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에 의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

        박정애(Jeong-Ae Par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3

        이 글에서는 1920년대 독일에서 형성된 바우하우스 교육과 1930년대 미국에서 각각 전개된 일상생활에서의 미술교육을 해석하였다. 바우하우스 교육은 모더니즘의 미학이 상층과 대중문화를 분리한 것과 대조적으로 예술적 통합을 통해 삶에 응용하기 위한 덧셈의 미학을 실현한 것으로 특징된다. 바우하우스의 예비 과정에서는 미술의 역사를 통해 추상화한 조형 교육을 개발하여 디자인 교육을 활성화시켰다. 바우하우스 미학과 비슷한 일상생활에서의 미술은 미국에서 일어난 실용주의적 시각에 입각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였다. 미술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이론을 활용하였고 실제의 삶의 이슈를 찾기 위해 통합교육이 시도되었다. 미술이 삶과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라는 일상의 삶에서의 미술이라는 개념은 1960년대 미술계에서 팝아트가 성행되기 이전에 미술교육에서 구체화되었던 매우 혁신적인 개념이다. 이렇듯 20세기 미술교육의 한 양상은 산업화가 전개되면서 사회적 현상의 삶과 관련하여 미술과 산업을 연계시키면서 궁극적으로 삶에 의한, 삶을 위한 것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바우하우스 교육과 일상생활에서의 미술교육은 삶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이기 때문에 당시의 모더니즘의 이념적 사고에 지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삶에 의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21세기의 삶의 맥락에서 재해석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This article interprets the Bauhaus education formed in Germany in the 1920s and art education in daily life independently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30s. Bauhaus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realization of the aesthetics of addition for application to life through artistic integration, in contrast to the modernist aesthetic that separates the upper culture and popular culture. In the preliminary course of the Bauhaus, design education was revitalized by developing an abstract formative education through the history of art. Art in daily life, similar to Bauhaus aesthetics, wa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education based on a pragmatic perspective that arose in the United States. In art in daily life, design theory was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art, and integrated education was attempted to find real life issues. The concept of life and art, that art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life, is a very innovative concept that was embodied in art education before pop art flourished in the art world in the 1960s. As such, one aspect of art education in the 20th century was developed into something by life and for life, linking art and industry in relation to the life of social phenomena as industrialization developed. Bauhaus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daily life were not dominated by the ideological thinking of modernism at the time because it wa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education made in the background of life. Consequently,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education by life and for life can be reinterpreted and reused in the context of life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또 다른 가능성 : 사회 정의를 위한 미술교육

        배재한(Jae-Han Ba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과 교육 Vol.15 No.1

        이 연구는 미술교육과 사회 정의(social justice)와의 관계를 밝혀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비전을 탐색해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 정의와 비판적 교육이론의 의미와 이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서 살펴보았고, 미술교육을 통하여 사회 정의 교육을 적용한 선행 연구들도 소개하였다. 또한 정의, 자 유, 인권, 평등, 인간의 존엄성 등을 작품 주제로 다루는 팀 롤린스와 생존을 위한 아이들의 작품의 주 제와 제작 방법을 소개하여 사회 정의와 관련된 주제들이 어떻게 미술교육에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서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른 교과와 연계된 미술과 수업 내 용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요컨대 사회 정의는 미술교육에 새로운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뿐 만 아니라 미술교육자들에게는 미술교육 철학과 교육 목적에 대해서 재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finitions of social justice, social justice education, critical pedagogy,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t arrays prior studies that articulate how art educators integrate social justice themes with their curriculum in general. Works of art produced by Tim Rollins and the Kids of Survival (K.O.S.) are introduced to provide Korean art educators with practical examples that incorporate visual arts with themes of social justice, equality, freedom, human and animal rights, and their dignity. Finally, the study also devices instructional ideas of a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content areas. The study concludes that incorporating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plays a key role in allowing Korean art educators to broaden instructional ideas as well as the views of their current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 연구

