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여중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4 No.-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 나타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과 국제결혼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그간에 나온 논문들과 신문자료, 인터넷 검색자료 등을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①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단일민족론에 대한 담론과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 6・25전쟁과 국제결혼, ②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 ③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 건강한 다문화사회 건설을 위한 제언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우리는 흔히 스스로 ‘단일민족’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단일민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유전적 동질성을 획득했다는 의미이지 한국인의 기원이 하나라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한국인은 동아시아 내에서 남방과 북방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이뤄져 형성된, 다양성을 지닌 민족이다.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지금까지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단일민족에 대한 그간의 생각을 수정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국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어선 만큼 대한민국도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다문화가족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 농촌지역에서의 가족관계는 핵가족 직계가족에서의 가족관계를 넘어 친족관계까지로 확대되어 있어 도시에서의 그것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며느리가 이해해야 할 가족관계가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가족생활에의 몰입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어온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으로는 ①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문제, ②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부적응 문제, ③ 다문화가족에 대한 언론의 편견조장, ④ 가정폭력문제. ⑤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곤란, ⑥ 국제결혼 중개업자들의 도덕적 문제, ⑦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교육문제를 드는 경우가 많다. 첫째,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에서는 단일민족에 관한 종전의 개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 변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6・25전쟁은 국제결혼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어 지금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족 형성의 기틀을 제공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에서는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배경을 설명하고 2000년대 들어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의 형성과정과 그들의 가족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한국사회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향해가는 배경에는 6・25전쟁을 전후한 국제결혼,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200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자리잡고 있고 문화적 적응이라는 의미로 교육을 통해 이주자의 동화를 지향하는 것은 곧 다른 형태의 차별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which emerged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1990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wit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based data, this article discusses the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Specifically, the main issu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①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ternational marriages-discussions on single-race and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marriages, ②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the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③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ultural adjust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proposals for the construction of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We, Koreans, generally refer to Korea as a single-race nation. Here, a single-race nation does not mean that the origin of Korean people but means that Koreans have acquired genetic homogenenity with time. Koreans were formed by the gene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 and they are a race of people with ethnic diversity.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data,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time for us to modify our ideas of a single-race nation.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Experts assume that since the foreigners take up 2% of Korea’s population, Korea has set foot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rural areas rather than in urban areas. In the rural areas, the family relation has extended from nuclear immediate family to kinship and this kind of aspect has a big difference with that of the urban areas. Accordingly, the family relations get widened and more complex which make foreign wives to put more effort in their family life. The drawbac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ve been discusses are as follows: ① cultural mal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② the problems of 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③ promoting bias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by press ④ the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⑤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⑥ the moral problems of matchmak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 ⑦ the educational problem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n terms of racial mixture, multiracial people and international marriage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revious concept of a single-race nation and that there is a lack of changes in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 addition,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served as a basi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present. Secon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this article explicate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briefly discusses the form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relations. Third, in terms of the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tural families,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raws out a conclusion that bilingual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s a result, international marriages around the Korean War, the influx of foregi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opening of the 21st century account for the Korean society’s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inclination to assimila...

      • KCI등재

        다문화시대의 단군연구

        권상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단군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기존 단군연구에서는 대개 단군을 단일민족성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군상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되었을 뿐이며,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 단군상은 독립운동의 이론적, 종교적 기반이면서 한민족의 단결성을 강화시키는 동력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단군상이 일제강점기에는 시대적 의미를 지닐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에 진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단군 자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 단군은 민족성의 상징체이며, 민족성은 사회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하고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존재하는 의미를 알게 해 준다. 그렇다면, 민족의 시원인 단군신화를 단일적인 민족, 또는 폐쇄적인 민족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소통적인 민족성의 지평에서 새롭게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단군문화가 외래문화와 상호작용 또는 융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단군신화와 이와 관련 있는 관련된 풍류도, 낭가 등에서는 혈통주의적 민족성보다는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다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다문화사회에서는 토착문화의 고유성을 보존하면서도 외래문화를 수용하여 자신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상징체계를 단군과 단군문화를 재해석하면서 창출해 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화유산학에 대한 시론적 접근 - 한국과 중국의 유적건조물을 중심으로 -

