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지아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러시아어 바버리즘 – 문학, 정치 발언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중심으로

        김희연,PIRTSKHALAVARUSUDAN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4 러시아학 Vol.28 No.-

        언어는 우리의 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간 교류와 상호작용은 언어에 반영되어 다양한 언어가 서로 얽혀져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지아어는 소수민족의 언어는 아니나, 희소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아의 역사는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으로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언어문화에 깊은 흔적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역동적인 관계는 조지아어가 가지고 있는 언어의 고유의 특성을 넘어서 조지아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조지아어 단어에는 어떠한 요소들이 있으며, 러시아어가 조지아어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은 조지아어의 차용 개념인 ‘바버리즘’의 분류와 예시들과 차용어에서 의미가 변화된 예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조지아어의 ‘바버리즘’을 정의하고, 차용어 사전과, 신문, 매체 등에 등장한 러시아어 차용어의 의미를 살펴본다. 조지아어와 러시아와의 언어 교류 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뉘앙스에 대한 고찰은 새롭게 시도되는 연구주제임을 밝힌다. 새로운 언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러시아와 조지아의 언어학적 측면의 관점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 이해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될 것이고, 조지아와 러시아의 양국 간을 넘어 동-서양의 문헌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도 기반이 되는 자료의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Language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our cultures. The interaction and exchange of cultures are reflected in language, intertwining various languages. While Georgian is not a minority language, it can be classified as a rare language. The history of Georgia ha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politically, culturally, and socially, with the Russian Empire era, leaving deep traces in language and culture. Beyo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orgian language, the dynamic relationship highlight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tudying Georgian. This study explores the phenomenon of Russianized barbarisms in Georgian and examines their use and meaning. Georgians designate certain words as barbaric and consider them to threaten the purity of the Georgian language. These words include loanwords, foreign words, and other imported vocabulary; however, the actual impact of these lexical invasions is complex and varied. Research has shown that Russian barbarisms have negatively impacted the Georgian language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literature, political discourse, and more. In particular, Georgian speakers are intentionally using these terms to convey specific messages, in line with efforts to strengthen Georgian linguistic identity and autonom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barbaric terms in the Georgian language by scrutinizing the dictionary of barbaric terms compiled by Tbilisi State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s a new topic for Georgian language studies in Korea, and is the first attempt to explore the linguistic exchange between Russia and Georgia.

      • KCI등재

        카잔 러시아 정교 선교회의 ‘기초 러시아어 교과서’ 출판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 『고려인을 위한 기초 러시아어 교과서』(1901)에 이르기까지

        한지형(Han, Ji Hyoung)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1 러시아학 Vol.- No.22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sic Russian textbooks published for inorodtsy, or more commonly referred to as allogeneousin from the early publications to Basic Russian Textbook for Goryeoin: A Test Version for Conversation Classes published in 19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Russian Empire, and through this, to provide a basis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tudy of Basic Russian Textbook for Goryeoin, Korean-Immigr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the Russian language textbooks for allogeneousin published by the Russian Orthodox Missionary in Kazan were discovered and a complete list of publications was created. Second, by analyzing the constructed empirical data from a genealogical point of view,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contents were examined. Thir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Russian Textbook for Goryeoin through interrelationships between textbooks. As a result, previous literatures mostly discussed the preface, contents and Goryeoin and their language through textbooks, Basic Russian Textbook for Goryeoin; however, this study examines further to consider the interrelations of textbooks to broaden the time and spatial context of this research area. Thus, this study, as a genealogical work,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ng the foundation work to allow comprehensive evaluation of history of Russian educations for allogeneousin during the Russian Empire or the publication history of textbooks for Goryeoin in Russia.

