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에 관한 몇가지 제안

        이은주(Lee Eun-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철학교육(teaching Philosophy)는 말 그대로 철학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철학이란 텍스트 안에 놓여 있는 철학에서의 여러 학파나 철학자들의 이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teaching Philosophy에서 Philosophy를 굳이 풀어내자면, 영어로는 doing Philosophy이며 독일어로는 philosophieren이다. 즉 이는 학문적 혹은 지식적 철학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함을 교육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철학함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그럼에도 가르치는 이는 무턱대고 철학교육이란 철학함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따라서 철학교육을 말하기에 앞서 제기되어야 할 것은 가르치는 이가 얼마나 철학함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 가를 살피는 일이다. 모든 교육에는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가 있다. 그렇다면 철학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가르치는 이가 철학 학습에 임하는 태도이다. 나는 기존의 철학교육 방법론에서 진정한 철학교육의 대안을 찾을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철학교육에 있어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을 제안한다. 철학교육은 그야말로 열린 교육이어야 한다. 자유롭게 열린 교육 안에서 학습자는 비로소 스스로 자기 자신과 세계를 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기 스스로의 지평을 마련할 수 있고 그 지평을 넓혀갈 수 있는 것이다. 열린 교육의 장을 펼쳐내는 것은 가르치는 이가 우선 해내야 할 일이다. 열린 교육으로서 철학교육은 ‘놀이’를 요청한다. 철학적 놀이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눈으로 본 세계를 자신의 마음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철학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강요하지 않는 놀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힘을 길러내 줄 수 있다. The education of Philosophy means ‘teaching Philosophy’. But the term‘Philosophy’ here does not refer to various schools or philosophers studied within the philosophical text. The term can be defined as ‘doing Philosophy’ in English and ‘philosophieren’ in German. That is; it’s not an education of scholastic or intellectual philosophy, but an teaching of ‘doing philosophy’. However, the learners do not know what ‘doing philosophy’ is, let alone how it’s done. Nevertheless, the teacher emphasizes that ‘teaching Philosophy’ should teach ‘doing philosophy’. Therefore, before further discussing ‘teaching Philosophy’, a clarification of how well the teacher must understand ‘doing philosophy’ is required. All teaching consists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essence of teaching Philosophy lies in the teacheror’s approach toward Philosophical studies. I’m ascertained that the present Methodology of teaching Philosophy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for genuine teaching Philosophy. Hence I propose the ‘philosophically teaching’ method. teaching Philosophy should be an open education. Under the liberal and open approach, learners will finally be able to face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this way, they might break open and expand their own horizons. It is up to the teachers to provide the field for an open education. To become an open education, teaching Philosophy needs to adopt‘plays’. Philosophical plays can lead learners to view the world with their own minds. ‘Philosophically teaching’ can train learners to think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unforced plays.

      • 한중 단오 풍속문화 비교연구

        위군(魏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단오는 유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한국과 중국이 모두 지니고 있는 전통명절이다. 한국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한 기간에 단오의 소유가 한중 양국 문화계의 하나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전문가들이 부정적인 태도에서 출발하였지만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 중에서 서로의 전통 풍속문화차이점에 대해서 깊이 생각했고 한국의 단오제와 중국의 단오절의 비교연구를 시작했다. 다툼에서 시작했지만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로서 전통문화의 공유 및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 단오의 풍속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했고 연구 내용을 앞으로 한국과 중국 단오, 심지어 기타 전통 명절 문화를 비교할 때에 하나의 바탕 내용을 될 수 있도록 단오제와 단오절에 대해서 전반적인 비교를 해보았다. 传统节日文化是文化产业的重要组成部分,它是维系国家统一、民族团结和社会和谐的重要精神纽带,作为同在东亚地区的韩国与中国有着相似的传统节日,而其中由于申请非物质文化遗产而引发的争论更使传统节日成为了一个重要的讨论话题.因此,本文选择了传统节日中的端午节作为研究对象,从两个国家端午起源的比较开始入手,对其发展的过程进行概述后,集中对两国端午风俗文化的比较进行了分析. 节日是按照一定的历法或季节顺序,在每年特定时间或季节举行的仪式或庆典.它是一年当中由种种传承线路形成的固定的或不完全固定的活动时间,以开展有特定主题的约定俗成的社会活动日.作为人类文化的一个重要组成部分,节日文化最能集中而全面地体现民族文化的风采和底蕴.由于全球一体化进程的加剧了中国国的传统节日文化受到了很大冲击,有的甚至正在面临消失.而正在这种时候,出现了韩国把端午祭申请为非物质文化遗产一事.虽然这件事情在中国的学术界引起了轩然大波,但是作者确认为恰恰相反,这件事情反而引起了中国对传统节日的重视,反而大大有利于促进开发中国传统的文化节日. 韩中两国的端午活动,虽然都是在同一天举行,但是究其发展历程和风俗文化,以及活动内容则是不尽相同的.简单来讲对其的称呼而言中国称之为端午节,而韩国称之为端午祭;从其现今的主要节日活动性质而言中国主要以赛龙舟为主,而韩国则是以祭天活动为主等等的实例颇多.因此作者在这里以韩中两国端午的风俗文化为中心进行了整理以及对比,借此希望为以后对两国的传统节日风俗文化的更深一步地对比打下基础.

