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 그 역할과 역사적 의미

        김영희,윤상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2013년 3월 1일로 설립 50주년이 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가 한국 언론정보학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언론정보연구소의 설립과정과 연구소가 전개한 주요 활동을 살펴보았다. 언론정보연구소는 1963년 3월 1일 기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신문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연구소는 설립 직후부터 5년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언론인 재교육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한국언론학계에서 처음으로 내용 분석과 사회 조사 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연구활동을 수행했다. 1968년 기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석사 학위 과정으로 발전시킨 신문대학원 설립 이후 신문연구소는 사회과학적인 연구 활동을 주로 전개했다. 1975년 신문대학원을 폐지하고, 사회과학대학 산하에 신문학과 학부 과정과 대학원 석·박사 학위 과정을 설치한 이후 언론정보연구소는 사회과학적 연구 학술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전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4년 3월 1일 언론정보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의 역사는 연구 활동, 학술지 발간, 국내외 학술 교류 활동 및 교육 기능 등 대학에 설립된 연구소의 본래 기능에 충실하면서 한국 언론정보학 연구를 선도해 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해 본 『언론정보연구』 50년

        양승목,김규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2

        『언론정보연구』는 국내 최초의 언론학 연구소인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현 언론정보연구소)에 의해 1964년 2월 『신문연구소학보』라는 제호로 창간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언론정보연구』의 창간 50주년을 맞아 동 학보가 지난 50년 동안 형식과 내용 면에서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하고 그러한 변화가 제도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지난 50년을 다섯 시기로 나누어 『언론정보연구』의 발간정보 및 편집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게재 논문의 저자, 사용언어, 연구패러다임, 연구영역, 연구방법 등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는『언론정보연구』가 지난 50년 동안 내부적으로는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의 제도적 변화와, 외부적으로는 언론학의 학문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학보의 개방성과 게재논문의 이론적 · 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대해 왔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교육 40년

        양승목(Seung-Mock Yang),김관호(Kwanho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5 언론정보연구 Vol.52 No.2

        이 글의 목적은 1975년에 설립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의 창설 40주년을 맞아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매학기 서울대가 발간하는 수강편람에 기재된 학부와 대학원의 개설교과목을 분석함으로써 매년 학기별로 학부와 대학원에 어떤 교과목이 개설되었고 그것이 학년 또는 학위과정별로, 전공영역별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10년 단위의 네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난 40년 동안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은 큰 폭의 변화를 겪었고 시기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대학의 교육정책, 학과 교수진의 변동, 미디어환경과 같은 사회적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변화의 의미를 해석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s 2015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SNU Department of Communication, this paper serv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its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examining both the undergraduate and the graduate program"s curriculums. In order to obtain data, all course catalogues published by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onsecutive time periods and analyzed to produce a complete list of course titles by calendar year, semester, class, and subject area.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urriculums have gone through a number of significant changes in process of time; the University"s education policy, the Department"s faculty line-up, and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wer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The meanings of the abovementioned changes and the orientation of future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언론학 교육에 있어서 실무와 이론의 이분법을 넘어서 : 서울대 언론학 교육 30년을 중심으로

        강명구(Kang Myung-Koo),윤상길(Yoon Sang-Gil)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5 언론정보연구 Vol.42 No.1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는 사회적 변화, 정보테크놀로지와 산업의 변화, 저널리즘의 변화 등 언론정보학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변화는 언론학 교육의 목표와 실천에 커다란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학부 교육 30년을 되짚어 봄으로써, 자기 혁신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를 성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난 30년간 커리큘럼의 변화와 그 거리 큘럼에 대해 학생들이 실제로 어떤 과목을 수강하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언론학교육을 둘러싼 논쟁, 특히 실무와 이론교육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무교육에 대해서는 현장이 요구하는 인재의 능력이 무엇인지에 관해 보다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론중심 교육에 대해서도 대학원에 진학할 학문후속세대를 위한 커리큘럼과 언론과 정보통신 산업 현장으로 진출할 인력을 위한 이론중심 교육을 명확히 구분하고 그 내용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실무와 이론교육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형성적 학습과 현장지식 (hands-on knowledge)의 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surrounding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such as the advent of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industries and changes of journalism, demand responding changes in the realm of communication education. By reviewing curriculum changes of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tween 1975 and 2004,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 way to innovate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disputes on the rol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whether it should more focus on practical knowledge or theoretical knowledge. After comparing pros and cons of educational focus of the two opposing camps, this thesis suggests an alternative way to perceive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emphasizes 'formative learning' and 'hands-on knowledge' as its important elements. By doing so, this study will offer a way to integrate the two opposing perspectives and overcome the dichotomy.