        김동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5 No.-

        본고에서는 문화유산학에서의 ‘문화유산’과 그 하위 개념으로 설정한 ‘유형문화재’ 및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문화유산에는 유적건조물・유물・기록유산 등이 있고, 무형문화재・자연유산・국가등록문화재도 이 분류 안에 속한다. 유적건조물에는 유형의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유물의 형태는 배제된다. 실질적으로 유적, 유구는 주거지나, 무덤, 가마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유적건조물을 국가 혹은 시・도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정부기관에서 이동이 불가능한 유형문화재를전국・성・시・현급 중점 문화재 보호단위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유산은 지정과 비지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중 정부 혹은 지차제가지정한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대중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문화유산학의 학문적인 범주를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교육・보존・복원・활용 등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고, 고고・역사・인류・민속・문명・예술・관광학 등 여러 학문의 융복합적인 학문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외에 의류・건축학 등의 학문이 문화유산학에 융복합되기도 하고, 역으로 문화유산학이 이 학문들에 속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문화유산학의 개념에는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혹은 등록한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지정 혹은 등록되지 않은 문화유산도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유적건조물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고, 그 결과 현대사회의 대중들은 지정된 문화유산에 집중하며, 비지정된 문화유산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비지정된 지표 아래의 유적건조물은 관심도가 가장 낮다. 만약, 현대사회가 현대에 남겨진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지 않게 된다면 현대사회는 이전 사회의 문화유산만을 잃게 되는 것이 아니라, 현대사회의 문화와 문화유산도 잃어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그 해결책이 문화유산학의 활성화라고 판단한다. 문화유산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대사회 이전의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고, 현대사회가 남길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게 온전하게 물려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경북지역 술두루미와 혼례 음식 교환 방식의 문화지도와 그 의미

        강정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In this article I made some cultural maps of the Suldurumi and the exchange pattern of the wedding food in the Kyungbuk Province. Through this work I aimed to give basic informations for the study of the pottery and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n addition I wanted to know the meaning of the cultural area. The Data for this paper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at is not used generally under the modern Korean anthropologists. It was collected firstly through the direct conversation, secondly per mail. For this work I choose one village per Myeon, so in 225 villages questionaires were filled through the direct conversation. Per mail I could get only 20 questionaires of all 200 which were sent to the elementary school in all Myeon. I think this method makes my paper different from the other anthropological papers in Korean produced by the case study method. In Kyungbuk Province there are two cultural areas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middle zone can be considered as transition zone is normally composed of Yecheon, Andong, Chongsong, Eusung, Chilgok, Chongdo Kuns. While in the east zone the ceramic bottles for the Japanese Sake were used already in the 50es as transport instrument for the ceremony alcohol, the traditional Suldurumi was used till 70es in the west zone of the Kyungbuk Province. I think that this process began from the Yangban in the east zone, and it was imitated by the ordinary people. Through cultural maps I have known that this process was different in line with the zone. In the west Zone it went on slowly, because there was a relative little tension between the Yangban and the peasant.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 regional specialities, which came into view through the cultural map stud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study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folk cultures. 본 논문에서는 술두루미와 혼례 음식 교환 방식에 대한 경북지역 문화지도를 작성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면적인 문화지도에 시간과 사회적 관계라는 요소를 도입하여 좀더 입체적으로 설명을 하고자 했다. 본고의 연구대상 시기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가 되며, 기초자료는 각 면마다 한 개의 마을을 선정하여 수집하였고,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 작업도 병행하였다. 술두루미와 혼례에 관련해서 보았을 때, 경북에는 크게 안동 동쪽과 서쪽으로 나눌 수가 있으며, 안동의 동쪽 지역은 청송에서 영덕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남과 북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안동은 경북에서 문화 중심지로서 술두루미를 유리대병으로 교체하는 데에 중심 역할을 하였다. 안동의 동쪽은 대부분의 술두루미가 유리대병으로 교체되었지만, 서쪽에서는 술두루미가 70년대까지도 사용되었다. 안동을 포함해서 안동 동쪽 지역에서 술두루미가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목이 긴 형태를 보여 준다. 경북의 동쪽 지역은 경주권과 안동권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안동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안동의 북부지역은 유교이데올로기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 주며, 경주 지역은 좀더 남성 중심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각 문화권 내 계층 사이의 모방과 차별이라는 기제를 통해서 형성된 것인데, 안동의 치열한 계층 갈등은 계층 사이의 모방 속도를 빠르게 하여 술두루미가 유리대병으로 이른 시기에 교체되는 현상을 가져 왔다. 김천이나 성주는 안동과 달리 계층 사이에 갈등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나타나서 농민들의 경우 오랜 시기 술두루미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는 문화지도를 통해서 경북지역 전통문화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 데에 첫 번째 의의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전통문화를 연구함에 문화권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연구를 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 데에 본 논문의 두 번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적 특수성을 무시할 경우 현상을 왜곡 해석할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 KCI등재

        단군문화로의 회귀-檀君神話, 風流道, 巫俗의 세속화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권상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5 No.-