      • 베르그송 철학에서 직관의 위치

        김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베르그송의 철학에서 직관이 갖고 있는 고유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베르그송의 철학은 이전의 철학이 시간을 공간화를 통해 파악한 것을 비판하며, 이에 대해, ‘지속’이라는 실재적 시간을 회복을 시도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해 숙고하고자 할 때, 지속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베르그송에 따르자면, 지속은 그 자체가 순수한 운동이며 변화이고, 그렇기에 이질적인 것들 자체이다. 따라서 지속은 그것의 외부를 돌면서는 파악될 수 없으며,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실재적 시간으로서 지속을 다시금 공간화 시켜버릴 뿐이다.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성은 이러한 철학적 숙고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함을 철학사적 접근을 통해, 특히 세계의 인식에 집중했던 근대철학자들이 직관을 어떻게 파악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 대한 베르그송의 전반적인 비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면서 그 독특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지성과 직관의 관계로 이끌린다. 이전의 철학자들이 시간을 파악함에 있어서 비번하게 사요했던 방식은 모든 것을 공간화시키는 지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에게 있어 지성은 제작인(homo faber)으로서 인간을 잘 드러내는 역능이다. 지성은 인간의 생존을 도우며, 도구의 제작을 통해 인간을 물질의 지배자로 만든다. 사실 지성은 유용성에 입각해 있으며, 베르그송은 이러한 지성은 지속을 파악하기 위해 그것을 자신에게 용이하게 바꾸고자 하며 이러한 결과가 지속의 공간화라 본다. 지성과 달리 직관은 무관심한 본능이며, 지속에 직접 침투하는 것이다. 직관은 항상 운동하여, 변화하는, 그리고 이질성인 지속에 직접 닿는 것이기에 섬세의 역능이다. 결국 지속에 침투하는 직관을 자신의 철학에 있어 주요한 위치에 정립하면서 베르그송의 철학은 총체적인 경험주의, 미래성을 향한 철학이라는 고유한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야말로 베르그송의 철학 내에서 직관이 갖는 함축이다.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nifest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s well known, Bergson's philosophy criticizes a former philosophy that grasps the time by spatializing the time. On the contrary, it is a philosophy that attempts to restore the duration(la durée) as a real time. But when we try to consider the duration, it makes a problem. 'How can we reach to the duration?" According to Bergson, the duration is pure movement, pure variation, so that it is the heterogeneous itself. For tills reason, the duration is not grasped by going around the outside of it, and it just spatializes again the dur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ppears t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In this article, this characteristic will be manifested by the historical access of philosophy. Especially we will see a notion of intuition of some modern philosophers who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Berson's critique to them. This critique is lead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intuition. To cognize the time, former philosophers use the intelligence what spatializes everything. On Bergson's philosophy, the intelligence is capability that makes homo faber of human. It helps human to survive, it makes a dominator of human. The intelligence in fact, is based on the utility, Bergson understands this intelligence as a agency of the spatializing of time, because it easily modifies the duration for grasp of the duration. Unlike the intelligence, the intuition is an disinterested instinct, it permeates directly the duration. And it reaches the duration that always moves, changes, so that it is capability of fineness. After all, to posing the intuition what permeates the duration for a princip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Bergson manifests the integral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toward futurity as proper characters. And this i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 문화의 탈경계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김성수(Soung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Commonly used terms when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includes consilience, fusion, and convergence. Related terms include complex and articul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respectively as an example and an additional concept. These ter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se concepts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Looked at more closel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se concepts have their own ways to relate to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Due to the confusion in the use of these terms, the descriptions of a specific obj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not been as rigorous as one could hope for.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hese five terms.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hoped that it gives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hink deepl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also how it may be developed. It is argued that the five terms are likely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individual trans-boundary cases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se terms more precisely and appropriately will be a starting point that enables us to better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ous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문화의 탈경계 현상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통섭(consilience), 퓨전(fusion), 컨버전스(convergence) 등이다. 그와 관련되는 용어는 복합공간(complex)과 절합(articulation) 등이다. 이 두 개념은 탈경계현상이 구체화되어 실현되는 사례 및 추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이 용어들은 명료하게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들 개념이 서로 간에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측면이 있지만, 사실상 그 의미들은 각기 독립적이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탈경계 현상은 물론, 문화콘텐츠학과 관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혼동하면서 쓰는 까닭에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에 대한 분석이 엄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했다. 본고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이 다섯 가지 용어들의 정의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했다. 이 다섯 가지 개념의 검토를 통해 필자가 의도하려 한 바는 문화콘텐츠학에서의 탈경계 현상이 어떻게 이야기되어야 하는지, 또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향후, 통섭, 퓨전, 컨버전스, 복합공간, 절합이라는 다섯 가지 용어는 탈경계현상이 많은 특정의 문화콘텐츠 사례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많을 듯하다. 이 다섯 용어에 대한 적절한 사용은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 다양한 탈경계 상황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대화론적 문화론의 지형도