      • KCI등재후보

        한국의 언론사교육 현황과 과제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7 언론정보연구 Vol.43 No.2

        This stud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history-related subjects are confronted with rapid reduction in curricula in Korea,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education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history and seek the solution to its problem. As result of research the rate of history-related subjects was 8.2% of curricula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at undergraduate programs in 1985, 5.2% in 2001 which means 39% reduction, and 4.9% in 2006. At this tendency more reducti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Meanwhile, in graduate courses, the rate 9.5% in 1985, and 3.2% in 2006, less than that of undergraduate courses. It tells that graduate school is more sensitive to social demand, therefore the education for and the participation by the succeeding research generation become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as the basis of study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edia in a right way and to develop real academic establishment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in Korea. In this respect, the policy support at the level of academic society field as well as the complement of contents for the education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history are highly request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언론학교육의 역사관련 과목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현실에서 언론사 관련 교육현황의 실체를 조사하여, 그 요인과 과제를 분석하고 언론사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언론사 관련 교과목은 1985년 학부과정에서 조사대상 학교 전체 개설 교과목의 8.2%를 차지했으나, 2001년 5.2%로 39%이상 감소했다. 2006년 6월 현재 조금 더 감소하여 전체 교과목의 4.9%를 차지했다. 이런 추세라면 언론사 관련교과목은 앞으로도 더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학원의 경우 1985년 11개 대학원에서 언론사 관련 교과는 개설교과목의 9.5%를 차지했는데, 2006년은 17개 대학원에서 17개로 전체 전공과목의 3.2%를 차지했다. 학부과정 보다 더 낮은 실정이다. 이것은 사회적 수요에 더 민감한 대학원 현실과 함께 언론사 연구후속세대의 교육과 출현자체가 매우 힘든 상황임을 말해준다. 학문의 기초인 언론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와 성격을 올바로 인식하고 한국 언론학의 진정한 학문적 정립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과제의 하나라는 점에서 언론사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언론사교육 내용의 보완과 함께 학회 차원에서 언론사교육을 위한 정책적인 대책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시점이다.

      • KCI등재

        초창기 언론법제 연구와 장용 교수의 기여에 관한 고찰

        이재진(Jae Ji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1

        학문적 연구는 어느 누구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노력이 아닌 공동작업의 성격을 띤다. 또한 학문적인 노력의 결과들이 집적되어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언론법제 영역 또한 제1세대부터 현재 세대에 걸쳐서 집적된 연구들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학문이 어떠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향후 어떠한 발전 모습을 보일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논의되어야 할 것이 바로 초기연구자들의 연구경향이다. 특정 학문분야 초기연구자들의 연구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이들의 연구가 언론법제 영역에 어떤 의의가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언론법제 연구의 초기연구자인 장용 교수의 연구에 대해서 재평가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우선 장용은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학계가 자리를 잡고 현재의 위치로 발전하기 위한 길목을 터주는 역할을 했다고 점에서 학문 1세대에 속하는 학자이면서 2세대로 변화해 가는 길을 열어 주는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고 인식된다. 아울러 신문학회를 창립하고 적극적인 학술활동을 해 나가면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대표저서인 <언론과 인권>은 독자적 학문 영역으로서의 언론법제 영역의 발전에 방법론과 이론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학문 1세대 연구자들이 활동했던 당시의 연구 환경이 지금과는 사뭇 다르고, 접근방식에 대한 이해의 방향이나 정도에 있어서도 지금과는 큰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학문 발전’의 측면에서 초창기 학자들에 대한 온고지신의 평가는 관련 학문분야가 어떻게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학문적인 발전이 요구되는가를 고찰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사료된다. Professor Young Chang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scholars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field in South Korea and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first scholar who did corner-stone research in media law area. This study reviewed how much the research and writings of Prof. Chang mad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media law education and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media law area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It was found out that he was very influential in the journalism area. He received Ph.D. degree in the United States in 1967 and played a major role in introducing and implanting the American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in journalism area to South Korea. He emphasized that the press freedom and the right to know are two most critical factors in democracy that we should make a proper balance with the right to reputation and privacy. He wrote some articles, books, and newspaper works related with journalism and media law. Among them, the book 〈The Press and Human Rights〉 was most well-known and important work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media law area in methodology and theory. In this book, he analyzed libel cases comparing Korean media law with American media law in order to deliver the significance of freedom of the press and right to know. In addition, he introduced Q-method in journalism research which was not familiar at the time. In short, Prof. Chang’s researches can be evaluated to enhance the level of media law research as well as journalism research. Especially, they gave some implications to the media law scholars in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in theory and methodology.

