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地域社會發展에 관한 硏究 : 仁川地域社會를 中心으로 Focussing on the Inchoen Community

        崔種運,沈璡求,宋種憲 仁川敎育大學校 1991 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는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仁川地域社會의 發展을 도모하려는 연구이다. 硏究의 必要性은 두가지 측면에서 찾을수 있었는데 하나는 社會的·現實的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이다. 먼저 사회적·현실적 측면으로 보면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政治·經濟·社會·文化의 각 부문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와 仁川地域社會가 안고 있는 課題解決이다. 정치적으로 民主主義 제도의 정착 경제적으로 成長과 配分의 균형유지 사회적으로 階層간의 갈등과 道德性 회복, 문화적으로 傳統文化와 外來文化의 융합 등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사회는 수도권 周邊都市로서 國際港口都市로서, 輸出産業都市로서의 三重的 性格을 갖고 있어 수도권 예속성, 외래문화 영향, 산업사회의 역기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道德觀의 混亂과 社會的 一體感 결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하여 仁川地域社會의 주체적 生活文化 향상과 주민의 共同體意識 고양은 당면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지역과제는 地方自治時代를 맞이하여 그 지역의 力量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다음으로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에서 보면 오늘날 대학은 일부 선발된 엘리트(elite)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고전적 학문의 전당으로서 秀越性을 추구하는 기능에만 머물러 있을수 없고 대학이 그 地域社會를 위하여 奉仕해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이것 또한 오늘날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실천적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구체적 目的은 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을 통한 課題를 추출하고 이 課題解決을 위한 大學敎育擴張 方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있었다. 이에 따라 硏究의 內容을 ①대학교육확장에 대한 理論的 探索 ②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模型 定立 ③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 및 課題 抽出 ④인천지역사회 과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으로 했다. 硏究方法은 文獻硏究, 調査硏究, 實踐硏究方法을 적용했으며, 문헌 연구는 대학교육확장에 관한 발전과정, 외부의 사례비교 분석을 통하여 모형적립에 이론적 기초를 확보했으며, 조사연구는 인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地域社會 課題意識調査를 통하여 지역사회 課題를 抽出했고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 및 지역주민의 社會敎育 意志 및 要求調査를 통하여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方向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또한 실천 연구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 주공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해당지역내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적용하는데 이용되었다. 硏究節次는 준비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나누어 1990년 10월부터 1991년 9월말까지 1년간 추진하였으며 준비단계는 文獻硏究, 基礎調査, 理念普及, 與件造成 등을, 실행단계에는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 평가단계는 結果評價, 報告書作成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학의 構造와 役割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대학은 定規學生들을 위한 전통적인 敎授·硏究機能 뿐만 아니라 대학밖의 成人을 위한 교육기능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주요국의 大學社會敎育 動向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국의 대학사회교육은 多樣性을 유지하면서 定規學生 敎育 構造와 成人敎育 構造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지역내의 여러 캠퍼스간에 조직망을 형성하여 조정역할을 하며,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課程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로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敎育體制 模型을 구안해 본 결과,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 部分的 擴張에서 完全擴張으로 大學外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에서 大學內의 프로그램 운영체제로 점진적 발전이 바람직하고, 대학교육 運營體制는 定規課程과 成人課程을 竝立시키면서 成人課程에는 硏修課程과 一般課程을 두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硏修課程에는 資格課程과 非資格課程, 일반과정에는 敎養·理論課程과 生活實技課程을 두되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등을 병행하여 채택하고 入學은 과정에 따라 試驗과 無試驗 전형을 택하고 講座는 短期·長期講座를 아울러 두며 敎授方法은 集團敎授, 個別敎授, 多感覺學習·多活動學習 指導法을 사용하도록 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로 인천지역사회 實態調査 結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流通, 交通, 敎育, 醫療, 文化, 餘暇生活 등에 문제가 많고 특히 公海 및 住居環境의 改善과 道德觀의 定立이 우선 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課題意識調査 結果 ①公海·安全, ②敎育 ③勞動·收入 ④消費環境 ⑤人間交流·連帶 ⑥文化·生活環境 ⑦社會保障 ⑧相談·參加 ⑨餘暇活動 순으로 중요하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다섯째로 이상과 같은 課題解決을 통하여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인천지역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수 요원이 사회교육에 참여한 經驗이 있었고 大學敎育擴張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은 일반 교양교육, 자녀교육으로 반응했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한 社會敎育意志 및 要求調査를 실시한 결과 주민들의 生活時間帶에 맞는 요일, 시간을 택하여 인근 學校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다는 반응이고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敎養敎育, 趣味生活, 健康生活,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여섯째로 대학교육 확장의 방침을 1차년도에는 대학밖에서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萬壽洞 住公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인근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한 프로그램은 敎養講座 15개 프로그램, 趣味生活 14개 프로그램, 健康生活 4개 프로그램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2개 프로그램 이었으며 총 35프로그램에 參加人員數 2,367 명에 달했다. 프로그램 내용은 仁川地域社會 實態調査에서 나타난 問題點과 課題解決에 촛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회교육 이념보급, 조직 및 시설, 재정, 홍보, 유관기관 협력체제 조성 등 여건 조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곱째로 프로그램 운영결과 얻어진 효과는 大學敎育機能 擴大와 社會敎育의 必要性과 可能性을 확인하게 되었고 인천지역사회 住民들로 하여금 公海, 交通, 子女敎育, 經濟活動 등에 교양을 높여주고 다양한 취미활동, 건강활동을 통하여 餘暇生活을 보다 잘 하도록 했으며 주민의 生活文化 向上에 이바지했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은 만남을 통하여 共同體意識을 形成하게 되었고 바자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奉仕精神의 의미를 체험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期間과 經費의 制限性에도 불구하고 仁川地域社會 發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Necessity This study was to solve the actual as well as the social problem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to carry out the university role of teaching, research, and to expand service in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mmunity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search out ways of how to put into practice thd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and to solve the problems. 3. Content The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oretical review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2. Model form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university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3.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Inchoen community. 4.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in the Inchoen community. 4. Method and Procedur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field study. It's procedure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stage and conducted from Oct, 1990 to Sep. 1991(1 year) 5. Finding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day, the university must extend it's function of educating full-time students as well as adult education program. 2. Most countries university have a variety of programs and intrgrate management of full-time students and adult educational programs. 3. Formation of systemetical model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Ichoen Community will be extend from partial to an entire extension program. 4. Analyzing the actual condtions in the Incheon Community, many problems were found. They were as follow; traffic, education, medical care, culture, recreation, and in particular, pollution, the need for improviding the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formation of a value system are most important of all the problems. 5. In the finding of the need assessment of adult education, if schools manage the program for residents, they will participate in culture, education, hobby, health, and formation of community sprit programs. 6. After performence of education for residents we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therfore residents enriched their culture, enjoyed their leizure tim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their community sprit.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 KCI등재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의 삶과 활동