        전종윤(Chong-yoon C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국문화적 관점에서 우리의 세계는 척박하거나 메마르지 않고, 오히려 풍요롭고 ‘살만한 세계’다. 세계의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증가시키는 행위가 바로 문화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문화는 세대 간의 의사소통과 최소한 두나라(또는 지역) 이상 사이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다. 이 점에서 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힘을 갖는다. 즉 문화는 시간적인 면에서 ‘전통들의 교차점’의 역할을 하면서 세대 간의 만남을 주선해주고, 공간적인 면에서 새롭고‘낯선 이문화간’의 관계를 형성해준다. 세계의 의미와 의사소통으로 대표되는 문화는 ‘인정’의 개념을 요청한다. 자기만(또는 우리만)의 문화라는 주장에 반하여, 인류가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인 언어를 매개로 하여 지속적으로 타자에게로 나아가는 자세는 나의 문화뿐만 아니라 타자의 문화도 인정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다. Notre étude vise à comprendre la carte topographique de la théorie culturelle dialogique, à travers d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de la reconnaissance” chez G. Vincent. Pour cette compréhension, nous exposons les diverses perspectives culturelles; le culturel et la culture, les principes du novlangue, les métaphores culturelles, la culture et la reconnaissance. A la lumière de cet exposé, nous pourrions aborder le problème central de notre article: c'est-à-dire que la culture peut être communiquée en vue du monde commun possible. Par exemple, la théorie d'Hannah Arendt nous invite à considérer comme normal le phénomène de croisement des traditions et des rencontres interculturelles. Et l'approche orwellienne est significative: il y est question de la langue, non de la culture; et non d'une langue en soi, ni de la langue pour nous, mais d'une sorte de langue fonctionnellement appauvrie, machine sémiotique nous forçant à nous soumettre, corps, âme et raison, à une réalité inhumaine. Tout se passe comme si cet article met en question le champ sémantique de la notion de culture, en mettant l'accent sur le rapport entr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la reconnaissance.