      • KCI등재

        박정희 정권 시기 언론인의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

        박용규(Yong-Gyu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2

        5·16 쿠데타 직후부터 박정희 정권은 탄압을 가해 비판적 언론활동을 위축시키는 한편 특혜를 제공해 신문사가 하나의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했다. 신문의 기업화 과정에서 경영진의 내적 통제가 강화되었지만, 언론인들은 여전히 저임금과 고용 불안에 시달렸다. 이런 외적, 내적 통제의 강화로 비판적 논조가 소멸되면서 독자들의 언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형성되었다. 외적·내적 통제 속에 언론활동이 위축되고 직업적 권익도 보장받지 못하면서, 자신들이 ‘샐러리맨화’되고 있다고 자조하던 언론인들은 현실 타개를 위해 ‘노조결성 시도’와 ‘전문직화 모색’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이런 두 가지 시도들은 정권 및 경영진의 탄압과 언론인의 역량 부족 등으로 인해 별 다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비록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박정희 정권 시기의 이런 경험들은 ‘권력에 대한 비판과 저항’이라는 지사적 언론인 전통의 긍정적 유산을 계승하면서도, 언론노동자로서의 철저한 의식과 전문직주의에 대한 체계적 인식을 종합해 언론인의 바람직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야 하다는 의식을 갖게 해 주었다. Immediately after the 5·16 coup, the Park Chung?hee regime started trying to constrict any critical activities of journalists and they were willing to support the press to grow as an enterprise. This industrialization of newspaper only intensified the internal control of owners, and that eventually led the journalists to be suffered from low wages and job insecurity. Such of those external and internal controls drove any critical contents out, and that caused the development of readers’ critical ideas about the press. As they always got watched for their journalistic activities and were never been guaranteed for occupational rights and interests, the journalists sneered at themselves for becoming one of those ‘salaried men.’ That consequently encouraged them to make attempts to ‘form a labor union’ and to ‘search for professionalization.’ However, those attempts did not make it to any satisfactory result because of the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and the owners of the press, the journalists’ lack of competence. But, despite the failure, what the journalists went through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did have an influence on the journalists’ trying to build a desirable identity.

      • KCI등재

        피의사실을 둘러싼 경찰과 언론의 상호작용 : 일선 경찰관들과 기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송채은(Chaeeun Song),윤석민(Sugmin You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2 언론정보연구 Vol.59 No.2

        이 연구는 오랜 기간 파행을 빚어온 범죄사건 피의사실 보도 문제에 대한 실효성 있는 해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피의사실 보도와 관련된 법 제도적 논의를 넘어 범죄 보도에 관여하는 두 주체인 경찰과 언론의 상호작용 양상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일선 경찰팀 기자들은 범죄사건 취재 전 과정에 있어서 경찰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공식적 언론 대응 창구인 일선 경찰서의 과장급 간부 경찰관은 기자들의 과잉 취재로 인한 업무 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청 단위의 지휘부를 중심으로 언론에 대한 비공식적 정보제공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경찰은 범죄 예방 및 실적 홍보를 위해, 언론은 범죄 보도를 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다. 동시에, 양자 간 비판 및 견제 관계도 나타나는데, 특히 일선 경찰관들은 언론에 대해 강한 부정적 태도를 드러냈다. 또한, 언론에 대해 경찰이 을의 위치에 있다는 무력감을 느끼고 있었다. 2019년 피의사실공표죄 논란 이후, 공식적인 보도자료 배포 등이 줄어든 대신 비공식적 취재 경로가 활성화되는 부작용도 관측된다. 전반적으로, 기자들과 경찰관들 간의 친목•교류 활동이 줄어들고 언론과 경찰의 갑-을 관계도 약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는 심층 인터뷰 분석을 토대로 경찰의 비공식적 정보제공 채널 최소화, 경찰의 공식적 언론 대응 창구 개선, 언론의 범죄 취재 과열 경쟁을 바로 잡기 위한 규범 정립 등과 같은 실천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solution to the long-standing problem of crime coverage. To this end, beyo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related to crime coverage, we have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media, the two entities involved in the reporting of cr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front-line journalists were interacting closely with the police in the entire course of their criminal coverage. The chief-level police officers of the front-line police stations, the official media response channel, is suffering from excessive news-gathering of reporters. Also,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formation about the crime case is being provided to the media in an unofficial channel, mainly by the high-level police officers working in the local or national police agency. For the police to prevent crime and promote their commitments and for the media to obtain information for criminal coverage, the police and the media ar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mutually criticizing relationship appears between them. Police officers were particularly very critical of media. They were feeling helpless about the media that the police were in a subordinate position. Since the 2019 controversy over the publication of the suspected facts of the crime, the unofficial coverage path has been activated instead of the official public release. Overall, there appears to be fewer social and exchange activities between reporters and police officers, and weakened relations between the media and the police. In order to improve crime coverage, the study offered practical alternatives such as minimizing informal channels of information, improving the polices official press channel, and establishing norms to correct the overheated competition in the media.