        김윤경(Kim Youn-K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재인천일본인 고타니 마스지로(小谷益次郞)에 대한 인물연구다. 고타니는 1889년 4살 무렵 어머니의 품에 안긴 채 인천에 건너와 살다가 일제 패망 후 일본으로 철수해간 식민1세이다. 그는 고베(神戶) 출신으로, 개항 초기 가족 단위로 이주해온 드문 경우에 속한다. 미장이 신분의 고타니 토메요시가 부친으로 추정되는바, 일본의 하층계급 출신이었다. 고타니의 본격적인 사회 진출은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 신자로서 인천 일본 기독교청년회를 통해서였다. 그는 1926년경 기독교청년회 주사로서 당시 새로이 등장한 ‘사회사업’을 결합한 다양한 활동으로 사회에 알려졌다. 그 후 1931년 6월 『인천부사』 편찬자로 위촉되어, 실질적으로 편찬을 주도함으로써 다른 지역들에 비해 빠른 기간 내에 완성했다. 이후 고타니는 인천제2공립보통학교와 인천중학교 설립에 큰돈을 기부함으로써 일본천황의 감수포장을 수여하는 등 인천 사회의 유력자로 부상했다. 1935년 5월 인천부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때 그의 직업은 대가업자(貸家業者)였다. 1937년 전시체제기에는 정회(町會)의 총대 및 보호관찰소의 촉탁보호사를 겸직했다. 1945년 8월 15일 패전 후에는 인천부회 부의장으로서 재인천일본인의 철수작업을 이끌었고, 그 과정을 『인천 인양(철수)지』로 남겼다. 고타니는 스스로 “조선의 풍토와 자연이 키워준 인천아(仁川兒)”라고 칭했다. 미장이 집안의 하층계급 출신이 식민지 이주 40년 만에 인천 사회의 유력자가 됨으로써 인생역전의 기회를 얻었으니 그럴 만하다. 그러나 그가 4살 때부터 57년간 살았던, 그래서 꿈에도 그리운 땅 仁川은 인천이 아니라 진센(Jinsen)이었으니, 기실 그는 인천아가 아니라 진센코(Jinsenko)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Kotani Masujiro(小谷益次郞), the Japanese settler in Incheon under the Colonial Period. In 1889, maybe four, he had came to Incheon in his mother’s arms. Ever since he had lived in there till back to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He was from Kobe(神戶), his father was a plasterer that was the lower class in Japan. He came to with all of the family members in the Opening Port Era, the case was rare. At the age of early forties, he went out the society as a chief manager of the Japanese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e belonged to the Japanese Methodist church. He was known for ‘Choseon social work’, as he had combined the activities of a Christian youth group with the social works, and had done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In June 1931, he was requested to publish Incheonbusa(仁川府史, the history of Incheon Prefecture), he led to the publication as a chief compiler, and published it successfully faster than other area’s case. And then, he had donated for establishment of High Normal School (普通学校) in the end of 1932, and Incheon Middle School in April 1934. In return for donations, he received an award by the Emperor of Japan in February 1937. In May 1935, he was elected the member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仁川府會), and at that time he was a housing lease businessman. Two years later, he was appointed a JungChongdea(町總代, the representative of the neighborhood) and a Part-time Probation Officer(囑託保護司). But when Imperial Japan eventually surrendered in August 15 1945, he had to be repatriated. Being a vice chairman of Incheon Provincial Council, he negotiated with U.S. Military Command and had led the phased withdrawal of the Japanese settlers in Incheon. He went away Incheon on March 2, 1946, and settled in Nagasaki(長崎), Japan. Two years later, he wrote the record of the Japanese Pullout from Incheon (仁川引揚誌). He called it the message of condolence for Incheon. He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仁川兒)”, because of growing up in nature and climate of Incheon since the age of four. During 57 years living there, he moved up a powerful influence away from the lower class in Japan. Because of achieving a chance of life there, he deserved to called himself “a son of Incheon”. However, that was not Incheon but Jinsen.

