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특징에 관한 일 고찰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현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비전을 밝히기 위해서 교육인류학 내외의 맥락 속에서 기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 논문은 ‘형성’의 관점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의 현재, 즉 그 특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교육인류학의 형성과정을 먼저 이해함으로써 ‘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의 기원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구 주도 아래 근대학문이 형성,발전된 맥락 속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은 미국 교육인류학의 ‘선택적 이식’을 통해서 생성되었지만 한국 학문공동체의 탈식민주의적 풍토 속에서 제1기 교육인류학도들은 학문의 ‘토착화’를 중요한 학자적 과제로 삼았다. 또한 교육학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교육학과의 담론적 분위기와, 인류학과 교육학의 다른 세부전공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개념정립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교육인류학의 옅은 학자층은 질적 연구와의 필연적 공생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육인류학은 성격상 학문중심적인 ‘인류학적 교육인류학’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학적 교육인류학’을 중심으로 점차 미시적 실천의 성격이 강한 학문적 특징을 가지게 되었고, 차이와 경계 속에서 서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대상의 개념적 정립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한국 교육인류학은 이제 과거와 현재, 교육학과 인류학, 이론과 실제, 그리고 미시와 거시의 변증법적 관계를 딛고 토착적이지만 세계적인 학문으로 도약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Based upon the problem that it is urgent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KAE)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shed light on its fu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AE from the historical anthropology perspective of ``formation``. In particular,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US, the study aims tocompare it presently with KAE, as well as to understand historically the origin of KAE. Like all the modern sciences, KAE is generated by transplanting the US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Korean academe, in particular,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 postcolonial atmosphere of the Korean academe urged the first Korean anthropologists to settle KAE in a different institutionalized academic framework from that of the US. Also, a very small number of education anthropologists and their students has caused the group to search for symbiosis with qualitative researcher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KAE started from theory-oriented ``anthropological`` AE but had taken on the character of practice-oriented ``educational`` AE in time. Encounters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d also caused KAE to deepe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phenomena researched (culture an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each other in overlapping studies.

      • KCI등재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과 교육기술지

        서근원 ( Suh Ghun-w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3

        교육인류학은 교육을 연구한다. 교육인류학 연구는 교육을 기술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교육인류학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정립되기 위해서는 교육기술지란 무엇이며, 교육기술지에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 그것은 어떻게 작성되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인류학계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의를 소홀히 했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자는 교육을 삶의 형식으로 정의하는 조용환(1999)의 주장을 토대로, 교육기술지가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이며, 교육인류학 연구자가 그런 내용을 담아서 교육기술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제를 추가로 해결해야 하는지를 논의했다. 본 연구자의 논의 결과에 따르면 교육기술지의 핵심은 당사자가 낯선 것을 계기로 삼아서 기존의 문화를 변증법적으로 해석하여 실천하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이때 기존의 문화를 변증법적으로 해석하여 실천한다는 것은, 기존의 문화를 근거로 하여 낯선 것을 해석하여 실천하는 대신 낯선 것에 비추어서 기존의 문화와 성찰적으로 대화함으로써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가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인류학 연구자가 이와 같은 삶의 형식으로서의 교육을 기술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을 연구할 수 있는 고유한 연구 방법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인류학계에는 그와 관련된 연구 방법은 체계적으로 소개되거나 논의된 적이 거의 없다. 따라서 교육인류학이 교육을 연구하고, 그 연구의 출발은 교육을 기술하는 일이라고 한다면, 이제부터라도 그 교육을 기술하는 데 적합한 연구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여 실천해야 할 것이다. 즉 우리 자신이 교육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변증법적인 해석과 실천의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교육의 사례를 기술하고, 그것을 비교문화적으로 검토하여 한국 교육인류학 고유의 교육 이론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필요한 연구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nthropolgy of education studies education. The study starts from the description of education, which is educography. In order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tudy, Anthropology of education must go through a systematic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description of education. But, until now the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has not paid enough attention on it. For these reasons, on the basis of Yong-whan Jo`s (1999) concept of education, I discussed the elements and task of educography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key of educography is dialectic interpretive and practice on an existing culture.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is triggered by the unfamiliar to an existing culture. Somebody who is faced with the unfamiliar to his existing culture re-interprets his existing culture on the basis of the unfamiliar. And he constructs new culture to the unfamiliar. That is the process of dialectic and interpretive practice. Educopraphy describes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Anthropology of Educ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we have to build a unique research method to study concrete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of somebody somewhere. But research methods have rarely been introduced or discussed systematically. Anthropologists have to start an investigation for a unique method on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on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This means that Korean Anthropologists of Education have to live themselves a dialectic interpretive life. And we have to describe various cases of education and compare them to others to a construct unique theory on education.