      • 梁漱溟与胡适文化哲学浅析 : 以中西文化观比较为中心

        윤지원(尹志源)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5 No.-

        1921년 양수명은 『동서문화와 그 철학』이라는 책을 출간한다. 이 책에서 그는 스스로의 중서문화에 대한 견해인 삼대문화의 길을 제시한다. 일년반 후 호적은 <양수명선생의 동서문화와 그 철학>을 읽고 라는 글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양수명의 삼대문화의 길을 비평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시 자신의 중서문화관인 유한의 가능설 을 주장한다. 각자 주장이 모두 스스로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나 문화의 한 단면만을 강조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본 글은 양수명과 호적의 동서문화관에 기초 그들의 모순되는 주장을 살펴보고 중서문화의 특징을 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本文所关注的重点就是对梁漱溟和胡适的文化哲学进行分析, 来考察他们中西文化观的特点。1921年, 梁漱溟讲演并出版了《东西文化及其哲学》一书。在此书中, 他提出了自己的中西文化观: 三大文化路向 说。一年半后, 胡适发表 读梁漱溟先生的《东西文化及其哲学》 一文, 批评了梁漱溟的 三大文化路向 说, 并在此基础上, 提出了自己的中西文化观: 有限的可能 说。梁漱溟认为, 意欲决定生活, 生活决定文化, 不同的文化, 其根源就在意欲趋向的不同。胡适认为, 人类的本性和需要都是相同的, 因此得出不同民族的文化在本质上也是相同的, 没有根本的区别笔者认为, 他们的文化哲学正好各自抓住了文化属性的一个侧面, 或强调文化之民族性, 而不承认文化之时代性;或突出文化之时代性, 而排斥文化的民族性。实质上, 梁漱溟与胡适的文化争论只是各自出发点和侧重点不同。

      • 소통의 관점에서 본 한글의 문화코드 분석과 활용 방안

        허소정,So-jung 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2 No.-

        한 나라의 문화산업은 국가의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나라마다 경쟁력이 있는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문화상품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의 다양성이 중요시되는 시대에는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콘텐츠는 한 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인간과 인간 간의 소통을 넘어 인간과 자연, 국가와 국가 간의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이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소통은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타인을 배려하며 이해하는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 다. 한글은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의 문화코드를 가지고 있는 훌륭한 문화 유산이다. 소통의 관점으로 본 한글의 문화코드는 ‘어울림’ 혹은 ‘조화’, ‘자연스 러움’, ‘생명존중사상’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소통의 문화코드는 국내적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한글의 문화코드 분석을 통해서, 한글콘텐츠는 인성교육과 한류콘텐츠 두 가지 측면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한글은 인성교육의 핵심인 소통의 코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성교육은 우리의 문화유산의 가치를 생각 하면서 동시에 소통의 문화를 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글은 소통이라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갖고 있는 훌륭한 한류콘텐 츠로써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Cultural industry is regarded as a main factor to reinforce national competence. Therefore many countries is trying to develop culture contents which ha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n era of cultural diversity,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develop culture contents which has their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that people can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These cultural contents can lea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country, as well as reveal the cultural identity of a nation. Communication is also valuable factor in a global world. Communication can be done well by respecting and considering for others, while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Hangeul is our great cultural heritage that has not only cultural identity, but also the code of communications. In the view of communications, the culture code of Hangeul is ‘harmony’, ‘naturalness’, ‘respect for life’. This code of communic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our culture better and be a worldwide competitive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code of Hangeul, Hangul contents can be used for personality educations and Hallyu contents. Because Hangeul has a communication code that is a focus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s, we can learn the culture of communication thinking of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Hallyu contents using Hangeul can also raise the national status because it has our cultural identity and communication code as a universal value.

