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유현수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o confirm the detailed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arameters in these relationships.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e tri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corporate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Secon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r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set to. To verify the set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workers in their 20s to 50s who were employed at 10 of the 64 large companies that regularly operate training programs for their members. Through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32 available data, excluding 18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answers among the responses from a total of 250 peopl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path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that it provides significant value beyond the level of exchange transaction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attitudes and values ​​toward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various support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for organizational members are needed. Als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xpa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affects the maintenance of 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organizational members. Active suppor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he expa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the individual level will increase the confiden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hange them to a positive attitude, which will make them actively participate in all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with hope and optimism.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부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지원인식과 교육효과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시대상기업집단 총 64개사 가운데 10개사 재직 중인 20대~50대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총 250명으로부터 받은 응답 중 불성실한 답변 18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활용 가능한 232부의 자료를 통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교육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육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 미치는 경로에서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이 높아지면 구성원들은 긍정적인 태도로 교육에 임하며, 교육효과성은 더욱 제고되는 함의가 있다.

      • 소사장제로 운영되는 헤드헌팅조직에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무환경을 조절효과로 하여

        김기경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혹은 팀)의 역량과 성과가 중시되고 조직의 권한이 밑으로 분산되어 있는 소사장제로 운영되는 헤드헌팅조직에서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이 조직구성원의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업무환경이 업무성과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소사장제로 운영되는 헤드헌팅조직에서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이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소사장제로 운영되는 헤드헌팅조직에서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에 따른 업무성과에 업무환경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셋째,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업무환경의 조절효과가 헤드헌팅조직과 일반조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대상은 헤드헌팅조직에서 업무경험이 있는 헤드헌터 101명과 일반조직에서 업무경험이 있는 173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274부의 설문 응답을 확보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전체조직과 일반조직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거래적 리더십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드헌팅조직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모두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소사장제로 운영되는 헤드헌팅조직에서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에 따른 업무성과에 업무환경의 구성요인 중 ‘도전’만이 조절효과를 보여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유형(변혁적·거래적)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헤드헌팅조직과 일반조직을 비교하였을 때 업무환경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whether types(tansformational・transactional) of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members in the intrapreneuring headhunting organization where the competence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or teams) are important and the authority of the organization is dispersed below and, to verify if the job performance is effected by moderating of work-environment, and to ascertain whether moderating effect of work-environment has a meaningful discrepancy between headhunting organization and general organization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and job performance.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s for work-environment improvement in headhunting organization by proving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derating effect of work-environment between the headhunting organization which has relatively wide variation in work-environment and general organiz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problems are set as follows. First, Do types of leadership ha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members in the intrapreneuring headhunting organization? Second, Does moderating of work-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by leadership types(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in the intrapreneuring headhunting organization? Third, Does moderating effect of work-environment make a relevant difference between the headhunting organization and general organization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and job performance? In order for this, survey questions were prepar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nd work-environment, and by exploring, selecting, analyzing and modifying adequate measurement tool. Survey targets were total 274 individuals consist of 101 headhunters who had experienced working in headhunting organizations and 173 persons who had working experience in general organiz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of all members and general organization, but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of headhunting organizations. Second, in leadership types(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and job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s of work-environment moderating effect showed positive(+) effect partially. Third, the effect of work-environment moderat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 and job performance when comparing headhunting organization and general organization.

      • 완벽주의 성향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의 매개효과

        구수경,구인성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oday's social atmosphere is rapidly changing toward an achievement-oriented direction that tries to do everything perfectly in order to create high performance, and accordingly, th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to find major talent is intensifying. Existing studies on perfectionism in organizations tended to focus on the negative aspects,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work performance are somewhat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which is often required in the modern organizational society, on the work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mediating role of memb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examining this, we tri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that more closely matches realit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ward perfectionism of company members affected work performa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t was found that by activating the mastery approach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t played a role in further enhancing the work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drawn. 본 연구는 기업 구성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완벽주의 성향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완벽주의 성향이 성취목표지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완벽주의 성향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수집된 응답 자료 중 230부의 응답 자료를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구성원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구성원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매개변인 성취목표지향의 관계에서 독립변인 완벽주의 성향은 매개변인 성취목표지향에 대해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인 성취목표지향은 종속변인 업무성과에 대해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완벽주의 성향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의 매개효과는 하위변인 숙달접근만이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수행접근과 실패회피목표의 정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에서는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 구성요인 중 타인 지향적이고 사회 지향적인 성향을 보다 구체화시켜야 하며,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조직 구성원들은 항상 새로운 도전과 창의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새로운 심리적 변인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 셀프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

        정성희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self-leadership affects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the cor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what mechanism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has in this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emphasized on self-initi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wanted to find out. In order to confirm the set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 workers in their 20s and 50s working in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yeongnam area,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total of 291 copies of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irst, as a factor to promot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mportance of self-leadership emphasizing the self-initiation of members was rais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was an important part as a way to elicit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with high self-leadership.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이 조직 혁신의 핵심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지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자기 주도성이 강조된 셀프리더십이 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관계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이 강화된다고 보고 LMX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정된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수도권 및 경남권 지역에 위치한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20~50대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291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위중심전략과 자연적보상전략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LMX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셀프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LMX을 통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요인으로 구성원의 자기 주도성이 강조된 셀프리더십의 중요성을 제고 하였으며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의 질적 수준 향상이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의 정서상태와 상사의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윤주용,정기수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팀프로세스의 구조적 기반 확립을 통해 팀프로세스가 구성원의 조직몰입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팀프로세스와 조직몰입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정서상태 매개효과와 상사의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325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받았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팀프로세스는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프로세스는 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프로세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상태의 하위요인인 긍정활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팀프로세스와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정서상태의 하위요인인 부정활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팀프로세스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상사 성격특성의 하위요인인 탈선특성으로 인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팀프로세스는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 스트레스에 중요한 선행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투입(input)-과정(process)-산출(output) 체제 모형에서 과정단계(process)에 해당하는 팀프로세스에 대해 구조적인 기반을 확립하여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측면에서 팀프로세스의 구성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팀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 뿐 만 아니라 팀 중심의 조직개발도 중요하다는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team processes that affects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by establishing structural basis of the team processes, and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of members' affect state type and the regulation effect of superior's personality traits among team proces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We did a survey and received questionnaires from 325 employees currently working in a company,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 package, to handl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ly. Analysis resulted as follows : First, Team processes have statistically-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m processes have statistically-meaningful negative(-) effect on the members' job stress. Positive activation has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process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activation has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processes and job stress. The effect of the team processes on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the derailing traits, a sub-factor of the superior's personality traits, had a moderation effect.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team processes are significant leading variables to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and apply the components of team processes comprehensively by establishing structural basis of team processes, which is process stage at the input-process-output model.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not only individual-centered developments but also team-centered organizational developments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team.

      •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

        송새인 서울평생교육연합 2021 한국미래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composed a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a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researching it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types of superi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filling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at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300 or more full-time work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305 valid sampl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some sub-elements. When the level of hope, which is a sub-element of psychological capital, is high, job performance increases, and when the level of controlled communication is high, their positive (+) relationship is stro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job performance,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levels showed a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could be less strong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was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and practically analyzing that some sub-elements had a moderating effect. It will be possible to le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 직무성과,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및 조사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선정 및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05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일부 하위요인들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일부의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들은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에 따른 상사의 적절한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