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간치멕 ( Ganchimeg Gantumur ),곽영순 ( Youngsun Kwak ),차희영 ( Heeyo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South Korea to check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arth science curriculum revisio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of earth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o compare and analyze with other foreign cases, and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and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TIMSS evaluation framework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arth science-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high school, the contents of NG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f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re mixed and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created and validat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untries that follow the Russian-style education system did not organize and operate earth science as an independent science subject, and deal with earth science-related content in the natural geography area of the geography subject. The earth science contents cov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18 of the 27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content analysis framework were matched in Mongolia and 20 in South Korea.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Mongolia were described more briefly and not covered tha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Mongolian geography curriculum dealt with many environmental issues. The emphasis 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 전통 과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가치 탐색

        이지혜 ( Ji Hye Lee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과학 지식의 과학 교육 가능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한국 전통 과학을 소재로 과학적 개념, 역사적 지식, 문화적 경험 등이 포함된 실험과 그룹 활동, 탐방을 포함한 5개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주제는 역법, 앙부일구의 원리, 과학자 장영실, 한국의 고대 자연 기록, 경복궁 탐방 등이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프로그램 전후 인식 조사, 수업관찰 자료, 수업 활동 자료, 면담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한국 전통과학에 대한 인식은 문화적 범주 내에서 과학적 요소를 찾는 수준을 넘어서서 자연 과학으로서의 한국 전통 과학 가치로 변해갔다. 또한, 우리 전통 과학에 대한 기대감을 과학적, 실용적, 정서적 측면에서 표현했는데, 한국 전통과학의 실용적, 정서적 측면들이 학생들에게는 비과학적 측면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서양 과학과 한국의 TSK와의 관계를 통해 과학에 대한 세계관을 드러냈는데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전통 과학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국 전통 과학의 과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움을 나타냈다. 학생들은 우리가 배우고 있는 과학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과학 교육자들은 그것을 세심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우리가 한국의 TSK에대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한국TSK에 대한 학문적, 과학교육적인 심층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cience education using Korean TSK(Traditional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five Korean TSK units including science concepts, historical knowledge and cultural experience and applied them to 10th graders. The five units are as follows: (1) Calendars(western and eastern), (2) Our traditional sundial, Angbuilgu, (3) A great scientist in the King Sejong Era, (4) Data interpretation of ancient record of natural phenomenon in Korea, and (5) Gyeongbokgung Palace. The analyses included a pre- and post test of students` perception, classroom observation, students` activity sheets, and interview.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f Korean TSK has changed toward recognizing the value of Korean TSK as a kind of natural science. They expressed their expectation of Korean TSK in scientific, practical, and emotional perspectives, wherein some students thought the practical and emotional perspectives of Korean TSK as non-scientific characteristics. Students showed five types of world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SK and WMS(western modern science). Most students favored and cherished the Korean TSK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confused about its scientific value. The results support the rethinking of the meaning of science and what students learn in school. We should consider how we teach the Korean TSK to students. It is important that a profound research of the Korean TSK should be continued to make our science education varied.

      • KCI등재

        한국의 과학교육 종합 지표 개발 연구

        홍옥수 ( Oksu Hong ),김도경 ( Dokyeong Kim ),고수영 ( Sooyung Koh ),강다연 ( Da Yeon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지능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을 위해 과학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과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역할 및 책무성은 법으로 명시되어 있다. 과학교육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과학교육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학교육 정책의 성과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단·점검할 수 있는 종합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토대로 ‘학습자’와 ‘과학교육 맥락’의 2개 차원과, ‘투입’, ‘과정’, ‘결과’의 3개 범주로 구성된 과학교육 종합 지표체제를 도출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개발된 과학교육 관련 지표의 내용을 검토하여 지표의 요소와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과학교육연구, 초·중등 현장교육, 과학교육정책, 교육과정,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 25인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의 체제와 요소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과학교육 종합지표의 조사대상 및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투입’ 범주에 대해서는 ‘학생 특성’, ‘교사 특성’, ‘교육 인프라’의 3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과정’ 범주에 대해서는 ‘과학 교육과정 운영’, ‘과학콘텐츠 보급 및 프로그램 운영’,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의 3개 요소가 도출되었고, ‘결과’ 범주에 대해서는 ‘과학 역량’, ‘참여와 실천’, ‘정의적 성취’, ‘인지적 성취’, ‘만족도’의 5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또한 학생, 교사, 교육청/기관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문항양호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육 종합 지표’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여건, 성과,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과학교육 정책 수립 및 추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gradually being strengthened. The governme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science education are stipulated by laws and policies in Korea. In order to systematically support science education, continuous monitoring of related policies is essential.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monitor the national policies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derive the framework for the indicators that has two dimensions (learner and science education context) and three categories (input, process, and outcome) from literature reviews. In order to derive th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of the indicators,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related indicators developed in Korea or abroad were reviewed.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framework and components of the initial indicators, a two-roun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with 25 expert participants with five different professions in science education. Finally, three components of the ‘input’ category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ree components of the ‘process’ category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grams implement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mplementation), and five components of the ‘outcome’ category (science competency, participation and action, affective achievement, cognitiv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derived. An instrument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teachers, and instituti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and cont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were analyzed. Korea’s Science Educ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comprehensively measure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polic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 KCI등재