        한국사는 외래문화의 수용사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우리가 주체성을 지니고 외래문화를 수용해야 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어 보인다. 하지만 한국사에서 보면 외래문화를 맹목적으로 수용하였다는 사실 또한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 단군신화의 심리체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군신화에서의 민족성이 주체적으로 외래사상을 수용한 사례를 풍류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풍류도의 원류는 단군의 홍익인간 이념에 근거한 것이다. 풍류문화에는 주체적으로 외래사상을 수용할 수 있는 주체성과 포용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풍류문화가 왜곡되면서 노예의 문화로 전락하게 된 원인을 무속적 문화심리와 관련해 논의하였다. 무속신앙의 어떠한 문화체계가 외래문화를 수용하지 못하게 하였는지 살펴보고, 그런 후에 한국문화가 주체적으로 외래사상을 수용하기 위해 단군의 문화체계로 회귀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 문화교류의 흐름에서 본 양국 전통음악 교류의 현황과 특성

        서인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While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was indirect during Joseon dynasty(1392-1910), it became not only direct but also very active and varied since 20th century, especial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two countries in 1992. Korean wave which began in the late 1990s and the effort made by Korean cultural center in Hanoi influences on the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More people learn Vietnamese, more Vietnamese culture appear in Korean mass media and more books on Vietnam are published in Korea. This phenomenon is different from Korean wave in Vietnam. But, it clearly shows Vietnamese image to Korean people as a business partner and one ethnic group living with Korean in a multi ethnic age. Performance of Vietnamese traditional music was increased in Korea with the growing number of international festivals. Th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wave such as ‘Cultural Partnership Initiative’ (CPI) project since 2005 gave a chance for many Vietnamese artists to associate with Korea. Meanwhile, the establishment of Korean-AS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which was born in 2009 along with the rising position of ASEAN in Korea the poses a new question about Asian musical identity. Until now more folk music was performed than court and aristocratic music except rare performance of Nha Nhac and Aak both in Korea and Vietnam shows for each others. Even one can say that the audience didn’t leave the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place only when they were performed in the same stage as popular music. However, considering the fruit of CPI project and the interest in Nha Nhac and Aak of both countries, the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the two nations will be broadened from folk music into Nha Nhac and Aak,Also, Vietnamese view over economic success of Korea and the pride of Vietnamese people about victory in Vietnamese war which lie in the background of Korean wave in Vietnam, and Vietname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regardless of their age and gender would help the exchange of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become more diverse including Nha Nhac and Aak, Also, Korean people’s concern over Asian culture and realization of multi ethnic age. 조선시대에 중국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졌던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음악 교류는 20세기에 들어서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1992년 한・베트남 수교가 이루어진 이래 양국간의 전통음악 교류가 빈번해졌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베트남 내 한국문화와 한류의 특성, 그리고 문화교류를 위한 베트남한국문화원의 노력은 전통음악 교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에서 베트남어 학습, 베트남을 다루는 대중매체, 그리고 도서 발간의 증가 현상은 베트남에서의 한류와는 다르지만, 경제교류의 파트너로서 베트남, 그리고 다문화시대의 더 큰 우리로서의 베트남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에서 베트남 전통음악 공연 역시 국제 축제가 늘어나면서 증가하게 되었다. 더욱이 2005년부터 추진되어 온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동반자사업은 많은 베트남 전문연주자들이 한국과 인연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국내 정치와 경제 등 모든 면에서 아세안의 위치가 중요하게 부상하면서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에서 창단한 한-아세안 전통 오케스트라는 한국과 베트남 음악을 포함한 아시아의 음악적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과 베트남 전통음악 교류 양상을 보면, 드문 냐냑(Nha Nhac) 공연을 제외하고는 주로 민속음악을 위주로 공연되어 왔다. 게다가 양국의 전통음악은 2009년 한-베 우정페스티벌에서처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류의 힘을 입어서 공연되기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화동반자사업 등 사업의 성과, 그리고 아악과 냐냑에 대한 양국의 관심을 고려할 때 앞으로 두 나라에서 소개되는 전통음악은 양국의 민속음악에서 아악(냐냑)에 이르기까지 점차 폭넓고 깊이 있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베트남인들이 가지는 한국의 경제적 성공과 베트남인의 전쟁 승리를 동일시하는 자부심과 동질감이라는 베트남 한류의 이면, 그리고 남녀노소의 구분 없는 베트남인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그리고 한국인들의 아시아적인 것에 대한 관심, 그리고 다문화시대에 대한 각성은 한국과 베트남 전통음악 공연의 다양화와 심화를 위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中西文化會通與傳統文化復興 —一種反思性考察