      • KCI등재

        1923년 하와이한인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주요 내용과 의의

        최희영(Choi Heeyo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약 2달간의 고국 방문 중 인천방문을 고찰하였다. 하와이학생방문단은 이승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승만이 세운 교육기관, 한인기독학원 건축비 기금모금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하와이학생방문단 일정 중 인천 방문에 관한 기록은 미주 한인 이민사 시작의 거점지로서 인천이 지니는 위상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에 주목할 만하다. 비록 1박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지방 순회 중 인천에서의 일정은 다른 도시에 비교할 때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내용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인천 주민의 하와이 거주 동포를 향한 인식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일정이 한인 미주이민 시작점에 거점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인천 주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드러내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환영위원회의 회의 결과로 이루어진 하와이학생방문단 인천 내 일정은 같은 핏줄을 지닌 동포로서의 동질감뿐만 아니라 첫 이민단을 보냈던 지역주민으로서의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는 이민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리교회 관련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한 환영일정에 반영되어 있다. 내리교회 교육사업의 결과물인 영화학교 학생들의 환영식, 내리교회 방문, 내리교회 목사의 환영 연설, 내리 교회 청년회를 중심으로 새롭게 조직한 상우 야구단, 내리교회 교인이 중심이 된 아마추어 전통문화 단체인 이우구락부의 연주 등이 그 예이다. 20세기 초 미주 한인들의 인천 방문을 언급한 기존 연구는 있었으나 하와이학생방문단의 구체적 일정과 그 의의를 밝힌 연구는 미흡했다. 미주이민사 시발점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는 인천인들의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 내용을 밝힌 본 연구는 인천과 하와이 지역을 교차하며 한인 이민 문화사 이해에 지평을 넓혀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 to Incheon in 1923.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ed in Korea for about two months to raise mone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ristian School. Newspaper articles describe the students’ visit in Incheon, among many areas, in more detail; also their activities in Incheon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areas. This article grasps the reason by analyzing key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Incheon on July 13 and 14, 1923. On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argues that Incheon people showed their pride as the locals that had marked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students’ schedule in Incheon, resulting from the Welcoming Committees decision, not only reflects Incheon peoples sense of kinship with the young compatriots but also deeper meanings to the event as the locals sending the first groups of Korean immigrants to Hawai‘i.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s and people affiliated with the Naeri Church─a key site for the first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in the welcoming events demonstrates this. Examples include the speech of the church pastor at the welcoming party; the Sang-u Baseball Playe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by Iugurakbu. A few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Korean Americans visit to Incheon; however, no studies have discussed specific activities of the 1923 Korean Hawaiian student visitors and their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Incheon residents’ pride as those who live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ic culture intersecting Hawaii and Incheon.