      • KCI등재
      • KCI등재

        알타이 설화에 나타난 어휘의 상징성

        이경희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3 러시아학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ltai tales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words in Altai tales. Altai refers to the Altai Republic in the Russian Federation, located in South Siberia. Altaians - the common name of a kind of historically formed union of six autochthonous Turkic-speaking ethnic groups. Altai folklore is the traditional beliefs, customs, and stories of a community, passed through the generations by word of mouth Altai people. Altai folk tales are life stories that reflect the traditions, belief systems, religions, and cosmic views of the peoples who have lived around the Altai Mountains since ancient times. Altai folk tales have similar themes or modified contents found in other regions and peoples, but reflect the uniqueness of the Altai peoples and culture. In Altai folktale texts, color words that symbolically express the main character and surrounding objects, as well as names of people and numbers using color words, are found. These vocabularies are linearly combined with other vocabularies and function as text components unique to narrative texts.

      • Русские личные имена в системе вежливости на ты и на Вы

        N C Khan(Н Ч Хан)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4 러시아학 Vol.- No.10

        러시아어에는 한국어와 같은 경어법은 아니지만 높임말과 낮춤말 같은 2개의 존경 체계가 존재한다. 2인칭 대명사에 의존하는 높임말은 Обращение на Вы라 칭하며, 낮춤말은 Обращение на ты라고 일컬어진다. 이 두 존경 체계는 각각 호칭과 이름으로 표현된다. 러시아 한 사람의 이름이 상황에 따라 20여 가지의 다양한 이름으로 표현되며, 이 모두가 각각 화자의 청자에 대한 존경, 사회적 관계 및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임말과 낮춤말을 표현하는 이름 종류를 살펴보고 있다. 4종류의 높임말 표현과 낮춤말에 사용하는 세 개의 단축 종류를 포함한 다섯 종류를 살펴보고 있다. 러시아어에는 단축으로 표현되는 이름 종류가 약 150여 개까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은 화자의 청자에 대한 존경, 사회적 관계 및 정서, 느낌, 기분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어 호칭과 이름을 분석하는 작업은 외국인들이 러시아 문화연구를 함에 있어 큰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이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 진화체로서 17세기 러시아

        최정현(Choi, Junghyu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7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the 17th century was made possible was the rule of Ivan IV. It was when most powerful absolute monarchy became the starting point that detonated its own antithesis – the period of transition. Though it remained an unstable political regime with weak rulers, but Ivan IV was able to gradually build an 16-th century European absolute empire while facing collective resistance of the nobility towards him, and through covering up, conciliating with and suppressing rebelling peasants. This for m of imperial policy in the making, though it paradoxically produced perpetual reactio and as such was plagued with resistance from the below to the rule of the stabilizing upper classes, can be seen as the biggest side of in the history of Russian 17th century. The name “the century of revolts” (Бунташный век) was made for a reason. The important thing is the idea that the Russia society was slowly progressing through this forest of radical conflicts and struggle. In fact, conflicts and hostility is a rare element in societies that lack progress. Of course, these movements and that time, look as Janian movements, or, as someone ruled out, it is like “rushing forward while facing backward”. However, we can retroactively say that such movement itself, in the end, took form of the westernization reforms launched by Peter the Great. These reforms, let alone the argument against their axiological features as well as their positive/negative influence, truly became an obvious turning point for the Russia society. However, it is believed not to be a Copernican Revolution, as it is usually seen. It was not that a caprice of one absolute monarch created a city on a desolate coast of the Baltic sea the swamps of the Gulf of Finland and this city became the capital of the empire that would decide the fate of the Russian society. It was a tentative result first brought by the dialectical synthesis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onsistency. In other words, it was one of the ways to enter the outside world. The 17th century is neither an appendix of the dying middle – ages nor the cumber some dawning of the bright modernity. It truly was a chapter in struggle of theses, the turning point and driving force that brought in the western is a nation and modernization by Peter the Great after the 18th centur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Древняя Русь) to the modernity (Новое время), the “17th century Russia” did not make a sudden teleport from one separate side to the other, it rather experienced an interpola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middle ages t modern times. When understanding Russia of the 17th century as a combination of two axes of time and space and as a type of evolutium,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ity, as a process inside a process, did not separate Russian history in two pieces with 1703 as the watershed. The author believes that it should be perceived though the trajectory of a truly coordinated development based on historical dialectics.