        부영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今天, 在中國, 談到傳統文化復興, 離不開的語境是現代性, 擺脫不了的言說框架是 “中國—西方”, 而支配分析語境和言說框架的基本觀念就是近代以來所形成的文化會通的 “中心—邊陲”模式。它們構成了分析中國傳統文化復興的隱性前提。對這些隱性前提的分析表明, 無論是中國的現代性語境, 還是 “中國-西方”兩元言說框架以及 “中心—邊陲”文化會通模式或多或少都包含著中斷中國文化傳統的無奈和致力創造一種中國化的西式新文化的強烈衝動, 結果導致中國文化迷失了自我本位和主體性。因此, 必須拋棄陳舊的 “中國-西方”二元言說框架, 解構 “中心-邊陲”文化會通模式, 將其重構為體現互主體性原則的 “中心與中心”模式。這種解構與建構是全球化時代, 人類不同文明或者文化之間交流與對話所需要的基本前提。基於這種識見, 凝練共識, 尊重差異, 構造一種多元交疊的共存型文化生態, 充分保持地方性文化的原生態, 已經由共識、宣言變成實踐、行動。而堅持一種 “閾限意識”, 即清醒地意識到, 任何一種文化傳統的不完滿性和有限性, 則是完成這一神聖行動所必須遵守的首要原則。任何一個民族, 只要持守這個原則, 在文化上就既不會自卑自棄, 走向文化虛無主義, 也不會自狂自癲, 任文化原教旨主義肆虐。而理性、平等、寬容的精神就會自然而然地在這個民族文化根身處生根發芽, 成為任何其優先選擇的文化建構與發展的戰略與策略, 而一個多元交疊並存的文化生態共同體的形成也因之就具備了堅實的理性基礎。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에 나타난 한민족공동체의식

        안병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This study used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In this paper, Chinese-Korean School school song appears on Herditary identification, cultural identification, Linguistic identifi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sense of community for the Korean people were investigated. Herditary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imself would want to say that the same ethnic race. the Korean people have been called the “white-clad race.” Cultur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also shar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Linguistic identification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are one ethnic race speaking one language. Historic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ave a shared history with the Korean people.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를 대상으로 조선족이 민족정체성 유지를 위해 민족의 동질성, 즉 모국과의 동일시를 추구하여 한민족공동체의식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에 집중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 조선족은 학교 교가를 통해 비록 민족은 한반도와 분리되어 있지만 조선족도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같은 역사, 같은 민족,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이러한 중국 조선족의 모국과의 동일시 현상은 한민족공동체의식을 형성하게 하였고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종족적 동일시, 문화적 동일시, 언어적 동일시, 역사적 동일시 등을 통해 한민족공동체의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단군 인식의 확장과 단군자손의식

        김성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1 No.-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angun nationalism has faced distortions of modern history and served as the focal point of our continued societal malaise, in particular concerning Tangun and Gija, both symbolizing Korea's society and culture in the so-called ‘Tan-Gi(檀箕)’ or parallel systems of thought regarding each figure. As the role of Gija was omitted and that of Tangun emphasized, the latter was forced to shoulder both of these systems of the concepts of Korean history and civilization. Since the Goryeo period, the two historical and cultural figures Tangun and Gija have been fused into a system of thought centering on Tangun only, as Gija's role being abruptly buried. This has coincided with the appearance of extreme nationalism and has resulted in a revolution of our sense of history and culture.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Korea faced imperialistic invasions. During the subsequent Japanese occupation, Tangun, already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Korean history, was reinstated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people by bloodline in order to restore the Korean people's sense of sovereignty during this period. With the Korean people described in such terms as Tangun's blood progeny, Tangun's heirs, and other designations, the consciousness of being Tangun's descendants expanded its influence over Korean history and culture to include the concept of the sacred tribe, which came to apply to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people. A series of activities involving Tangun nationalism played an active role in this. Even so, the “Dongjo-donggeun(同祖同根, the Japanese theory of Koreans and Japanese sharing common roots)” made this very difficult, and there were even attempts to reshuffle Tangun to fit within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ythos of national origin. The schemes of the governor general to bury Tangun nationalism were likewise formidable. Still,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campaign centered on Tangun to foster a sens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a sense of unity. This played a part in throwing off the vestiges of feudal society while giving rise to other results. Today, we are still mired at the level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the "progeny of Tangun" did not assert their mono ethnicity. Now that we a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ather than using Tangun nationalism for its original purpose, we need to develop of unified system of thought within a comprehensive framework, because while the value of the Korean nation and people are important, we should not bury universal truths within that sense of worth. 단군민족주의는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왜곡된 근현대사의 경험을 지속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정체성 문제에서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東國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단군과 기자, 즉 ‘檀箕’라는 병렬적 인식론에서 기자가 탈락하고 단군이 강조됨으로서 역사와 문명으로 함축할 수 있는 양축을 혼자 감당해야만 했다. 적어도 고려시대 이후 우리 역사문화의 양대 축이던 단군과 기자가 단군을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서 기자로 상징되던 다른 축은 급격하게 매몰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극한의 국수주의적인 경향도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 역사관과 문화관의 일대 변혁이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특히 이후 일제강점기에 국권 회복을 위해 우리 역사의 시조인 단군은 혈연을 매개로 한 민족의 시조로 재설정되었다. 단군혈손・단군후예 등으로도 표현된 단군자손의식은 신성민족으로 요동과 한반도의 강역과 종족을 포괄하는 역사와 문화를 범위로 하였다. 단군민족주의로 함축할 수 있는 일련의 움직임들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런 가운데에도 동조동근론 등 일제의 동화정책으로 말미암아 단군을 일본의 건국신화 속에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단군민족주의를 매몰시키려는 조선총독부의 분열책동 역시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단군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관은 우리의 독립과 전조선인의 대동단결을 위한 사회문화적인 캠페인을 이끌었고, 탈봉건사회의 견인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그에 못지않은 부작용을 초래한 것도 사실이다. 우리는 아직까지 선언적으로 단군자손이 단일민족임을 고집하지 않았던 20세기 초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단군민족주의가 21세기에 순기능을 하려면 보다 거시적인 틀에서 통합의 이론을 개발해야 한다. 민족과 국가의 가치가 중요하지만, 그 가치 속에 보편성을 매몰시켜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민족의 정체성과 단군민족주의