      • KCI등재

        ‘인천상륙작전’의 매체별 재현 양상으로 본 인천의 장소성 연구

        이은선,우정덕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4 No.-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ncheon's placeness through four texts published in different media between 2013 and 2016. The target texts are the webtoon Operation Chromite (2013), the cartoon book Operation Chromite (2013-2014), the movie Operation Chromite (Jae-han, Lee, 2016), novel Operation Chromite (2016). In this novel and this movie, the Operation Chromite is viewed as an event that becomes the touchston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 favor from the United States symbolized by MacArthur. At the same time, it reveals Incheon as a multi-layered space, emphasizing that the South Korean people were active in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main character, Jang Hak-soo. On the other hand, in this webtoon and this comic book, a dual structure is used to deal with the history and story of the Cheol-gu's family who suffers tragedy from the storm of history along with the time from liberation to the Operation Chromite. In this webtoon and this comic book show the tragedy that the Cheol-gu's family, whose hometown is Incheon, cannot settle down in their hometown. But also dies from the shelling of the Cheol-gu in their hometown, Incheon. And dies from storm of history except for Cheol-gu, the only child of the family. This suggests Incheon as a land where many civilians died and suffered during the Operation Chromite. And demands a new awareness of the placeness of Incheon that is related to the Operation Chromite. 이 연구에서는 2013-2016년 사이에 각각 다른 매체를 통해 발표된 네 가지 텍스트를 통해 인천의 장소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웹툰 <인천상륙작전>(2013), 만화 단행본 인천상륙작전 (2013-2014), 그리고 영화 <인천상륙작전>(이재한, 2016), 소설 인천상륙작전 (2016)이다. 소설과 영화에서는 인천상륙작전을 대한민국의 시금석이 되는 사건이자 맥아더로 상징되는 미국에 의한 시혜라고 본다. 동시에 캘로 부대원인 주인공 장학수의 활약과 희생을 통해 대한민국의 건국에 남한 사람들의 활약이 있었다는 것도 강조하면서 인천을 중층적인 공간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중층적 공간이 의미하는 것은 인천상륙작전이 가지는 역사적 승리가 미국의 시혜임을 인정하는 것임과 함께 거기에는 한국인의 결정적인 기여가 있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두 텍스트에서는 인천상륙작전에서의 승리에 대한 한국인의 기여는 역사적 정신적 정통성에 바탕을 두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웹툰과 만화 단행본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인천상륙작전까지의 역사의 흐름과 함께, 그 역사의 풍랑에 비극을 겪는 철구네 가족 이야기를 다루는 이중적 구조를 택한다. (특히 단행본에서는 역사서와 같은 성격이 더욱 강조된다.) 웹툰과 만화 단행본에서는 인천을 고향으로 하는 철구 가족이 고향에서 안주하지 못할 뿐 아니라, 고향인 인천에서 인천상륙작전 당시의 포격으로 죽는 등 역사의 격랑에 휘말려 철구만 제외하고 모두 죽는 비극을 보여준다. 이는 인천상륙작전 중에 많은 민간인이 죽고 고통을 당한 땅으로서의 인천을 제시하여 인천상륙작전가 연관된 인천의 장소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 두 텍스트는 인천상륙작전을 단지 승리의 기억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인천상륙작전이 인천에 살고 있던 사람들 나아가 다수의 보통 사람들에게 어떤 고통을 가져다주었는지에 관심을 기울이려고 하고 있다. 위의 네 텍스트는 현재 우리가 인천상륙작전과 인천을 바라보려고 하는 역사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이 대체로 대중적으로 성공한 텍스트라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역사의 인식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문화 수용자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1940년대 초 인천지역 화교사회의 동향