      • KCI등재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서근원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교육의 장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역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교육인류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교육인류학의 탐구와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맞춤형 교육은 탈공정의 교육을 추구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교민(敎民)의 교육으로부터 회인(誨人)의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다. 그런데 회인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메논의 역설이 존재한다. 이 역설은 언어적인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듀이가 제시한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한 경험의 과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교원이 학생으로 하여금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교과의 안목을 새롭게 형성하도록 하려면, 학생의 기존 안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고, 학생의 문제 해결 과정을 학생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가운데 적절히 지원하거나 조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일을 적절히 하는 데 필요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갖추어야 한다. 문화인류학자가 내부자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적용하는 참여관찰 방법과 레빈이 사회적 실천을 위해서 적용한 실천탐구 방법을 수정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한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탐구와 실천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학교 현장의 교원들이 교육인류학의 이러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익히게 되면 교원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다양한 학생들을 탐구하고 각각에 알맞은 회인의 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인류학자가 해야 하는 실천은 워크숍을 통해서 학교 현장의 교원들에게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의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다.

      • KCI등재

        긍정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통해 본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

        전현욱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교육인류학의 연구와 탐색이 지시하는, 교육의 한 가지 실천 가능한 방향을 찾아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이는 불현듯 시작된, ‘부정’과 ‘금지’로 점철된 교사로서의 나의 교육 방식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하며, 결국 그 반대 방향인 ‘긍정의 교육’을 상상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내가 이 연구에서 풀어야 할 문제는 교육인류학 연구자로서 상상하게 된 ‘긍정의 교육’의 특성을 밝히고 개념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하게 사용되는 ‘긍정’이라는 단어의 용례에 대한 문질빈빈(文質彬彬)을 통해 내 나름의 긍정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이는 ‘시선의 이동과 관점의 전환’,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맞닥뜨린 사물/사건/사태/상황/지식을 이해, 파악하고 이를 타개, 헤쳐 나가는 것’, 두 가지 자세로 요약된다. 이러한 긍정의 개념을 바탕으로 그동안 내가 연구, 공부해 온 교육인류학이 어떤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는지 논의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인류학은 긍정의 교육학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긍정의 교육학인 교육인류학을 그 실행의 바탕으로 삼는, 이른바 ‘긍정의 교육’은 ‘다르게 생각하고 표현하고 행동할 자유’ 속에서 다름의 넘실거림과 향연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실천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교육인류학과 교육의 실천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가 겪는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교육인류학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인류학은 인간의 다양한 삶의 장면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교육을 문화와 관련지어 탐구하고자 한다. 이 때 교육은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나는 과정이라고 본다. 교육인류학자가 이러한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교육인류학자는 그 방법으로 타인의 교육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신 역시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난다. 즉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 속에서 연구 대상과 연구 과정이 일치한다. 나는 지금까지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을 안내했다. 현장 교사들은 그 방법으로 학생의 교육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 학생이 어떻게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지 알게 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자신이 학생들을 일방적으로 판단해왔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자기중심적으로 이루어져왔던 교육적 실천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일상 속에서도 주변의 타인을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애쓰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사들은 학생뿐만 아니라 주변의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점에서 교육인류학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lienation that students and teachers feel in Korean school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target and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find the way. Anthropology of education presupposes that education is the process of rebirth. Anthropology of education posits that education exist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ulture and geography. Anthropology of education researchers have developed certain research methods to study education. They in turn are reborn by studying how others undergo their education. In thos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corresponds to the research subject. I have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school teachers. Studying the education of their students with this method, the teachers understood how their students learned new knowledge, and found that they judged their students arbitrarily. After the research process, the teachers tried to correct their egocentric practice of education. Furthermore, they tried to understand their neighbors from others` viewpoints. With these efforts, they established new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neighbors. Considering these results, anthropology of education can be a way to change Korean school education and Korean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조용환 ( Yong Hwan H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교육인류학은 오래 전부터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목적, 내용, 방법 등에 관련된 연구를 줄곧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문화`` 이데올로기와 정책에 매몰되어 교육인류학의 호소와 공헌은 우리 교육계와 교육학계로부터 그에 합당한 관심을 받지 못해 왔다. 그러다가 이주민이 급증하고 다문화 가정과 그 아이들이 ``문제``로 등장하면서 다문화교육이 유행처럼 무분별하게 다루어지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동향과 방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질적 연구의 존재론적 접근을 다문화교육에 접목시킬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금까지의 담론은 통합론, 교화론, 자원론, 인권론, 복지론이라 명명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담론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담론들에서 우리는 몇 가지 공통적인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감성적 측면이 소홀히 다루어졌다. 둘째, 질적 이해보다 양적 설명에 치중하였다. 셋째, 겉에 드러난 표현태(phenotype)에 주목하여 이면의 심층적 생성태(genotype)를 간과하였다. 넷째, 인식론에 머물러 존재론으로 나아가지 못 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유념하면서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존재론적, 미학적 방법으로 시를 선택하고 있다. 그간 망각, 은폐, 왜곡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열어 밝히는 데 ``시의 미학``이 어떤 가능성과 한계가 있을지 이 논문은 실험적인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 Anthropology of education has long studied such phenomena as educating multi-cultures, educating multi-culturally, and educating in multi-cultural situations. Its mission and contribution, however, have neither been properly recognized nor properly rewarded by Korean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indulged in mono-cultural ideologies and policies. Meanwhile, Korean society began to gain more and mor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hich caused various social conflicts between foreigners and natives. As a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became a prominent task recently among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They are now strongly recommended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and wisdom of educational anthropologists.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r the last decade seems to be oriented toward integrating social identities, domesticating cultural habits, developing human resources, securing human rights, and promoting the public welfare of children from immigrant families. However, such orientations have revealed several weak points on a philosophical basis as well as in methodological relevance, including (1)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preponderance to quantitative explanation rather than qualitative understanding, (3) overemphasis upon phenotype rather than genotyp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blems``, and (4) indifference to ontologic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tries an alternative poetic approach in order to apply more and better considerations for emotional, qualitative, genotypical, ont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 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놀이 중심 교육이라는 서구 유아 교육 담론 및 제도가 한국 유아 교육현장에 토착화되는 과정, 특히 그 과정에 수반된 갈등, 혼란, 딜레마를 살펴본다. 논문의 기반이 되는 자료는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유치원에서의 15개월간의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되었다. 교사들은 수입된 교육제도를 수동적으로 이식하기보다는 창의적 아동 기르기라는 사회화 목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였으며, 동시에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창의성을 강조하는 등 창의성이라는 사회화 가치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토착화하였다. 또한 토착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딜레마에 직면하여, 놀이 중심 교육의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구를 간파하고, 이에 대해 저항과 회피의 전략을 통해 대응하였다. 논문은 서구 유아 교육철학과 제도의 토착화 과정이 교사들의 일상적인 실천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의 세계화에서 현지 교사의 행위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기존 교육인류학 연구 성과들을 뒷받침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Western play-centered curriculum is indigenized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conflicts, confusions, and dilemmas embedded in indigenizing processe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conducted at a Korean preschool, the article shows that teachers, rather than passively adop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reinterpret and reconstruct it to address the education goal of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self-expression, and diversity. At the same time, in enacting an imported curriculum, teachers reconceptualized Western individual-based creativity as cooperative creativity to reflect local demands. Moreover, teachers penetrated the problems of play-centered ideology and confronted them with resistance and avoidance. The article, overall, articulates local teachers’ agency in the globalized educational landscape by showing how global imports become indiginized with the work of local teachers who make decisions on how to implement or resist imported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 KCI등재