      • KCI등재
      • KCI등재

        페오판 프로코포치의 역사극 블라디미르 : 17~18세기 경계기 러시아 문학

        서선정(Seo, Seon Jeong)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ical, literary and ideological meaning of the play “Vladimir” of the 17th - 18th century Russian writer Feofan Prokopovich. First, we looked at the historical, religious, and cultural situation of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Russia and the life of Feofan Prokopovich. In the 17th century Kiev, where the artist was born, there was coexistence of Orthodox, Catholic, Unyat, and coexistence of secular culture of Western Europe and ascetic culture of Eastern church. The Kiev-Mogila Academy, where the artist was educated, was a educational institution of Orthodox church, but tolerant of other religions. During his studies in Rome and Germany, he also knew about ancient Greek culture, European rationalism and Lutheran religious reformation. Next, we made a special study of Baroque and also examined the tradition of the School drama, which is prevalent in Russian literatur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n we researched the artist’s theory of ‘tragedokomediya’ genres and artistic fiction. Finally,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conflict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personas, which reveals ideology of writer. “Vladimir” is not a work expressing the writer s support for the reform of Peter the Great, but the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conflicts and the conclusion reached by the artist, who had struggled between various values.

      • KCI등재후보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서평 문체의 형성과 의의

        김용화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5 러시아학 Vol.- No.1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는 언어변화 관점에서, 특히 형태적, 통사적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안정된 시기’로 규정된다. 그러나 본고는 언어는 동적인 물체이고, 특히 문학어와 문학어 규범은 사회문화적 조건과 맞물려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입장이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시평문체가 형성된 시기도 바로 이 시기에 해당한다. 시평문체가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에 형성된 배경과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그것의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시평의 고유한 문체는 당시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하여 작가가 자신의 관점과 이념을 가능한 한 더 많은 독자에게 더 효율적으로 어필하기 위한 텍스트를 구성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시평 작가는 독자와의 직접적 소통, 짙은 호소력, 넓은 독자층과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자층의 문어적 구어, 민중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반 구어, 그리고 속어와 은어까지도 문어적 어휘와 자유롭게 혼합시켰고, 또한 다른 문체들과의 상호 영향을 통해 문체상 중립 지역을 확장시키며 문학어의 다기능성도 향상시켰다. 시평문체는 문학어 텍스트 산출자와 문학어 텍스트의 대상자가 분리되어 있다. 전자는 지식인 계층과 문학 (특히, 사실주의) 작가이고, 후자는 산출자 자신은 제외된 지식인 계층과 일부 일반 민중인데,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대상자가 산출자의 언어적 특성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텍스트 산출자는 자신이 글을 쓰는 목적과 그 글을 읽을 독자를 염두에 두고 어휘와 어결합, 그리고 통사적 구조 등을 선택한다. 18세기 말 – 19세기 초반 로마노소프, 카람진, 그리보예도바, 푸쉬킨의 등 문학어적 활동 역시 시평과 마찬가지로 산출자와 대상자가 분리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들의 텍스트는 문학어에 대한 산출자 개인의 문학어에 대한 관점이나 시도가 반영되었을 뿐, 대상자가 직접 텍스트의 언어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 시평과 다른 점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한 가지 더 생각해보고 싶은 점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어의 변화에 견인차 역할을 한 것은 시평 문체이고, 그 변화는 문어와 구어의 자연스러운 접촉과 융합이라는 점, 그리고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대중 매체어의 영향으로 일상적 구어체가 문학어로 대거 유입된 것이 현대러시아 문학어 변화의 특징이라는 점은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публицистика-разговорная речь의 상관적 구도가 문학어 변화의 중요한 축으로, 앞으로 러시아 문학어 변화에 적용되는 일반적 법칙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