        배성수(Bae S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4 No.-

        1937년 시작된 중일전쟁이 1941년 세계대전으로 확대되면서 일본 본토는 물론 조선 전역이 전시체제에 돌입하였고, 식민지 조선은 전쟁 수행에 희생을 강요당했다. 일제는 물자의 수급을 조절하기 위해 엄격한 통제 정책을 시행하였는데 특히 경제 분야에 대한 통제는 조선인뿐 아니라 조선에 거주하고 있던 화교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 지원을 위해 시작된 일제의 경제통제 정책은 모든 물자 유통의 통제로 이어졌고, 화교들의 주식이라 할 수 있는 소맥분에 대한 가격과 배급통제도 실시되었다. 인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은 인천화상상회에서 주관하였으며, 사전에 수요를 파악하여 세대별로 할당량을 정하는 보다 강력한 배급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화상상회가 사전 조사를 통해 세대별 배급량을 정하고 각 세대에 배급증을 교부하면, 화교 세대는 그에 따라 지정된 판매업자로부터 소맥분을 구입할 수 있었다. 엄격한 배급통제 구조속에서도 일부 화교세대는 배급증을 이중으로 교부받아 소맥분을 부당하게 취득하는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당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글에서는 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4월 생산된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와 이보다 4~5개월 뒤에 작성된 「仁川華僑世代別名簿」자료를 분석하여 1940년대 초 인천 화교들의 생활상을 살펴보았다. 두 자료를 통해 파악한 1942년 인천 화교사회의 모습은 그간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산동성 출신의 화교가 93%를 차지하고 있었고, 가족단위로 구성된 세대가 많아 정주성이 강한 인천화교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천의 화교상권은 업종에 따라 지역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잡화상, 금포상 등은 번화가에 위치한 반면, 음식점은 인천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화교인구의 절반가량이 무직으로 파악되었는데 아동과 여성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가족으로 구성된 세대가 많은 인천 화교의 특징을 재차 확인해 준다. 두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항은 1935년 당시 450명이 넘는 직업분포를 보이던 화교 농업세대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두 자료 모두 인천화교 전체인구의 65~75% 정도만을 기재하고 있는데 여기에 華農 세대를 포함한다면 당시 인천 화교사회의 완전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로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화교자료를 학계에 소개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broke out in 1937, for which the Joseon dynasty as a whole was mobilized into the state of war, it was proliferated into the World War in 1941 that forced then-colonized Joseon to sacrifice for the warfare. The imperialist Japan implemented a strict control policy especially for economic sectors in order to control supply and demand of commodities that widely affected lives of the Chinese expats in Joseon. This thesis examined the life style of the Chinese expats living in Incheon in the early 1940s through analysis of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 published in April, 1942 in the midst of the war and 「仁川華僑世代別名簿」published 4 to 5 month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former. Above all, analysis of these two materials haven’t identified much difference from what had been revealed through prior researches over the life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in 1942. The Chinese from Shandong province accounted for 93% and it showed its unique sedentary characteristic as most of the Chinese residents formed family units. The Chinese commercial districts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certain regions depending on their business types. While general merchandisers and silk fabric vendors were populated in downtown, restaurants were located relatively widely across the whole areas of Incheon. At that time, almost half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were identified as being out of job but most of them consisted of women and children, reconfirm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o are formed as family units. What was found in common from the two materials was that more than 450 Chinese expats who had job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1935 weren"t counted into the total population. Both of the materials reflect only 65~75% of the total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It is regretful that the chinese expat community in Incheon at that time could have been restored in such a complete format if those Chinese agricultural households were to be included. Besides,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materials related to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ich is now archiv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to the academic circle although they have certain properties lacking in many ways.

      • KCI등재

        인천문화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문화의 공고화

        정정훈(Jeong Jeong-hu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5 No.-

        본고는 인천시의 문화와 지역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천시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인천시에 위치한 다양한 문화자원의 관광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추동하는 일련의 정책방향과 추진 체계를 제시한다. 복지와 문화정책, 문화예술과 교육사업, 관광산업 등은 문화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다. 특히 문화관광은 여러 분야와 융합 가능한 다양성이 있고, 이는 인천의 지역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나아가 지역의 문화재생산과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인천시의 다양한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예술자원의 분석을 시도했고, 이를 통해 인천시의 문화관광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시 문화관광 정책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의 다양한 문화자원이 가진 역사성과 지역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토대로 인천문화자원 콘텐츠 육성 및 현대적 재창조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인천의 문화관광 활성화의 정책방향은 문화적 도시재생 뉴딜정책이다. 셋째, 인천시가 가진 지리적 이점의 활용을 위해 국제문화교류 네트워크 확장 및 증진이 필요하다. 문화관광 활성화는 본고의 주요 연구주제인 지역정체성 공고화의 선행조건이며, 향후 정책의 방향성과 관련 사업의 근간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 plan to revitalize Incheon’s culture tourism as a way to solidify the local identity of Incheon. Also through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ocated in Incheon city. It presents a series of policy directions and implementation systems in this regard. Cultural tourism has the potential to converge with various fields such as welfare,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arts. It can be used as a plan for regional cultural reprod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y consolidating the region identity of Inche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various cultural resources of Inche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cheon’s cultural tourism policy.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tourism in Incheon can firmly establish a local culture, and it can become a stepping stone for tourism growth.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Incheon"s cultural tourism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modernity of Incheon cultural resources. Second, the policy direction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is the New Deal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network. However, this study is a declarative article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tourism. Follow-up studies on the issues presented in the text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상공인명록을 통해 본 1930년대 초 인천지역 기업 활동