        A Study on Science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eparation

        박성재 한국과학교육학회 198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 No.2

        중등 과학교사 양성에 있어서 기초 교양 과목과 교육 일반론 및 과학 과목은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특유해야할 과목은 과학교육 관계 과목이다. 많은 경우 2∼3학점의 한 과목을 필수로 제시되는 "물리교육", "화학교재", "생물교수법" 등의 분야별 과목이 안이하고 무의미하게 제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직관적 판단으로부터 우선 한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개발의 기본적 모형을 구안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한 단계로 전국 사범대학 과학교육 관계과나 전공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과 면담을 통해 학사 학위 및 중등 과학 교사 자격을 위한 최소 이수 학점 그리고 일반 및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별히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필수 및 선택 과목 수와 학점, 대상 학생과 교수, 과목의 목표, 내용, 교육 자료와 평가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의 두 번째 범주인 과학 교육 과목 담당 교수의 중등 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과학 교육 과목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종합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 조사와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과목의 총 이수 학점에 대한 비율, 과목수와 명칭 그리고 교육 내용의 기본적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를 위한 모형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최정인 ( Jung In Choi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학생의 과학학습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영민 ( Youngmin Kim ),백성혜 ( Seoung Hey Paik ),최선영 ( Sun Young Choi ),강남화 ( Nam Hwa Kang ),맹승호 ( Seungho Maeng ),정용재 ( Yong Jae J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타당하고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계획과 실천을 위해서는 축적된 연구 결과에 근거한 과학교육 정책의 결정이나 교육과정 개발, 교수학습방법 및 적절한 학습 자료 개발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러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주요 과학교육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근래 학생의 과학 학습과 관련된 국내 과학교육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과학 교육과정 개발이나 정책 개발,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에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6개 주요 과학교육 관련 학회지에 2000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게재된 과학 학습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총 8개의 과학 학습영역(‘학생의 개념’, ‘학생의 사고’, ‘탐구’, ‘정의적 영역’, ‘학생의 과학에 대한 생각’, ‘교육과정’, ‘학생의 학습/수업활동’, ‘비형식 교육에서 학생의 학습’)과 각 영역의 세부 범주에 의거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기존의 연구들은 다소 특정 분야와 특정 대상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 발달 과정보다는 현재 실태를 진단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새로운 이론이나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소 직접적이진 않지만 학생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나 비형식 학습에 대한 연구 역시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발이나 정책 개발,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과 관련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Valid a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would require research-based decisions on multiple aspects of science education including policy decisions,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designing teaching resources and methods. However,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order to provide a research base for science education practices and policy-making,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maj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s in South Korea in the last ten year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8 areas including student conceptions, student thinking, inquiry, affective domain, student ideas about science, science curriculum, students’ learning and classroom activity, and student learning in informal settings. General research trends found include: First, science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for the past decade focused on a certain limited topics/area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limited to certain grade levels or types of students. Third, rather than examining developmental processes descriptive research was prevalent. Fourth,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developing new areas of study or research on generation of new perspectives, theories or tools. Fifth, many studies were related to school science learning while relatively less studies were about other areas that would impact students’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others.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용어 사용 연계성 분석