        물러섬 없는 위기지학(爲己之學): 한 교육인류학도의 연구궤적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inquiry relat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a scholar’s lived experience of hermeneutic circulation on ‘moonjilbinbin (文質彬彬),’ which originated from Confucius’ saying that ‘when accomplishments and solid qualities are equally blended, we then have a man of virtue (文質彬彬 然後君子)’. In this passage, ‘moon (文),’ and ‘jil (質)’ are two kinds of aspects or principles forming a man of virtue while ‘moon’ generally means an artificial, sophisticated aspect, while ‘jil’ means a natural, simple aspect. When it adopts such passage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inquiry, this study means bilateral understandings of ‘moonjilbinbin (文質彬彬).’ One is understanding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inquiry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community. The other is understanding the continuous process of dissolving and restructuring the concepts of culture and education in search of becoming educationally from my perspective as an individual. Such a bilateral understanding of ‘moonjilbinbin (文質彬彬)’ enables both students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ers to see how ‘learning for oneself (爲己之學)’ makes educational becoming and growth of researchers themselves and academic community. 이 연구는 한 교육인류학도의 구체적인 연구 궤적 속에서 교육인류학과 질적연구가 어떻게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지를 연구자 개인의 ‘문질빈빈(文質彬彬)’에 대한 해석학적 순환의 체험을 통해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한편으로는 학문공동체의 관점에서 교육인류학과 질적연구방법 간의 불일이불이(不一而不二)의 관계를 드러내어주면서 동시에 한 연구자 개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교육적 살아나가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문화와 교육 개념에 대한 지속적인 해체와 재구성, 그리고 그에 따른 다양한 전통의 질적 연구방법과의 만남의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한 연구자의 연구 궤적을 통한 ‘문질빈빈’에 대한 이러한 양면적 이해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삶이 그 개인이 속한 실천공동체로서의 학문공동체의 삶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질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교육인류학도들과 질적연구자들에게 학문에 대한 ‘위기지학(爲己之學)’적 태도가 연구자로서의 자신과 학문의 교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 탐색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2