        정영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5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gun-nationalism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s homogenious ethnic identity. Dangun-nationalism means the thought and movements which persued the ethnical integr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identity consciousness of Dangun's decendants. And it was originated from the ethnical identity consciousness in Dangun-myth. Dangun-nationalism continued more than 700 years in Korean history, and became popularized at late Choseon period. And it contributed to the national movement toward independence, unification, democracy and Justice. The tasks of this paper will be abridged into 4 questions as belows. (1) What is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ation? (2) What is the concept of Dangun-nationalism and how it developed through Korean history? (3) How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Dangun-nationalism became popular and how it relates with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homogenious ethnic identity? (4) What is the background on which Dangun-nationalism became popular and took place as a key mechaism of Korean’s ethnic identity. 이 논문은 한민족이 민족적 정체성을 각성하면서 근대적 민족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단군민족주의가 관여한 바와 그 배경에 대하여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단군민족주의란 단군의 고조선건국을 집단 역사의 출발점으로 인식하고, 단군의 자손으로의 집단(민족)정체성 인식에 기초하여 집단적(민족적) 통합과 발전을 추구하는 일련의 사상과 운동을 가리킨다. 그것은 13세기 이래 한국사 속에 존재해오면서 한국사를 민족과 자주・독립・민주・복지・정의의 방향으로 견인해왔었다.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의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의 개념과 근대적 민족의 속성에 대해 살필 것이다. 민족정체성은 본래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민족의식이라는 두 측면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하고, 주관적 차원에서의 민족정체성 인식 및 공속의식에 기초하여 집단적으로 결속되어야만 근대적 민족으로 활성화한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2) 단군민족주의의 개념과 그 역사에 대해 개관할 것이다. 한반도 일원의 주민과 국가 모두를 단군의 건국에서 비롯된 단일의 역사집단(동국・삼한)으로 인식하는 전통과 함께 단군민족주의적 사조가 생겨났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런 의식이 13세기이래 중세기를 통해서도 꾸준이 전승되어온 사실과 그가 역사속에서 기능해온 바를 살필 것이다. (3) 단군민족주의가 한말에 들어 본격적으로 대중화하면서 한민족을 근대적 민족으로 전환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관여하였던 사실을 밝힌다. 한말 애국계몽운동이 민족정체성을 단군의 자손으로 규정한 이래, 그같은 인식이 항일독립운동과 통일운동을 이끌었고, 해방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국가의 제도・의례속에 영입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핀다. (4) 단군민족주의가 대중화하여 민족정체성의 핵심기제로 자리잡게 된 배경을 분석한다. 단군민족주의는 그를 뒷받침하는 집단적 동질성과 앞시기로부터 전승된 유산들에 기초하여, 그리고 단군민족주의에 공감한 운동가들의 노력과, 당시의 시대상황 및 분위기에 힘입어 활성화되고 수용되어갔다는 것을 살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