기술 교과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선정하는데 참고사항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적 변천의 비교 분석

        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n USA and Korea by the age. From 1920s to 2010s, the goal of the American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summarized by period, and the transition trend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from 1970s to 2015, the go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divided into periods 1 to 9,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will be examined. Through this,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will be compiled and compared the trends by the age. First,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20s through the 1980s,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was to ‘Career and Vocation', 'Critical consumerism’, ‘Skills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process’. From the 1980s, it have emphasized that the goal of 'Relation between technology, society and environment', 'Using technology system'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technology utilization'. Second, the goal of the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was to focus on the technical and individual area from the 1970s to the mid 1980s, focusing on ‘Acquiring knowledge’, ‘Skills development’, ’Attitude development’, and ‘Exploring career’. Since the late 1980s, 'Future adaptation' and 'Ability to utilize technology' have been added and emphasiz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s. Lastl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initial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s very similar. However,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USA is to emphasize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s since the 1980s, and the academic, technical and personal area have relatively weakened. In contrast,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has emphasized on the social and intellectual area, while also maintaining the initial goal of the academic, technical, and personal area. Also the goal of the intellectual area is diversified and seg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일반 교육으로서의 기술 교육 목적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미국 기술 교육의 목적을 시대별로 종합하여 변천 추이를 살펴본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 술 교육 목적을 1970년대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제1기부터 제9기까지 시 기별로 나누어 종합한 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양국의 기술 교 육 목적을 종합하고 시대별 추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첫째, 미국의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별 변천을 살펴보면, 1920년대부터 1980 년대까지 미국 기술 교육의 목적은 ‘진로 탐색과 직업’, ‘비판적 소비주의’, ‘기 능 계발’, ‘학문의 통합‘, ‘지적 과정’이었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기술과 사회· 환경·윤리적 영향’, ‘기술 평가’와 같은 사회적 영역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기술 시스템 사용’, ‘기술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중심의 지적 영역에 중점을 두고 ‘기능 계발’과 ‘진로와 직업’의 전문적, 개인적 영역은 약화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기술 교육의 목적을 종합해보면,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 반까지는 ‘지식 습득’, ‘기능 계발’, ‘태도 함양’, ‘진로 탐색’에 초점을 맞춰 전문 적 영역과 개인적 영역이 중요시되는 반면, 지적 영역은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 나 1980년대 후반부터는 ‘미래 적응’과 ‘기술활용능력’이 추가되며 사회적 영역 과 지적 영역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0년대부터 ‘문제해결능력’, ‘창의 력’, ‘가치판단력’이 추가되면서 지적 영역에 중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기술 교육 목적의 시대별 특징을 비교해보면, 192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기술 교육의 목적과 197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 라의 기술 교육의 목적은 ‘기능 계발’, ‘진로 탐색’을 강조하며 전문적 영역과 개인적 영역을 중요시하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기술 교육 목적은 1980년대 이후부터 사회적 영역과 지적 영역을 강조하며 학문적, 전문적, 개인 적 영역은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기술 교육 목적 은 학문적 영역, 전문적 영역, 개인적 영역을 중요시하는 초기의 목적을 계속 유지하면서, 사회적 영역과 지적 영역을 추가로 강조하여 기술 교육 목적의 전 체 영역을 균형 있게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지적 영역의 목적이 다양화, 세분화되는 차이가 있다.

      • KCI등재

        동북아(韓中日台)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국가수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류군,노태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chnology Education(TE) curriculum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Japan and Tai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middle school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TE curriculums have been analyzed among four countries comparative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four countries were focused on students' adaptation toward future society and were implemented in a mandatory curriculum as a fundamental course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the most important aim of the TE is to promote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to adapt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four Northeast Asian countries were composed of consecutive academical structure based on the technologies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biotechnology. Fourth, four countries have the lecture style teaching method as a traditional teaching technique in TE classes. And CAI, field trip, problem solving method, project method, program teaching method, and modular teaching method are applied to the T. E.'s classes. Fifth, most countries like Korea, Japan, and Taiwan depend on the paper and practice test, and other evaluation methods such as actual training evaluation, observation, self-evaluation, colleague evaluation and report have been found. 이 연구는 근년에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개정한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 목표와 내용, 교육 방법 및 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차기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구성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 연구를 통하여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활용 가능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과 비교 연구의 형식을 갖추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기초 기술 소양을 양성한 국민들의 필수교과로 이수과정을 실행해야 한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과 향후 발전의 목표는 사회의 변화에 대처하는 문제해결과 설계능력, 창조능력, 궁극적 태도를 기초 방향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내용은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생 활에서 대체로 제조, 건설, 통신, 수송, 생물 기술 등의 기술학에 근거하여 일관된 학문적 체계를 가지고하야 한다. 넷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교육방법은 전통적 강의법 등과 실습중심의 프로젝트법, 문제해결법등 교육방법을 결합하여 수용하야 한다. 다섯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평가 영역에서 지식의 이해, 기능, 응용, 태도 등의 측면을 평가하도록 평가 방법에도 다양성을 두어 수행 평가와 지필 평가를 병행하는 등 교육 현실과 평가 이론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