      • 글로컬 서사에 대한 고찰

        김기홍(Ki-h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화, 즉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이 문화 영역에 있어 문화상품 시장잠식과 같은 경제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정체성에까지 그 폐해를 미치고 있다는 전제에서, 그 대안으로서의 글로컬(Glocal) 개념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미국을 위시한 강대국 위주의 세계화가 문화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문화코드의 변형과 왜곡을 통해서다. 문화정체성은 하나의 로컬문화가 가진 고유성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는 그 지역 거주자들이 공유 하고 있는 미의식이나 예술적 취향, 미학적 표현 관습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로컬 문화코드가 여타의 지역에 지나친 영향을 미친다면 각 로컬의 취향은 획일화되기 쉬울 것이며, 이는 세계화의 폐해로 지목되는 일방향성, 균질화와 같은 맥락 이다. 본 논문은 그 사례로서 서사체 문화콘텐츠의 담론 양식을 탐구하고 있다. 서사체의 담론 양식은, 예를 들어 우리의 가면극이나 서구의 발레나 오페라, 일본의 가부키와 중국의 경극 등에서 보듯, 문화권으로서의 국가 정체성과 맞닿아 있고 국민을 그 지역성 안에 단일한 문화코드로 묶어 문화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사례로 들고 있는 할리우드 영화는 이런 다양한 로컬 담론에 익숙한 문화코드를 균질하게 바꾸어 놓았다. 그 결과, 할리우드 영화에서 추구하는 이야기 전달방식, 즉 ‘고전적 할리우드’에 준하는 서사체 담론양식이 이야기 소구에 대한 로컬 거주자들의 문화코드가 되었고, 이를 통해 균질화된 담론양식이 지배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으며, 서사체에 대한 로컬문화코드가 심각하게 훼손된 것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미와 같은 동양적 예술 가치를 드러내는 일본 만화의 담론을 사례로 점검하면서, 글로벌과 로컬의 갈등을 극단으로 몰고 가지 않으면서 각 지역의 문화정체성을 보존하는 글로컬 서사 개념을 심화하였다. 이를 통해 글로컬 개념에 대한 연구가 시장분석과 마케팅 방법론을 벗어나 문화정체성, 문화적 무의식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article aims to scrutinize the new conception of glocalization which has been emerged as a antidote of globalization. In the cultural sector, the damage of globalization reaches not only the local cultural markets, but the cultural identity of local people in the world. The cultural identity of specific local area is connected to the local culture code which includes indigenous aesthetic criterion, artistic taste, and convention of expression, etc. Globalization of the superpowers influenced the local cultural identities by deforming and mogenizing the indigenous culture codes of local people. The local narratives such as Gamoun-geug in Korea, Gabuki in Japan, and Ballet in the Western, which represent the cultural identities of each cultural communities, are examples of culture code of narrative or narration of the locals. Globalization of culture code of narrative homogenized local narratives. The Hollywood films are striking examples. That is to say that, the narration style of 'classical Hollywood' as a specific local narrative substituted, homogenized, and, thus, harmed almost every local culture code of narrative of the world. This article argues that local narrative which is exampled as Manga which represents the asian mode and value of 'the aesthetic of blankness' in its narrative style, can modifies and interrelates the tension between glocal and local, and demonstrates that the study on the conception of 'glocal' can be extended, beyond economy and marketing studies, to the humanities' problem of cultural identity.

      • 그리스 철학신의 탄생과 완성

        김민수(Min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5 No.-

        본 논문은 서양 고대철학에서 철학신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만들어진 과정을 철학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크세노파네스, 파르메니데스로 대표되는 자연철학자들의 학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그들의 후계자인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어떻게 수용하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이데아론으로 발전시켜 신학(또는 신론) 이라는 체계로서 서양철학의 합리주의적 토대를 구축하였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플라톤 철학에서의 이데아가 아르케·원인·로고스·근거·hypothesis로서의 원리임과 동시에, 신·목표·선으로서의 이상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과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계승·비판함으로써 탄생·완성시킨 그리스의 철학신이 비합리적인 신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오늘날 이성을 기반으로 한 합리주의 전통의 거대한 토대를 구축하였음을 이해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process which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god had been formed in ancient greek philosophy in a historical context. First we look into the doctrines of the early natural philosophers like Thales, Anaximander, Xenophanes, Parmenides, and also how Plato as their successor had accepted their explanations so that he developed them as his own theory of Idea ,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rationalism in western philosophy. In conclusion, this paper explains the Idea in Plato s philosophy means the principle as arche, cause, logos, hypothesis, and at the same time the ideal as god, telos, and the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