        최재성(Choe, Jae-s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1931년 인천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한 〈인천상공인명록〉을 대상으로 하여 업종별 외형적 파악과 기업 활동의 내면적 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외형적 파악의 첫 단계로 인명록 정보 가운데 납부 영업세액을 살펴보았다. 고액 납세업종에 속하는 것은 금융업, 양조업, 정미업, 운수업, 무역업, 거래원업 등이었고, 50원 미만 납세 기업이 압도적 다수인데, 그만큼 규모면에서 소규모 기업이 많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업 소재지별로 보면, ‘리’ 단위 지역에서는 조선인 업체수가 일본인 업체수에 비해 5배 정도로 월등히 많다. 특히 외리와 내리가 조선인 기업의 밀집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지역에는 ‘리’보다 업체수가 월등히 많고, 또 일본인 업체가 조선인 업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세 번째로 겸업자를 민족별, 영업 종목수별로 나눠보면, 모두 일본인이 조선인 보다 많다. 그만큼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기업 활동에 적극적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인천의 대표적 기업인 무역업·정미업·양조업·성냥제조업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무역업 가운데는 미곡과 면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수이출 부문을 보면, 인천에서 이출된 조선 쌀은 일본 각지로 이송되었다. 다음으로 일본으로부터 이입 중요품 가운데 ‘수입품의 백미’인 면직물을 보면, ‘면사포·마직물류 무역’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이는 이 무역을 통해 858원의 영업세를 납부했다. 이제 제조업을 보자. 먼저 정미업을 보면, 1930년대 초 인천의 공업별 생산액 중 정미와 현미 등 정미공업의 생산액은 다른 공업에 비해 압도적 위치에 있다. 영업세액 1천원 이상을 납부한 정미 기업 3곳의 영업세액 3천 9백 원이다. 두 번째는 양조업이다. 청주·소주·약주·탁주 등 술 종류 4개의 생산액은 190여만 원이다. 여기에 장유와 미소의 백여만 원을 더하면 양조업 생산액은 약 3백만 원이다. 조일양조주식회사와 野田장유주식회사 인천공장의 영업세액은 각각 1427.95원과 398.5원이다. 세번째는 성냥 제조업인데, 그 생산액은 약 33만원이다. 성냥은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독점 생산한 것으로 이 회사의 1931년 영업세액은 537.14원이다. 이들 제조업(정미업·성냥제조업)의 기업 활동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고, 희생을 강요당한 노동자들은 저항하면서 일부는 뜻(요구조건 관철)을 이루고, 또 일부는 해고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일제식민지기 인천지역 기업 활동의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과 저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each information and analysing corporates’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list of names published in 1931 by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amount of operating tax paid ou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first step in identifying the appearance. It was the financial industry, the brewing industry, the rice industry, the transportation industry, the trade industry, the trading business, etc. Next, in terms of loc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companies in the area of "Ri(리, 里)".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Oe-Ri(외리)” and “Nae-Ri(내리)” are concentrated areas of Korean companies. There are far more Japanese companies outnumber Korean companies in the "Jeong(정, 町)" area than "Ri". Third, there are all more Japanese than Koreans in double job.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Japanese were more active in corporate activities than Koreans. The following wa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rade business, rice-cleaning business, the brewery business, and match manufacturing business, which are major companies in Incheon. Among the trade, rice and cotton goods wer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ice from the colonial Joseon, which was removed from Incheon, was transferred to various parts of Japan. Cotton fabric is the "the best of imports" that comes from Japan. Now let"s look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output of rice-cleaning busi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in Incheon in the early 1930s. The second is brewing. It is produced by four types of alcohol, namely Cheongju, Soju, Yakju, and Takju, and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e third is the manufacturing of matches, which were produced exclusively by the Chosen Match Corporation. The increase in profits of these manufacturing industries was made at the expense of Korean workers, and the workers forced to sacrifice tried to defend their rights and interests.