        이지연(Ji-Yeon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2

        최근 미술교육의 화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다.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아동중심 미술교육을 거처, 학문기초 미술교육을 거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다원주의를 표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그 영향력이 커졌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 문화적 맥락에 주의하고, 이미지를 둘러싼 다양한 해석과 접근법을 인정한다. 미술교육의 대상 역시 순수미술에서 대중문화, 시각적인 자극을 주는 환경, 각종 시각정보, 디지털 미디어 등으로 확장시켰으며 작품제작 뿐 아니라 비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자기 표현을 위한 미술 작품 제작뿐만 아니라 개개인에게 민주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의미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나아갈 실천적 방향을 모색해본다. 먼저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고 개인의 권한을 강조하는 프로젝트 기반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또한 동시대의 시각정보와 시각문화의 대다수가 디지털 포맷임을 인지할 때 디지털 세대들에게 흥미와 가능성을 열어주는 미술교육으로 디지털 미디어 제작에 주안점을 두는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시각중심의 미적경험을 뛰어넘는 공감각적인 접근으로 미술 감상과 미술작품 제작을 하는 방향이 제시된다.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언어학적인 기법들(이야기, 은유, 패러디)을 활용하여 미술작품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사회-문화 맥락적인 해석과 분석을 중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실천적이며 사회 참여적이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다양한 가능성을 제안하는 하나의 실례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From the history, we have noticed the significant paradigm shift in art education. From the late 20C, art educators moved from DBAE to more contextual and expansive curriculum.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allows new and expansive topic, subjects, medium, and technologies to come about. Also, VCAE allows an atmosphere to talk about social, political and global issues in art classroom. Therefor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widely accepted and became a powerful paradigm in contemporary society. The use of new technologies has brought about new forms of computer-generated visual culture. A large part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consists of a digital visual culture whose manifestations have been facilitat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educating students in a systematic manner about the benefits of digital media creation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should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e through digital visuals, which students can use to analyze the contextual socio-cultural meaning of digital visual culture. I believe that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be the facilitation of digital visual culture creation, and I also believe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both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meaning and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digital visual pieces of art. As a new paradigm, VCAE suggests many different potentialities to integrate with and approach to.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K-12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VCAE. I propose five possible approaches to teach a wide range of visual culture. First, the spirit of DIY(Do it yourself) can be integrated into VCAE in terms of producing project based curriculum. This impli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can frame a new style of learning about art and can be an alternative art pedagogy which is individual and meaningful. Further, focusing on digital art and digital media is significant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lthough vision is necessarily ranked as the highest sen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necessarily involve multi-sensory experience. Adapting literary device such as storytelling, parody and metaphor to art making practice may open new possibility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lso, incorporating art activism into art classroom can inspir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and this will open the possiblities to change the perspectives to look at the world, politics, social issues. Thus, I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as a practical example. Digital storytelling allows student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ideas, and to present and share their idea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use of multi-media production, provoking multi-sensory experience. My pedagogical stance is that students are digital generation, and they engage socio-cultural activities, adapt literary devices, emphasize multi-sensory experience, communicate with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 personal-social-cultural identities. Past decade has seen a great number of art educators deciding to integrate visual culture into their classroom. The art world and art classrooms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y have become more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with digital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xamine a wide range of potentialiti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order to reassess and reconstruct our goals and course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shape students' experi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Also art educators should keep in mind that art education is not for mere image creation but for the meaning-making process. I suggested five different principles for teach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 believe this insight offers exciting new possibilities for art educators to promote meaningful artistic production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의 방법론 탐구