        윤은정 ( Eun Jeong Yun ),박윤배 ( Yune 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과학 학습에서 과학 용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학 및 심리학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과학 용어를 처음 접할 때의 상황과 맥락은 매우 중요하며, 처음에 제대로 인지되지 못하면 오개념 등으로 이어져서 후속 학습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본 연구는 과학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을 담은 용어들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얼마나 주의 깊게 제시하고 있는지,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잘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9 개정교육과정의 단원별 성취기준에 제시된 과학 용어들 가운데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것들을 조사한 뒤, 이 용어들의 교육적 필요성, 과학학습에의 중요성, 적절한 교육 시기, 난이도 등을 교사와 학생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사용된 과학 용어의 25%정도만이 교육과정에 언급되고 있었으며, 약 10%정도는 교육과정에 언급되기 이전에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서보다 교과서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사와 학생 설문조사 결과 상당수의 용어가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가르쳐야할 개념이나 사용 용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교과서를 집필할 때 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입장에서 과학 용어를 위계적이고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전체 학년의 교과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It is important to know science terminology when learning science. In terms of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e context of encountering a terminology for the first time is critical. If a student has not learned the terminology properly the first time, it might cause misconceptions or be a barrier in following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careful science terminology are used in science textbooks, and the relationship of using science terminology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educational need, the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proper time for teaching, & difficulty of the terminologies have been surveyed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s results of study show, only 25% of terminologies in science textbooks have appeared in the curriculum, and about 10% have been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prior to science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many of those terminologies could cause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solution for them have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avoiding usage in textbook prior to curriculum, using earlier in textbooks, using earlier in curriculum, and reflecting curriculum precisely in the textbook. In general, the curriculum needs to state performing objectives concretely. And it is needed to examine science terminology advertently when writing textbooks.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의 핵심개념 및 성취기준 비교 -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이성아,박재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 제시된 지구와 우주 영역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개념과 원리를 비교하여 해당 영역의 교육내용 구성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또한, 지구와 우주 영역을 다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NGSS의 수행기대를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비교하여 초등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과 기능을 진술하는 방식의 차이와 한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지구와 우주 영역의 내용과 기능을 의미 있게 정합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명칭과 하위 요소를 구분하는 방식이 서로 달라 각 영역을 그대로 비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GSS에 수록된 내용을 검토한 후, 이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내용 체계에 맞게 재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key concepts)과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이 용어 사용의 개념적, 기능적 측면에서 NGSS의 교과 핵심 아이디어(disciplinary core ideas)와 수행기대(performance expectations)에 각각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이들 용어를 같은 개념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천연자원, 판구조론과 대규모의 시스템 상호 작용처럼 NGSS에서는 다루고 있지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은 교과 핵심 아이디어들은 NGSS에 수록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핵심개념이더라도 학습 내용의 구성과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NGSS에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수록된 핵심개념의 수와 내용 요소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GSS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핵심개념에 따른 학년별 성취기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내용 요소 간의 연계와 더불어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 관계, 지구와 인간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지구와 우주 영역을 다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의 성취기준을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지식 차원에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NGSS에서는 절차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 NGSS에 나타난 유형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더 다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구와 우주 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및 성취기준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박신희,김찬종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1

        최근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으로 새롭게 평생학습 능력이 제시되었다. 학생들이 삶 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과학교육을 넘어선 과학과 관련한 평생학습능력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를 과학적 소양을 통해 해결할 수있었다는 경험적 증거는 찾기 어렵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생학습능력을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어떻게 함양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평생학습능력을 함양하고 삶 속에서 접하는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SI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SSI 교육 연구 속 진술을 검토하여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연구에서 주목하는 평생학습과 그것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위해 SSI 교육을 주제로 한 문헌 자료 18개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에 드러난 진술을 검토하여 SSI 교육 연구에 내포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화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은 4가지이며 ‘과학에 대한 인식’, ‘과학과 일상의 연결’, ‘참여적 시민성의 촉진’, ‘정체성의 구성’이다. 다양한 SSI 교육 연구들은 이미 여러 맥락에서 평생학습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생학습 관련 담론의 4가지 유형은 UNESCO 평생학습 보고서에서 제시한 4가지 학습과 연결할 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평생학습능력으로서 학교 밖 학생들의 실제 삶과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평생학습과 관련한 담론의 확장과 학생들의 평생 학습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전반에 걸친 운영과 관리가 요구 된다. 있었다. SSI 교육은 학생들의 삶의 경험을 학습의 일부로바라보며,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한 사회적 쟁점에 대해 책임감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인성과 역량을 갖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