      • KCI등재

        유휴 산업시설의 산업 유산화를 위한 조건들 -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사례로 -

        윤현위(Hyun Wi Yoon),문순희(Soon Hee Mo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2 No.-

        산업화가 활발하던 시기의 산업시설들은 도시화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었으나 경제의 재구조화와 주변여건의 변화로 인해서 생산기능이 중단된 유휴 산업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오래된 대규모 산업시설을 산업유산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생산가동이 중단된 인천시 동구 만석동에 위치한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사례로 동일방직이 지니고 있는 유산 가치와 산업 유산이 되기 위한 유산의 조건에 제시하였다. 동일방직은 일제강점기부터 실과 섬유를 생산한 우리나라 초창기 방직회사이며 1960년대에부터는 수출 전선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고 현재까지 기업활동을 진행 중에 있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동일방직의 출발점이며 최근까지 섬유를 생산했으나 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후 공장부지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우리나라 방직업체 중에 수출량 가장 많았고 많은 성과를 이루어낸 기업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 이른바 ‘알몸시위’와 ‘똥물사건’ 등 대표적인 노동탄압사건이 발생했던 아픈 기억의 현장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산업유산적인 측면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숙사, 의무실, 체육관 일대의 부지를 기부채납제도를 통해 산업시설의 일부를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이 부지만큼 부지의 소유주인 동일방직에게 용적률을 상한해 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쇠퇴한 원도심인 인천 동구를 재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인천에서 제시된 각종 계획에서도 동일방직 인천공장 부지의 활용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일방직 공장부지가 산업유산으로서 진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 소유주, 시민사회가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할 수 있는 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동일방직 인천공장이 보유하고 있는 산업시설들에 대한 건축자산조사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활용방안은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될 수 있지만 기존에 인천에서 진행되었던 대규모 공장 이전적지에 대한 전면 철거를 통한 개발을 지양해야 하며 동일방직에서 근무했던 노동자들의 흔적을 최대한 보전하는 방향의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앞서 동일방직 인천공장이 산업유산으로서 진정성과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과거 동일방직에서 발생했었던 노동탄압에 대한 사건에 대해서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화해의 공간을 조성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업시설의 활용을 위해 노동과 노동자에 대한 흔적을 기록해 후세대 남겨줄 수 있는 작업이 전제되어야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단순한 산업시설의 재개발이 아닌 가치 있는 산업유산으로서 의미를 얻을 수 있다. Industrial facilities during the period of active industrialization were very important in urbanization, bu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hose production functions were suspended due to economic restructuring and changes in surrounding conditions. 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cess older large scale industrial facilities in terms of industrial heritage. Though Dong-il textile company this study presents those the heritage values and the conditions of heritage to be industrial heritage where it located in Manseok-dong, Dong-gu, Incheon, where the production operation was recently suspended. Dong-il Textile company was the first textile company in Korea to produce thread and textile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ve made a lot of achievement in the export market From 1960s and have been doing business. However, in the Dong-il textile company, after the production base is moved abroad, the discussion on the use of factory sites is underway. Dongil Textile"s Incheon factory was the most export-oriented and successful among Korean textile companies, but it is also the site of painful memories of the so-called "Naked Protest" and "Excrement Dumping Case" in the late 1970s. This study is suggested to make a part of industrial faciliti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through land donation in the dormitory, medical room, and gymnasium. Since then was proposed floor space ratio was covering to the owners of the same land as a solution to utilize industrial facilities. With various plans presented in Incheon for revitalizing Incheon Dong-gu, the withering old city center, mentioning the use of the site of the Incheon factory, a consultative body for local governments, owners and civil society must be formed to maintain sincerity as an industrial heritage. To this end, architectural asset survey should be carried out faithfully on industrial facilities. Although the use of the Incheon factory can be explored in various ways, the development of the large-scale relocation site in Incheon should be avoided through the overall demolition of the site, which was previously conducted in Incheon, and the use of measures to preserve the traces of labors who worked in the factory is necessary. Before this, the process of apologizing and asking for forgiveness for the past cases of labor repression that occurred in the Incheon factory is necessary. Through this, work to create a space for reconciliation must be preceded. It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utilizing industrial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traces of labor and workers and leave them for the next generation. Only when this process is completed can the utilization of the site of the Incheon factory acquire the meaning of true industrial heritage, not the redevelopment of industrial facilities.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事審官 仁州李氏와 인천지역사회