        인간은 되어있는 존재임과 동시에 되어가는 존재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을 두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교육학이 주목하는 것은 인간의 되어가는 측면이다. 우리는 인간의 되어가는 측면을 이해함으로써 되어있는 측면까지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교육인류학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초점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인류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Anthropology of Education)"과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Educology of Anthropo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인류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이 교육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그것이 인간을 이해하는 데 어떤 제한 점이 있는지 등을 검토했다. 그리고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는 교육을 어떤 것으로 파악하는지, 그런 관점으로 볼 때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인간의 되어감을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어떤 연구방법이 필요하며, 그런 이해의 작업은 우리의 실제적인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Man is not only a being but also becoming. This enables us to understand man through both aspects. The science of education focuses on the becoming aspect. When we understand the becoming aspect we can understand the being aspect better too.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Educology of Anthropos understand humans through the becoming aspect. But there are some rad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thropology of Education regards education as a cultural transmission process only. In this point of view, we cannot understand precisely all the human becoming process. This is because, human becoming does not only go through the cultural transmission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culture diffusion process or acculturation process. Educology of Anthropos regards education as a form of life in which human reflects upon the existing culture and renovates it. In this point of view,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 human becoming process as an education, and not the Pedagogics but the Educology we can set up. The Educology of Anthropos understands the becoming aspect of humans in relation to a culture. But, to set up the Educology of Anthropos as a science, we have to make a provision for its own research method. I have suggested briefly a educ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study of Educology of Anthropos. In my opinion, the Educology of Anthropos has just started. But it can contribute to improve Korean dark school and our everyday life.

      • KCI등재

        디지털문화시대의 영화와 교육

        정영근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21세기 디지털문화시대에 교육은 과학기술의 발달 및 자본주의의 광범위한 전개에 따른 대중예술의 일상화와 더불어 문화산업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 가운데 영화는 가장 대중적인 문화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영상매체의 교육적 적용이 점점 더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학자들이 영화를 문화 및 교육학적 텍스트로 간주하여 교육학적 영화 읽기로 나아가려는 시도가 아직 제대로 추구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특성에 따른 교육학적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교육학적 영화 이해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면서 영상을 통한 쉽고 재미있는 학습과 더불어 기존의 책 읽기를 병행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다. Dass wir in einer digitalen Mediengesellschaft leben, ist schon ungeza¨te Male gesagt und geschrieben worden. Dass in dieser Gesellschaft alle Bereiche des Lebens den Einflu¨en der Massenmedien ausgestzt sind, also auch der weite Bereich der Erziehung, ist la¨st unu¨rsehbar und auch vielfach wissenschaftlich belegt. Daher ist es sehr merkwu¨ig, dass die Erziehungswissenschaftler gerade erst anfangen, sich mit diesen Tatsachen und ihren Konsequenzen fu¨Erziehungs- und Bildungsbereich ernsthaft auseinanderzusetzen. Bisher nahmen die Pa¨gogen die Medienentwicklung entweder nicht zur Kenntniss, oder sie liessen sich von Emotionen leiten, zumeist von Befu¨htungen. Unter verschiedenen Massenmedien erregt das Spielfilm fu¨Pa¨gogen Aufmerksamkeit, da es als aktuelle Medien zunehmend bildende Bedeutung gewinnt. Der pa¨gogische Sinn der Nutzung des Spiefilms ist heutzutage sowohl durch die Popularisierung des Ästhetischen als auch durch die Entwicklung der digitalen Technik enorm gross geworden. Bilder und Filme durch Digitaltechnik werden allta¨ich bei allen Altersgruppen und Sozialschichten konsummiert, um kulturelle Bedu¨nisse des Menschen zu befriedigen. Hinter diesem Pha¨men versteckt sich selbstversta¨lich Kulturindustrie der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die durch ihre Einflussnahme auf Menschenbildung die Wirklichkeit des Lernens und der Schule erheblich vera¨ert. Aus diesen Gru¨en, auch wenn es sich verspa¨t hat, mu¨en wir den Sinn und die Bedeutung des Spielfilms im Digitalzeitalter aus pa¨gogischer Sicht auslegen und dabei nu¨liche und scha¨iche Wirkungen fu¨die Menschenbildung pra¨s erkennen. Dazu muss auch eingesehen werden, dass die traclierte Kulturtechnik wie Lesen und Schreiben weiter als das Kernstu¨ der Erziehung des Menschen bleibt, und dass die Massenmedien nur als Erga¨ungsthechnik aufgenommen werden darf. Bei der didaktischen Nutzung des Spielfilms handelt es sich um pa¨gogische Grundfragen der Mediengesellschaft, und als solche ist sie der Gegenstand der allgemeinen Pa¨gogi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