      • KCI등재

        언론인의 전문직 인식 변화 양상과 직업적 요인들의 영향

        최창식(Chang shik Choi)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시민들은 언론인들이 전문성과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그들에게 부여된 사회적 책임을 다해 줄 것을 기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언론인이 스스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직업적 정체성을 살피는 것은 언론 활동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이에 이 연구는 언론인들의 전문직 인식 및 변화, 그리고 그 영향요인들에 주목하였으며, 4개 연도 총 3,729건의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의식조사 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언론인의 전문적 인식은 ‘평가적 측면’, ‘인지적 측면’, ‘태도적 측면’, ‘규범적 측면’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종합하였으며, 직업 만족도와 스트레스 등의 직업적 요인이 전문직 인식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성과 독립성을 포함하는 태도적 측면이 언론인들의 전문직 인식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신문과 통신, 인터넷 언론사 소속 언론인들의 전문직 인식은 2005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방송사 소속 언론인들의 인식은 2009년 이후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정체하고 있었다. 그리고 언론인들의 언론 규범 인식과 그것의 실천 차이는 전문직 인식의 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는 이 영향 관계를 이중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론인의 직업적 정체성 변화 양상과 그 의미 등을 논의하였다. Journalists are expected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with their expertise in coverage field and strong sense of vocation for journalism. In this context, looking closely at journalists" self-perception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media and their practices. Thus,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journalists" self-perceptions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changes of it. In addition, effects of previously discussed influencing factors on journalists’ professional identity were also examined. Using 3,729 responses collected from field journalists by Korean Press Foundation’s Korean journalists survey on the year of 2005, 2009, 2013, and 2017, analyses were conducted. In results, "attitude dimension" of professional identity contributed the most to the jounalist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other hand, ‘evaluation dimension’ had the weakest impact on the percep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journalists from newspapers, news agencies, and online news companie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5; however,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from broadcasting companies has stagnated since 2009.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gap between journalists" perceptions of media norms and their assessment on actual reporting practice had a direct impact on the evalu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were found to mediate this relationship. Consequently, a double-mediated model of journalists’ percep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was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nge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journalists and the meanings of the double-mediation model were discussed.

      • KCI등재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론 연구자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유용민(Yong-Min Ryu)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 위기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향후의 언론학적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0년대 이후 폭증한 일련의 언론 위기론에 관한 언론 연구자들의 인식과 전망을 질문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한국 언론의 위기 담론의 문제적인 성격들을 주제화하고 언론 위기 담론의 위기 구성성과 정치성을 토의하는 한편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언론학 실천의 향후 방향과 도전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언론 위기가 언론학의 중요한 탐구 대상이라면 동시에 언론 위기에 대한 담론 또한 비판적인 성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우리 언론 위기 담론의 맹점을 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s media crisis discourse, and to explore the future academic challenges for elaborating news media crisis discours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sking media researchers" perceptions and prospects on a series of the crisis discourse of news media that have exploded since the 2000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is researcher thematiciz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crisis discourse of the Korean news media and discuss the crisis-constitutiveness and political effects of the media crisis discourse and the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elaoborating it. If the press crisis is an crucial subject of journalism Studies, the discourse on it must also be the essential subject of critical ref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looks back at the blind spots of so far press crisis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