        박은경(Park Eun Ky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9 No.-

        仁州李氏는 고려 귀족사회의 최고의 門閥이자 대표적인 왕실 외척으로서 권력의 최정상에 있었다. 때문에 그동안 인주이씨에 대해서는 주로 중앙의 권력으로서만 파악하여 왔다. 하지만 인주이씨는 중앙의 귀족일 뿐만 아니라 인천지역사회와도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만큼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려시대의 귀족의 대부분은 신라말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대두한 豪族에서 기원하는 세력으로서, 이들은 자신의 族的,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지방사회에 두고 있었다. 고려초 고려정부는 사심관제도를 통하여 호족들이 자신의 출신근거지에 대해 지니고 있던 영향력에 바탕을 둔 간접통치의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사심관제도는 호족들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중앙귀족이 된 이후에도 이어지며 고려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고려시대 귀족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귀족인 인주이씨 역시 신라말 인천을 기반으로 성장한 호족출신으로서 중앙으로 진출한 이후에도 자신의 세력기반인 인천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련은 사심관으로서의 역할로 이어졌다. 태조대 사심관이 성립되며 인천지역사회의 중심세력이었던 사심관 인주이씨의 위치는 이후 성종, 현종대를 거치면서도 계속 이어졌다. 현종대에 자리잡게 된 고려시대 군현제의 특징은 주속현체제로서 지방관이 파견된 主縣보다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屬縣이 훨씬 많은 특이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는 고려의 군현제가 사심관과 향리 등 지방사회에 기반을 둔 세력에 의한 지방사회의 자율적인 운영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현종대 樹州의 속현이었던 인천지역은 수주의 행정적인 관할하에 있기는 하였으나 실제적인 그 내부의 운영에 있어서는 사심관 인주이씨가 향리와 함께 핵심적인 위치를 담당하였다. 숙종대에 들어서 인천지역은 지방관이 파견되며 고려정부에 의한 직접 지배로의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당시 인천지역이 主縣인 慶源郡으로의 승격한 것은 행정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숙종의 어머니인 인예태후 이씨의 내향이기 때문이었으니, 왕실외척이었던 인주이씨의 위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후 고려말까지 계속되는 인천지역의 승격 역시 인주이씨와의 관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숙종대 이후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사심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의 중심세력으로서의 위상은 계속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에서 ‘宗主人民’ ‘甄別流品’ ‘均平賦役’ ‘表正風俗’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첫 번째 역할인 ‘宗主人民’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 중심으로서의 위치를 보여주며, 두 번째의 역할인 ‘甄別流品’, 즉 流品을 심사하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서 담당했던 사회신분적 역할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번째의 역할인 ‘均平賦役’, 즉 부역을 균평히 한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경제적 역할을 보여주며, 네 번째의 역할인 ‘表正風俗’, 즉 풍속을 바로잡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을 보여준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의 최고의 망족으로서 인천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감을 지니며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를 바탕으로 하여 인천지역사회에서 사회·신분적 역할, 경제적 역할,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 등 인천지역사회 운영 전반에 걸친 역할을 담당하였으니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와 실제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것이다. Inju Lee was the highest Munbeol(門閥)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As representative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Inju Lee was at the summit of power. Thus far, Inju Lee was grasped only as central power. However, it is required to note that Inju Lee was not only central aristocracy but power close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As the power originating from Hojok(豪族) which emerged as new social power at the end of Shilla, most aristocracy in the age of Koryo had their relative, economic and social base in the local community. As Sasimgwan(事審官) was the highest Mangjok(望族) in the area of ancestral home, Goryo Government indirectly ruled local area through Sasimgwan(事審官). As the representative aristocracy in the age of Goryo, Inju Lee was also Hojok(豪族) which grew on the basis of Incheon at the end of Shilla. As such, it was closely related to Incheon, its power base even after it advanced to the center. Then, such relation was connected to the role of Sasimgwan(事審官). Sasimgwan Inju Lee played??the role of ‘Jongjuinmin(宗主人民)’ ‘Gyeonbyeolyupum(甄別流品)’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Pyojeong pungsok(表正風俗)’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1st role, ‘Jongjuinmin(宗主人民)’ means ‘To become the chief of local people’, showing the position of Inju Lee in Incheon. The 2nd role, ‘Gyeonbyeolyupum(甄別流品)’, namely, examining Yupum(流品) shows social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3rd role,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namely, the fair execution of Buyeok(賦役) shows the economic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4th role, ‘Pyojeongpungsok(表正風俗)’, namely, the correction of Pungsok shows the role of Inju Lee to keep the social order of country village in Incheon. That is to say, Inju Lee played role in all operation of community in Incheon, being actual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