        이지연(Ji-Yeon Lee),강주희(Joo-Hee Ka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의 역할을 조망하고, 이들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경험을 함께 소통하고, 이해를 심화 시킬 수 있는 방법적 측면의 가능성을 탐구해 보았다. 동시대 미술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 방법을 1) 작가와 작품 탐구를 통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2) 간학문적 교육으로서의 감상 및 비평 교육, 3) 쟁점 중심의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4) 놀이 기반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 5) 비판적 해석 활동을 통한 감상 및 비평교육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감상 및 비평학습의 방법론들은 개개인의 사회적, 인지적, 문화적 맥락을 기본 전제로 하는 구성주의 학습과 상통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활동을 통해 작품 뿐 아니라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예비 교사는 주제 중심으로 작가와 작품을 탐구하고, 작품을 간학문적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또래 집단과 상호작용 하며 반성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critic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deepen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we developed teaching methods such as 1) artists and art works exploration, 2) interdisciplinary study, 3) issue-based learning, 4) play-bas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nd 5) critical interpretive activities. These methodologies are linked to constructivism focusing on the students"s individual social, cognitive and cultural contexts, and provid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s as well as the artworks through art appreciation and critic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 should promote students to study artists and artworks based on theme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facilitate reflective thinking about express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or teachers in this proces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design a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eeds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individual learners an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elf-directed learning to develop aesthetic eye.

      • KCI등재

        미술 교과서로 이해하는 북한 미술교육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4

        North Korea's art education aims to understand Juche art and Joseon painting based on the socialist character of the Dangseong, the people, and the class(North Korea Understanding Report, 2018). Therefo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North Korea's art education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preceding studies on North Korean art education try to compare North Korean art textbooks to South Korean textbooks, which are limited in cases. This study focuses on North Korean middle school(or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2nd grade textbooks, focusing on the overall structure of art textbooks, middle school 2nd year(the 8th grage) art (Juche 92) published in 2010 and 2nd year art textbook(Juche 103) newly produced in 2014.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North Korean art education were examined.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method(Krippendorff, 2004) to analyze how the Juche 103 art textbook(2014) improved from older textbooks. The Juche 10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nd grade art textbooks changed from black and white textbooks to color and increased resolution, so the visual perception was remarkably better, and the number of pages doubled from 60 pages to 113 pages. The basic method of narrative and the method of using sentences have been revised centered on the learner,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t the end of each section are specifically presented. The standard of expression of the learner's personal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based on “life relevance” and storytelling is possible. Nevertheless, if the contents are naturalized around the table of contents, in reality,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structure. The content still focuses on how important moral attitude and hard manual labor are, and how great traditional North Korean beauty is, which emphasizes on the justification tha North Koean is the best(Unification Diplomatic Institute, 2018). It was confirmed that the focus of the content emphasizing loyalty to the party did not change at all. Although the contents remain the same, the major change in North Korean art textbooks seen in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of learners is that art education is no longe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expression and the ideology of a society is not connected like a branch from the root, but the individu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the learner is essential. 북한의 미술교육은 사회주의적 성격인 당성, 인민성, 계급을 근간으로 주체미술과 조선화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북한이해보고서, 2018). 따라서 북한의 미술교육은 우리와 비교되어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북한미술 교육 선행연구는 우리나라의 교과서를 기준으로 북한의 미술 교과서를 비교하는 연구들로 사례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중학교 2학년 공교육 미술 교과서에 관한 문헌 연구로서 2010년에 제작된 중학교 2 미술(주체 92)과 2014년에 제작된 초급중학교 2 미술(주체 103)을 비교, 분석하여 북한 미술교육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Krippendorff, 2004)을 활용하여 주체 92 교과서에서의 미술교육이 2014년에 제작된 주체 103 미술 교과서에서 어떻게 내용상으로 학습 목표, 평가, 기술의 방식 등이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체 103 초급중학교 2학년 미술 교과서는 흑백의 교과서에서 컬러로 변화되었고 해상도가 높아져 시각적 인지도가 확연히 좋으며 교과서의 분량이 60쪽에서 113쪽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서술 방법의 기본 방식과 문장 사용 방법이 학습자 중심으로 개정되었고, 각 단원 말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생활적 련관성”을 기본으로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타인과의 관계를 표현하도록 유도하고,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 내용을 목차 중심으로 귀추화 해보면 실상 전체 구조의 변화는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화의 근본적 사상, 즉 조형적 형상을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생동하게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생활 수단과 환경을 고상하게 꾸리는(통일외교원, 2018) 주제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도덕적이고, 노동을 찬양, 당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내용의 중심은 맥이 전혀 달라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은 그대로임에도 학습자에 관한 서술과 평가에서 보이는 북한 미술 교과서의 큰 변화는 예술교육이 더 이상 지식과 표현의 습득이 아니며, 한 사회의 이념이 뿌리에서 가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인의 이해와 표출이어야 함이 북한의 교육에서도 인정됨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평가의 딜레마: 미술교육 패러다임의 전환과 평가

        김형숙(Hyung-Sook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과 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한국미술교육계에서 제기되고 있는 평가의 문제가 미술과목의 특성을 간과되면서 미술교육의 실제의 발전을 가로막는 지성적 공백을 만들고 있다는 가정하에 미술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함께 제기되는 미술평가에 관한 쟁점들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미술교육 활동과 그 결과를 측정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미술교육의 활동을 통한 그 성취의 논의 또한 무의미한 것이다. 시각문화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청소년들이 분별력 있게 대중적 시각문화를 해독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교육에서 일부에서 주장되는, 평가무용론(評價無用論)은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키고 중등교육을 대입준비를 위한 준비단계로 인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의 평가의 딜레마를 한국의 미술교육 현황을 통해 점검하면서 문제제기하면서, 평가와 미술영역과의 관계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에서의 미술 평가를 둘러싼 제문제점들 중에서 평가 무용론의 등장배경을 표현주의 미술교육의 성행과 관련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술과 평가에 대한 오랫동안 잘못된 이해의 근거를 해방 이후 한국의 현대 미술교육에서 왜곡·변질된 표현주의 미술교육 영향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미술교육 현장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수행평가가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The issue of assessment or evaluation in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raised with the curriculum reform, has been considered a fact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in Korea. The absence of assessment in art education has ignor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visual arts, and has created an intellectual vacuum that impedes the improvement of pedagogical practice. If there do not exist any assessment methods in evaluating the results of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and results of art education are meaningless. This study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dilemma of evaluating visual arts in Korean art education. First, this study examines performance assessment in terms of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 of unnecessary assessment in Korean contemporary art education within a social context. Third, this study maintains that unnecessary assessment is a product of Creative-Self Expressionism, which has prevailed in modern Korean art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of assessment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초등 미술교육의 실기의 특성과 미술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연구

        박정애(Jeong-Ae Par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3

        이 글에서는 이론과 실기로 나뉘면서 교과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현황을 확인하면서 이에 대한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실기는 그 시작부터 유럽과 미국의 미술교육의 실기들이 도입되었으며 여기에 새로운 이론에서 도출된 실기들이 다시 첨가되는 양상이다. 이 점은 학교 미술의 실기와 일반 미술계의 실기가 근본적으로 다른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조형요소와 원리의 디자인교육 및 바우하우스의 입체교육 등을 포함하는 “초등미술교육 기초실기”와 다문화미술교육, 시각문화교육, 생태미술교육, 상호텍스트성의 미술 등 현대미술교육에서 구체화된 실기들을 가르치기 위한 “초등미술교육 심화실기”의 강좌가 개설되어 미술교육의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도모하면서 미술가 교육과 구별되는 교사양성을 위한 미술교육과의 정체성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uggests a developmental method to improve art education in Korea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are divided: art education as theory andpractice as art world genres like painting, sculpture, ceramics, oriental painting, etc.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in Korean art textbooks is first introduced from the art education practices that emerged in Europe and in the USA, where new practices are increasingly being added. This means thepractice of art educati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acticing artist or artist in training. For this reason, the Foundation Course for Primary School Art is the required curriculum to teach design education in which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are the basic core knowledge, as well as Bauhaus practices. This course follows the Development Course for Primary School Art to teach multicultural art education, visual culture education, ecological art education, and intertextuality in art, which can identify art in education by distinguishing art education and art teaching for the practicing artist.

      • KCI등재후보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김선아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토대로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파악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적, 정책적 대응방식을 고찰하고 미술교육의 역할을 조명하였다.다문화교육의 정착과 확산에 있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역량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함에 주목하여,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육(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교사의 다문화적 역랑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향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미술교육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미술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art teachers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art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responses and changes in terms of the education discourse and policy making. This stu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art teachers' competency in enhancing and permea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The concept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has provided the framework for drawing the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multicultural art teache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teacher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ori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ulticultural art teacher education as the pivotal factor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참여와 공유를 창조하는 교육프로그램 설계: 예비 박물관/미술관 교육자를 위한 대학원 수업의 실행연구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2

        박물관/미술관의 온라인 교육 활동은 오프라인 교육 활동과 마찬가지로 교육 활동 참여자의 관심과 현 상황을 반영하고, 그들을 변화 가능한 집단으로 인식하며, 그들에게 삶의 의미를 찾도록 만드는 활동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교육 활동의 증가에 따라 온라인 교육 활동의 계발 연구는 코로나의 지속 여부를 넘어 박물관/미술관 교육 종사자들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 판단하고, H 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물관/미술관 2의 수업을 팬데믹 시대의 박물관/미술관을 위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로 전환한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이다. 수업에서 예비 박물관/미술관 교육담당자들은 박물관/미술관이 참여적 문화 기관임을 인지하였고, 방문객이 자신의 의미를 만들고 그 생각을 공유하고 연결되는 온라인 교육 활동을 설계하였다. 교수자와 수업 참여자는 사이먼(Simon, 2010)의 참여의 기본 원리를 근간으로 참여의 조건과 과정을 어떻게 설계해야 관람자에게 참여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지 함께 연구하였다. 수업 참여자들은 특정 박물관/미술관과 전시를 선정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대상자를 설정하고, 이용자들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구하도록 독려하여 소통의 수단과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수업 참여자의 참여적 온라인 교육 활동 설계는 결과로서의 교육 활동이 아니라 더 깊은 참여를 유도하는 과정으로 계획했다. 참여자들은 온라인 박물관/미술관의 교육 활동 설계에 있어 “나에게서 우리”로의 이행 장치를 만들려 노력하였다.

      • KCI등재

        미술과 토론 수업의 사례와 방법론 탐구

        이지연,김지은,박지원,제갈유진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3

        토론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개개인 삶 속 맥락과 조건 속에서 미술작품들과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 해석, 소통한다. 또한 수업 과정 중에서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논리적 사고와 표현으로 다양한 쟁점을 설득하고 토론한다.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지 않은 미술교과만의 특성이 반영된 토론 교육이 미술교육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한 기초연구이다. 미술과에 적합한 토론 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토론과 토론 수업의 개념을 정리하고, 타 교과영역에서 진행 중인 토론 교육의 방법, 가치, 효과를 점검하며, 토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미술교육을 위한 방법론으로서 미술과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토론 수업 유형을 논의하고자 했다. 그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문화와 이미지 기반 토론 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미래 미술교육의 방법론으로서 토론 수업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술과 토론 수업 설계를 위한 미술교육 방법론으로 미술과 토론 수업 사례를 가치문제 토론에 적합한 링컨-더글러스형 토론, 실천방안 토론에 적합한 상호질문형 토론과 칼 포퍼식 토론, 그리고 혼합형 토론에 적합한 의회형 토론 유형으로 구분하여 탐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 미술교육의 방법론으로서 토론 수업을 탐구하고 미술과 토론 수업 설계를 위한 토대를 탐색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